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1)-(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2023-1))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4. 12:56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수량 어보312과 어책288첩 교명28축 지정일 2023.06.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대 1420년~1910년 소유 국유 관리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 설명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국왕・왕비・상왕(上王)・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 등을 올릴 때 그 호칭을 새겨 수여하는 의례용 인장과 의례용 책문을 말한다. 어보(御寶)란 국왕・왕세자・왕세제・왕세손과 그 배우자를 책봉하거나 존호 등을 수여할 때 제작한 의례용 인장이며, 어책(御冊)은 어보..
-
이정 필 삼청첩 (李霆 筆 三淸帖)-Paintings of Three Clear Beings by Yi J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4. 12:09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사군자 수량 1첩 지정일 2018.06.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시대 1594년(선조 27) 소유 전*** 관리 간송미술문화재단 문화재 설명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宗室) 출신 화가 탄은(灘隱) 이정(李霆, 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으로,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 서화첩(書畫帖)이다.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墨竹畫)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되어 이정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金泥)로 사군자의 생태(生態)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하여 매우 화려하고 섬세하..
-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聞慶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Rock-carved Seated Maitreya Bodhisattva of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9:13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수량 1좌 지정일 2021.01.05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시대 조선시대(1663년(현종 4)) 소유 대*** 관리 대*** 개별안내판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 보물 제2108호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은 17세기에 조각된 것으로 전해지며 관련 기록에서는 환적 의천 선사 幻寂 義天. 1603~1690의 願佛이라 한다. 높이 4.5m 폭 4.4m로 국내 마애불 중 비교적 큰 편이다. 머리 주위는 약간 깊게 파서 광배를 겸하는 듯하게 조각하였고,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처럼 만들었다. 머리는 입체적으로 조각하였으나 몸체는 선으로 가늘게 새겨 조각 수법이 다르다. 머리에 쓰고 있는 보석 왕관의 중앙에는 꽃무늬가 있고, 오른손은 위로 들어 연꽃 가지를 들고 있으..
-
문경 봉암사 봉황문 (聞慶 鳳巖寺 鳳凰門)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8:5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 1동 지정일 2022.12.28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627 시대 조선시대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문화재 설명 「문경 봉암사 봉황문」이 위치한 봉암사는 신라시대 말기에 지증도헌(智證道憲)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봉황문에 대한 창건 기록은 없으나 대체로 1723년 이전으로 보인다. 일주문 앞쪽에는 희양산봉암사(曦陽山鳳巖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뒤쪽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봉암사 봉황문은 5량가의 단칸 맞배지붕과 주상포, 주간포의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다. 축부(軸部)는 문경지역에 편중된 궁판형(기둥 중간과 하부에 목재를 끼운 난간 형태)으로 되어있다. 기둥은 민흘림이고 지붕은 연목과 부연의 겹처마이다. 창방(기둥머리..
-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慶州 南山 神仙庵 磨崖菩薩半跏像)-Rock-carved Bodhisattva at Sinseonam Hermitage in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6:41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36-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문화재 설명 경주 남산은 유물·유적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가면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후기까지의 불상들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 그 중에 하나인 높이 1.4m의 마애보살반가상은 칠불암(七佛庵) 위에 곧바로 선 남쪽바위에 새겨져 있다. 마치 구름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머리에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어서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얼굴은 풍만하고, 지그시 감은 두 눈은 깊은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구름 위의 세계에서 중생을 살펴보고 있는 듯하다. 오른손에는 꽃을 잡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까지 들어 올려서 설법하는 모양..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Rock-carved Buddhas in Tapgok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4:18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72, 산79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문화재 설명 이 일대는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다.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석탑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남쪽면의 불상을 주존으로 하여 남향사찰을 경영했었음을 알 수 있다.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묘사하였다. 남쪽 바위면에는 삼존과 독립된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고, 동쪽 바위면에도 불상과 보살, 승려, 그리고 비천상(飛天像)을 표현해 놓았다. 불상·보살상 등은 모두 연꽃무늬를 조각한 대좌(臺座)와,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 한 광배(光背)를 갖추었으며..
-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at Changnimsa Temple Site of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3:1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2015.03.09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6-1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문화재 설명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는 창림사지는 발굴조사를 통하여 경주 불국사 등 통일신라시대 가람에서 나타나는 층(공간)별 독립된 공간이 창림사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확장과정에서 새로 추가된 영역에 팔부신중을 조각한 석탑, 즉 삼층석탑이 조성 됐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탑의 조성시기는 창림사지에 있는 세 개의 석탑 중 하나의 석탑의 사리공 속에서 발견된 《무구정탑원기》를 통해 신라 문성왕(855년 경)때로 추정하고 있다. 석탑은 2중기단을 조성한 후 3개층 탑신부를 얹은 전형적인 신라 3층석탑의 모습이다. 기단부의 구성은 상, 하 2중..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慶州 南山 茸長寺谷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in Yongjangsagok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2:20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1-1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문화재 설명 용장사는 매월당 김시습이『금오신화』를 쓰며 머물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 몇 군데의 석축(石築)이 남아있어 절터였음을 짐작하게 해줄 뿐이다. 절을 감싸고 뻗은 동쪽 바위 산맥의 높은 봉우리에 서 있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다. 자연암석을 아래층 기단으로 삼고, 그 위로 바로 윗층 기단이 올려져 있다. 즉, 자연암석이 아래층 기단일 수도 있고 그 아래 바위산 전체가 또한 아래층 기단일 수도 있는 셈이다. 윗층 기단은 네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조각을 새기고 2장의 판돌로 덮어 기단을 마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