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국보 제9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6. 12:52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국보 제92호
종목
국보 제 92호
명칭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
甁)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수량
1개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고려시대 대표적인 금속 공예품의 하나로 높이 37.5㎝의 은입사로 시문된 정병(淨甁)이다.
둥근 몸체의 어깨와 굽 위에 꽃무늬를 두르고, 그 사이에 우거진 갈대와 수양버들이 늘어진 언덕이 있으며, 주위로 오리를 비롯하여 물새들이 헤엄치거나 날아오르는 서정적인 풍경을 묘사하였다. 먼 산에는 줄지어 철새가 날고 있고, 물 위에는 사공이 조각배를 젓고 있다. 이들은 모두 청동 바탕에 문양 부분을 파낸 뒤 은을 박아 장식한 은입사(銀入絲) 기법으로 시문하였다.
물을 따르는 부리에는 뚜껑이 덮혀 있는데 구멍을 뚫어 장식하는 기법으로 덩굴 무늬를 새기고, 그 옆면에는 연꽃 무늬를 배치하였다. 목 부분의 둥근 테두리에 덮힌 뚜껑에도 은판(銀板)을 뚫을새김으로 장식하였다.
이 정병은 형태에 있어서 안정감 있고 유려한 곡선미를 보여주며, 무늬를 표현함에 있어서도 고려 전기부터 크게 발달된 입사기법(入絲技法)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은입사정병은 여러 점이 알려져 있으나, 이 정병은 푸른 색조와 어우러진 문양의 서정성이 돋보이는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11&ccbaKdcd=11&ccbaAsno=00920000&ccbaCtcd=11&ccbaCpno=1111100920000&ccbaLcto=
13&culPageNo=2&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
assetname=00
'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