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釵)-국보 제15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23:10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釵) 국보 제159호 종목 국보 제159호 명칭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釵)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1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다. 무령왕릉 나무널(목관) 안 왕의 머리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이는 18.4㎝, 상단의 폭은 6.8㎝이다.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역삼각형 모양이며, 밑은 세가닥의 핀 모양을 이루고 있어 머리에 꽂았던 것으로 보인다. 역삼각형의 윗부분은 새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고, 3가닥으로 갈라진 꽂이 부분은 긴 꼬리처럼 되어 있어 마..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국보 제 10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16:24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 국보 제108호 종목 국보 제108호 명칭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1기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작품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을 새겼는데, 앞면의 삼존불(三尊佛)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글이 새겨져 있고, 그 나머지 면에는 작은 불상을 가득 새겨 놓았다. 삼존불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반원형의 기단 위에 조각되어 있는데, 4각형의 대좌(臺座)에 앉아 있는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
-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 銀製釧)-국보 제16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16:09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 銀製釧) -국보 제160호 종목 국보 제160호 명칭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 銀製釧)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1쌍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 고리지름 1.1㎝이다. 팔목이 닿는 안쪽에는 톱니 모양을 촘촘히 새겼고, 둥근 바깥면에는 발이 셋 달린 2마리의 용을 새겼다. 용의 조각은 세밀하지는 않으나 힘에 넘친 모습이며 팔찌의 외관을 감싸고 조각되었다. 한 개의 팔찌 안쪽에 새긴 명문에 의하면 왕비가 죽기 6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만..
-
무령왕릉 지석 (武寧王陵 誌石)-국보 제16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14:33
무령왕릉 지석 (武寧王陵 誌石) 국보 제163호 종목 국보 제163호 명칭 무령왕릉 지석 (武寧王陵 誌石)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지석 수량 2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이 지석은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다. 이 2매의 지석은 왕과 왕비의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넣은 매지권으로,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될 때 함께 출토되었다. 왕의 지석은 가로 41.5㎝, 세로 35㎝이며, 표면에 5∼6㎝의 선을 만들고 그 안에 6행에 걸쳐 새겼다. 왕의 기록은『삼국사기』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다. 뒷면에는..
-
무령왕릉 석수 (武寧王陵 石獸)-국보 제16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13:22
무령왕릉 석수 (武寧王陵 石獸) 국보 제162호 종목 국보 제162호 명칭 무령왕릉 석수 (武寧王陵 石獸) 분류 유물 / 일반조각/ 능묘조각/ 석수 수량 1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이다. 석수(石獸)란 돌로 만든 동물의 상(像)으로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 무령왕릉 석수는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입은 뭉뚝하며 입술에 붉게 칠한 흔적이 있고, 콧구멍 없는 큰 코에 눈과 귀가 있다. 머리 위에는 나뭇가지 형태의 철제 뿔이 붙어..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Gyuam-ri, Buyeo-국보 제29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6. 13:06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 제293호 종목 국보 제293호 명칭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보살상 수량 1점 지정일 1997.01.01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부여박물관 설명 1970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의 절터에 묻혀 있던 무쇠솥에서 다른 하나의 관음보살입상과 함께 발견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1.1㎝이다. 머리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冠)을 쓰고 있으며, 크고 둥근 얼굴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있다. 목에는 가느다란 목걸이를 걸치고 있고, 가슴에 대각선으로 둘러진 옷은 2줄의 선으로 표시되었다. 양..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Stone Reliquary from Temple Site in Neungsan-ri, Buyeo-국보 제28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6. 08:54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국보 제288 종목 국보 제288호 명칭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사리장치/ 사리장치 수량 1점 지정일 1996.05.30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부여박물관 설명 제 때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로, 능산리 절터의 중앙부에 자리한 목탑 자리 아래에서 나왔다. 출토 당시 이미 사리감은 폐기된 상태였으므로 사리 용기는 없었다. 사리감은 위쪽은 원형, 아래쪽은 판판한 높이 74㎝, 가로·세로 50㎝인 터널형이다. 감실 내부의 크기는 높이 45㎝ 정도로 파내어 턱을 마련하였는데 내부에 사리 장치를 놓고 문을 설치했던 것..
-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국보 제28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6. 08:07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국보 제287호 종목 국보 제287호 명칭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분류 유물 / 불교공예/ 공양구/ 공양구 수량 1점 지정일 1996.05.30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부여박물관 설명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여점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1.8㎝, 무게 11.8㎏이나 되는 대형 향로로,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부분으로 구성된다. 뚜껑에는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