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국보 제29호-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31. 12:38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국보 제29호 종목 국보 제29호 명칭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경주박물관 설명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66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
-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국보 제24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9. 21:13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국보 제247호 종목 국보 제247호 명칭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89.04.10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1974년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의 한 절터에서 출토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5㎝이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는데, 가운데에 작은 부처가 표현되어 있어 관음보살을 형상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마는 머리카락이 반쯤 내려와 덮고 있으며, 양 옆으로 땋은 머리는 귀를 덮고 어깨까지 길게 내려왔다. 4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눈·코·입을 큼..
-
무령왕 발받침 (武寧王 足座)-국보 제16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9. 20:50
무령왕 발받침 (武寧王 足座) 국보 제165호 종목 국보 제165호 명칭 무령왕 발받침 (武寧王 足座) 분류 유물 / 기타종교공예/ 유교공예/ 의례용구 수량 1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장의용 나무 발 받침으로 왕의 발 받침대이다. 윗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통나무의 중앙을 W자로 깊게 파서 양 발을 올려놓게 만들었다. 전면에 검은색 옻칠을 하고 폭 0.7㎝정도의 금판을 오려 거북등 무늬를 만들었으나 일부는 떨어져 없어졌다. 6잎의 금꽃을 거북등 무늬 모서리와 중앙에 장식하고, 꽃판 가운데에 옛날 부인의 머리장식의 하나인 보요(步搖)를 매달아 화려함을 ..
-
무령왕비 베개 (武寧王妃 頭枕)-국보 제16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9. 11:29
무령왕비 베개 (武寧王妃 頭枕) 국보 제164호 종목 국보 제164호 명칭 무령왕비 베개 (武寧王妃 頭枕) 분류 유물 / 기타종교공예/ 유교공예/ 의례용구 수량 1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왕비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장의용 나무 베개로, 위가 넓은 사다리꼴의 나무토막 가운데를 U자형으로 파내어 머리를 받치도록 하였다. 표면에는 붉은색 칠을 하고 금박을 붙여 거북등 무늬를 만든 다음, 칸칸마다 흑색·백색·적색 금선을 사용하여 비천상과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봉황·어룡(魚龍)·연꽃·덩굴무늬를 그려 넣었다. 베개의 양 옆 윗면에는 암수 한 쌍으로 보이는 목제 봉황머리가 놓..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銅鏡一括)- 국보 제16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9. 08:30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銅鏡一括) 국보 제161호 종목 국보 제161호 명칭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武寧王陵 銅鏡一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3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거울로 청동신수경, 의자손수대경, 수대경 3점이다. 청동신수경은 ‘방격규구문경’이라는 중국 후한의 거울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거울 내부에는 반나체 인물상과 글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한나라의 거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의자손수대경은 중국 한대의 수대경을 본떠 만든 복제품이다.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돌기가 있고, 안에는 크고 작은 원과..
-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국보 제15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9. 08:06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국보 제158호 종목 국보 제158호 명칭 무령왕비 금목걸이 (武寧王妃 金製頸飾)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2개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무령왕비의 목걸이로, 길이는 각각 14㎝, 16㎝이다. 9마디로 된 것과 7마디로 된 것 2종류가 있는데, 발굴 당시 7마디 목걸이가 9마디 목걸이 밑에 겹쳐져 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활 모양으로 약간 휘어진 육각의 금막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게 하여 고리를 만들고 다른 것과 연결시켰다. 고리를 만들고 남은 부분을 짧은 목걸이의 경우 10∼11회, 긴 목걸이는 6∼..
-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국보 제15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23:39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 국보 제157호 종목 국보 제157호 명칭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1쌍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귀고리 2쌍으로 길이는 11.8㎝, 8.8㎝이다. 왕비의 귀고리로,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작은 장식들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한 쌍은 복잡한 형식으로 길고 짧은 2줄의 장식이 달려 있고, 다른 한 쌍은 1줄로만 되어있다. 앞의 귀고리 중 긴 가닥은 금 철사를 꼬아서 만든 사슬에 둥근 장식을 많이 연결하였으며, 맨 밑에는 작은 고리를 연결하여 8개의 둥근 장식을 달고..
-
무령왕 금귀걸이 (武寧王 金製耳飾)-국보 제15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1. 28. 23:24
무령왕 금귀걸이 (武寧王 金製耳飾) 국보 제156호 종목 국보 제156호 명칭 무령왕 금귀걸이 (武寧王 金製耳飾) 분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장신구 수량 1쌍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국립공주박물관 설명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 귀고리 한 쌍으로 길이는 8.3㎝이다. 왕의 널(관)안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호화로운 장식이 달려있다.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2가닥의 장식을 길게 늘어뜨렸다. 하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중간 장식 끝에 금판으로 된 커다란 나뭇잎 모양의 장식을 달았다. 이 장식은 무늬가 없어 간소하지만 앞·뒷면에 타원형의 작은 잎을 하나씩 붙여 변화를 주었다. 옆으로 보면 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