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5. 27. 10:15
- 서원의 초기 문루 형식을 간직한 조선 중기 서원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적 「옥산서원(玉山書院)」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옥산서원 외삼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중층으로 된 문루이다.
무변루는 1572년 옥산서원이 창건되었을 때 함께 세워졌으며, 주변의 훌륭한 자연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규모는 정면 7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좌·우 측면에는 가적지붕을 설치하였다. 건물의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위층은 온돌방과 누마루(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층은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둔 뒤 다시 좌우에 누마루를 구성하는 매우 독특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붕에는 숭정(崇禎), 건륭(乾隆), 도광(道光) 등의 중국 연호가 기록된 명문기와가 남아있어 수리 이력을 정확하게 알게 해 준다.
* 가적지붕(또는 부섭지붕): 맞배지붕 측면에 덧붙여진 한쪽으로 경사진 지붕
* 숭정(崇禎), 건륭(乾隆), 도광(道光) : 순서대로 1637년, 1782년, 1839년
관련 기록에 의하면, 무변루는 영의정 노수신(盧守愼, 1515~1590)이 이름을 짓고, 석봉 한호(韓濩, 1543~1605)가 현판을 썼다. 무변루의 ‘무변’은 북송(北宋)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의 ‘풍월무변(風月無邊)’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하면 ‘서원 밖 계곡과 산이 한눈에 들어오게 하여 그 경계를 없애는 곳’이 된다. 이는 무변루가 주변의 자연경관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서원 문루는 장수유식(藏修遊息)으로 대표되는 서원의 교육과 소통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변루는 창건 이래 지역 유생의 교육 장소로, 유교 문화창달과 지식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어제제문(御製祭文)』(1792), 『을사년 옥산서원 통문(乙巳年 玉山書院 通文)』(1905) 등 다수의 문헌 기록에는, 무변루가 토론과 휴식, 모임, 숙식의 공간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시문에서 무변루에 관한 기록이 확인된다.
* 장수유식(藏修遊息): 유교 경전 가운데 하나인 예기(禮記)에 수록된 내용으로, 수업 중이거나 물러나 쉴 때나 모두 배움을 놓지 않음을 뜻함
요약하면, 무변루는 1572년 초창 이래로 현 위치에 지속되어 왔으며, 창건 이래로 지역 유생의 교육 장소로 사용되었고, 유교 문화창달과 지식보급에 큰 역할을 하여 왔다. 또한, 무변루의 중수 연대를 명확히 알게 해주는 명문기와가 존재한다. 아래층에는 삼문을, 위층에는 방, 대청, 누마루, 아궁이를 둔 매우 독특한 건축계획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위층에 온돌방을 설치하여 숙식을 겸하였고, 양 측면에 가적지붕을 달아낸 누마루를 설치하여 주변의 자연경관 조망을 무변루 안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건축, 역사적 가치를 지닌 서원의 문루로,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450년 역사 간직한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보물 됐다
2010.04.28 옥산서원을 찾은 바 있다.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 1동(64㎡) 지정일 2022.07.29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옥산서원길 216-27 (안강읍) 시대 조선시대(16세기) 소유자 옥산서원 관리자 옥산서원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옥산서원기(玉山書院記)』(1574)에서 1572년에 서원 초창 당시부터 누각으로 건립되었으며, 납청루(納淸樓)라 불렸다고 한다. 이후 노수신이 제액을 찬하면서 무변루(無邊樓)로 명칭을 고쳐 지었다. 무변루에 설치된 기와 중에서 1674년(숭정 38), 1782년(건륭 47), 1839년(도광 기해) 명문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이때에도 중수하였을 것이고, 이후 1844년에도 중수가 확인된다.
이 외에도 『어제제문(御製祭文)』(1792), 『을사년 옥산서원 통문(乙巳年 玉山書院 通文)』(1905)에 따르면, 토론과 휴식, 모임, 숙식의 공간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나타나며, 다양한 시문에서 무변루 기록이 확인된다. 고종 때 훼철되지 않은 사액서원의 문루로 역사적 기록과 함께 잘 보존되어 현재까지 잘 이어지고 있다.
무변루 배치는 서향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규모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로 건립되었다. 구조는 5량가이고, 공포는 초익공 양식으로 지붕은 겹처마 맞배지붕에다 좌·우 측면에는 홑처마 부섭지붕을 설치하였다. 지붕에 얹은 기와 중 숭정(崇禎)과 건륭(乾隆), 도광(道光)이란 명문이 남아있어 과거 수리 시기를 정확하게 알게 해 준다.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1572년 초창 이래로 옥산서원 무변루는 위치 변동이 없이 그 자리에 지속되어 왔다는 점과 초창 시 경상도 유림이 힘을 모아 건립하고 그 이후에도 중건 중수를 지속하여 왔다는 점, 유생들의 교육기관으로서뿐만 아니라 문화창달과 지식보급에 큰 역할을 하여 왔다는 점, 무변루의 중수 연대를 명확히 알게 해주는 3종류의 명문기와가 존재한다는 점, 비 훼철 사액서원 중 삼문과 방, 대청, 누마루, 고상식 아궁이를 두고 있는 아주 드문 문루라는 점, 상층에 고상식 온돌방을 설치하여 기숙을 겸하는 점, 양 측면에 부섭지붕을 달아낸 누마루를 설치하여 주변의 자연경관 조망을 무변루 안으로 끌어들이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두드러진 특징으로 인해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비 훼철 사액서원의 초기 문루로서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칠보살좌상(乾漆菩薩坐像) (0) 2022.07.02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The Stone Buddha Seated on a Square Pedestal in Gyeongju (0) 2022.06.05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慶州 芬皇寺 幢竿支柱) (0) 2022.02.14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瑞山 文殊寺 金銅如來坐像 腹藏遺物) (0) 2021.12.29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達磨大師血脈論 木板)-Printing Woodblocks of Dalmadaesa hyeolmaengnon (Treatise on the Blood Pulse) (0) 20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