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靑磁 陰刻‘孝文’銘 蓮花文 梅甁)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Design and Inscription of "Hyomun"-국보 제25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1:34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靑磁 陰刻‘孝文’銘 蓮花文 梅甁)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Design and Inscription of "Hyomun"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점지정일1990.05.21소재지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대고려시대(12세기 후반)소유이***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27.7㎝, 아가리 지름 5.3㎝, 밑 지름 10.6㎝이다.작고 나지막한 아가리가 달린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매병으로, 팽배하게 벌어진 어깨가 부드럽게 흘러내린 균형 잡힌 모습을 보이고 있다.무늬는 가는 선만으로 새겼는데, 어깨 위에는 꽃..
-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靑磁 陰刻蓮花文 有蓋梅甁)Celadon Lidded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Design- 국보 제25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1:01
classificationArtifacts / Household Crafts / Ceramic Crafts / Celadonquantity1 pointDesignated date1990.05.21locationBusan Geumjeong-guageGoryeo Period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possessionPrefecture***administrationPrefecture***National Heritage ExplainedIt is a celadon boxbox made in the Goryeo Dynasty and has a height of 43.0 cm, a maw diameter of 6.3 cm, and a base diameter of 15.3 cm. ..
-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Celadon Kundika with Inlaid Willow, Lotus, Reed, and Mandarin Duck Design-국보제6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0:43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시대고려시대(12세기)소유전*** 관리간송미술관 국가유산 설명고려시대의 청자 정병으로 높이 37.0㎝, 밑지름 8.9㎝의 크기이다. 원래 정병은 불교에서 모든 악을 씻어 버리는 의식에서 사용하던 용기의 하나로 중국을 거쳐 전해진 서방(西方) 양식이었으나, 고려에 와서 가장 세련되게 나타나게 되었다.이 작품은 이러한 유물 중에서도 뛰어난 걸작으로 청아한 담록색 계통의 비취색 유약에 백토(白土) 상감만으로 새겨진 버드나무와 갈대, 연꽃, 원앙새 1쌍을 회화적으로 배치해 놓고 있다. 병 목에는 앞뒤 양면에 모란꽃을 하나씩 상감했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8각으로 기품있게 만들..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靑磁 ‘淳化四年’銘 壺)-Celadon jar ’the 4th Chunhwa year’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0:20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2019.05.02소재지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박물관 (신촌동)시대고려 성종 12년(993)소유이화여자대학교 관리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국가유산 설명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靑磁 ‘淳化四年’銘 壺)는 우리나라에서 청자가 처음으로 만들어지던 10세기 고려 초의 가장 확실한 편년자료로, 항아리의 굽바닥에는「淳化四年 癸巳 太廟第一室 享器匠 崔吉會 造(순화4년 계사 태묘제일실 향기장 최길회 조)」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그 내용을 통해 이 항아리가 태조 왕건의 신위를 모신 고려의 태묘 제1실 향기(享器, 제사용 그릇)였으며 장인(혹은 감독관)이었던 최길회가 제작을 담당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항아리가 만들어진 때가 순화4년, 서기 993년(고려..
-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1. 15:32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조선 후기 후불도로, 현존하는 삼불회도 중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작품으로 1980년 보물로 지정됐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됐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불화로, 장대한 크기에 수많은 등장인물을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로 장중하게 그려냈다.세 폭의 하단에는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의 정보가 담긴 화기가 있는데, 화승의 역할에 따라 차례를 구분하고 소속 사찰이 함께 기록돼 화승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는다.출처 : 김천일보(https://www.gcilbo.kr)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조선 후기 후불도로, 현존하는 삼불회도 중 가운데 영산회상도, 왼쪽에 약사여래설법도, 오른쪽에 아미타여래설법..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1. 15:27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다. 1997년 8월 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73호로 지정되었다.개요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다. 해인사에 있는 이 불화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고, 길이 334cm, 폭 240cm이다.이 그림은 본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주변에 여러 무리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영산회상의 법회 장면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중앙에 있는 석가는 손가락을 땅으로 향하게 하여 마귀를 물리치는 의미를 지닌 항마촉지인의 손모양을 하고 앉아 있다. 다른 무리들에 비해 유난히 신체가 크며, 떡 벌어진 어깨로 인해 보는 이를 압도하는 듯하지만 둥근 얼굴과 엷은 미소로 부드러움과 넉넉함도 느끼게 한다. 중앙의 ..
-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順天 松廣寺 木造三尊佛龕)Portable Shrine of Wooden Buddha Triad at Songgwangsa Temple, Suncheon-국보 제4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12. 12:02
분류유물 / 불교공예 / 장엄구수량1좌지정일1962.12.20소재지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시대신라말∼고려초소유송광사 관리송광사 국가유산 설명불상을 모시기 위해 나무나 돌, 쇠 등을 깎아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작은 규모로 만든 것을 불감(佛龕)이라 한다. 불감은 그 안에 모신 불상의 양식뿐만 아니라, 당시의 건축 양식을 함께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목조삼존불감은 보조국사 지눌이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불감은 모두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의 방을 중심으로 양쪽에 작은 방이 문짝처럼 달려 있다. 문을 닫으면 윗부분이 둥근 팔각기둥 모양이 되는데, 전체 높이는 13㎝이고, 문을 열었을 때 너비 1..
-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11. 12:27
분류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수량9폭(영산회상도 1폭, 팔상도 8폭)지정일2024.05.27소재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시대1725년(조선 영조 1)소유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관리송광사성보박물관 국가유산 설명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의 개념은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되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