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혜심고신제서 (慧諶告身制書)-국보 제4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0. 17. 11:42
혜심고신제서 (慧諶告身制書)
-국보 제43호
종목
국보 제43호
명칭
혜심고신제서 (慧諶告身制書)
분류
기록유산 / /
수량
1축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송광사
설명
이 문서는 고려 고종 3년(1216)에 조계산 송광사 제2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릴 것을 제가(制可)한 것이다. 이것은 능형화문의 무늬가 있는 홍, 황, 백색 등의 비단 7장을 이어서 만든 두루마리에 묵서한 것으로, 크기는 가로 3.6m, 세로 33㎝이다. 이것은 고려시대 승려에게 하사한 제서 중 몇 점 되지 않는 귀중한 자료이다.
http://blog.daum.net/shinh-k791104/18251178년(명종 8)∼1234년(고종 21). 고려 후기의 승려.성은 최씨(崔氏). 자는 영을(永乙), 자호는 무의자(無衣子). 법명은 혜심(慧諶). 전라남도 나주 출신. 아버지는 완(琬)이며, 어머니는 배씨(裵氏)이다. 지눌의 뒤를 이어 수선사(修禪社)의 제2세 사주(社主)가 되어, 간화선(看話禪)을 강조하면서 수선사의 교세를 확장하였다.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출가하기를 원하였지만 어머니가 허락하지 않았다. 1201년(신종 4)사마시에 합격하여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나, 다음 해 어머니가 죽자, 당시 조계산(曹溪山)에서 수선사를 만들어 교화 활동을 하고 있던 지눌(知訥)에게 가서 어머니의 재(齋)를 올린 다음, 지눌의 제자가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힘써 정진하였으며, 지눌은 혜심의 재능을 아꼈다.1210년 지눌이 입적(入寂)하자 혜심이 수선사로 돌아가 개당(開堂)하였다. 1212년 강종(康宗)이 수선사를 증축시키고 불법을 구하므로 그가 『심요(心要)』를 지어 올렸고, 당시 문하시중최우(崔瑀)는 그에게 두 아들을 출가시켰다. 고종(高宗)은 왕위에 올라 혜심에게 선사(禪師)에 이어, 대선사를 제수하였으며, 1220년(고종 7)단속사(斷俗寺) 주지로 명하였다.1234년 6월 26일에 문인들을 불러 여러 가지 일을 부탁한 뒤 입적하였다. 나이 56세, 법랍 32세였다.문인에는 몽여(夢如)·진훈(眞訓)·각운(覺雲)·마곡 등이 있다. 저서로는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0권, 『심요』 1편,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1권,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 1편,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 2권, 『금강경찬(金剛經贊)』 1권, 『선문강요(禪門綱要)』 1권이 있다.고종은 진각국사(眞覺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부도(浮屠)의 이름을 원소지탑(圓炤之塔)이라 사액(賜額)하였다. 부도는 광원암(廣遠庵) 북쪽에, 이규보(李奎報)가 찬한 「진각국사비(眞覺國師碑)」는 전라남도 강진군월남산 월남사(月南寺)에 각각 세워졌다. 현재 비문은 잔비(殘碑)만이 전해 오고 있으며, 『동국이상국집』, 『동문선』, 『조선금석총람』 등에 그 글이 수록되어 있다.[참고문헌]-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 『동문선(東文選)』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14'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보 제82호 (0) 2018.06.24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보 제81호 (0) 2018.06.24 청곡사영산회괘불탱 (靑谷寺靈山會掛佛幀)-국보 제302호 (0) 2017.03.04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국보 제221호 (0) 2017.02.13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Sillabi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국보 제242호 (0) 2017.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