문화재/내가 본 국보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釦 鉢)- 국보 제25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20:46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釦 鉢) 국보 제253호 종목국보 제 253호명칭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釦 鉢)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90.05.21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시대에 만든 청자대접으로 아가리 언저리에 은테두리가 있으며, 크기는 높이 7.7㎝, 아가리 지름 18.7㎝, 밑 지름 6.3㎝이다. 안쪽 면에는 연꽃 덩굴무늬를 도드라지게 찍고, 바깥 면에는 모란을 간략하게 상감하여 서로 다른 기법으로 내·외면에 문양을 장식하는 방식을 취했다. 안쪽 면 중앙에는 원이 있고 그 안에..
-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Inlaid Peony Design-국보 제11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17:54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국보 제116호 종목국보 제 116호명칭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12세기 중엽의 고려시대 청자 주전자로 고려자기 중에서 종종 확인되는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다. 물을 따르는 부리와 손잡이를 갖추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34.4㎝,아가리지름 2㎝, 배지름 16㎝, 밑지름 9.7㎝이다. 세련된 유선형의 모양에 완벽한 비례의 아름다움까지 곁들여 조화시킨 이 작품은 목의 윗부분에 흑백상감으로 구름과 학무늬를 그려..
-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Celadon Tube-shaped Bottle with Willow Design in Underglaze Iron-국보 제11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17:11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국보 제113호 종목국보 제 113호명칭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시대에 제작된 높이 31.6㎝의 철회청자병으로 긴 통모양의 병 앞뒤에 한 그루씩의 버드나무를 붉은 흙으로 그려 넣은 소박한 병이다. 전체적으로 선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직선이고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어깨 부분을 적당하게 모깎기를 하고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진 모양을 하고 있어 단조로움을 덜어주고 있다. 몸통의 양면에 있는 버드나무를 제외하고 특별한 장식이 없으..
-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Celadon Jar with Inlaid Peony Design-국보 제9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11:29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국보 제98호 종목국보 제 98호명칭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크기는 높이 20.1㎝, 아가리지름 20.7㎝, 밑지름 14.8㎝이다. 몸통에는 앞뒤로 모란이 한 줄기씩 장식되어 있다. 모란꽃은 잎맥까지도 세세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몸체의 한 면마다 가득히 큼직한 문양을 넣어 인상적이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특히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였는데, 꽃을 중심으로 잎을 좌·우·상·하로 대칭되게 배열하였다. 유..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and Scroll Design-국보 제9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10:39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국보 제97호 종목국보 제 97호명칭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매병으로, 높이 43.9㎝, 아가리지름 7.2㎝, 밑지름 15.8㎝이다. 원래 매병의 양식은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려 초기에 전래된 이후 곡선이나 양감에서 중국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여 고려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창조하게 되었다. 이 매병은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그리고 ..
-
청자 참외모양 병 (靑磁 瓜形 甁)-Celadon Melon-shaped Bottle-국보 제9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09:31
청자 참외모양 병 (靑磁 瓜形 甁) 국보 제94호 종목국보 제 94호명칭청자 참외모양 병 (靑磁 瓜形 甁)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고려 인종(仁宗)의 릉에서 ‘황통(皇統)6년(1146)’이란 연도가 표기된 책과 함께 발견된 화병으로, 높이 22.8㎝, 구연의 지름 8.8㎝, 밑지름 8.8㎝ 크기이다. 참외 모양의 몸체에 꽃을 주둥이로 삼아 표현한 매우 귀족적인 작품으로 긴 목에 치마주름 모양의 높은 굽이 받치고 있는 단정하고 세련된 화병이다. 담록색이 감도는 맑은 비색 유약이 얇고 고르게 발라져 있다. 전라..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Human Figure-국보 제9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08:20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 국보 제95호 종목국보 제 95호명칭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 전기의 청자 향로로, 높이 15.3㎝, 대좌지름 11.2㎝의 크기이며 뚜껑과 몸통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향이 피어올라 퍼지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球形) 부분과 그 밑에 받침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형 부분 곳곳의 교차 지점에는 흰 점이 하나씩 장식되어 있다. 몸통은 두 부분으로 윗부분은 둥근 화로 형태인데, 몇 겹의 국화잎으로 싸여있고 다시 커..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Celadon Incense Burner with Lion-shaped Lid- 국보 제6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6. 20:14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 국보 제60호 종목국보 제 60호명칭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점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 21.2㎝, 지름 16.3㎝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을 한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데, 전면에 구름무늬가 가늘게 새겨져 있다. 몸체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를 배치하였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있는 사자의 형상이며, 대좌에는 꽃무늬를 시문하였다. 사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