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Celadon Jar with Inlaid Peony Design-국보 제9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7. 11:29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
국보 제98호
종목 국보 제 98호 명칭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수량 1점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크기는 높이 20.1㎝, 아가리지름 20.7㎝, 밑지름 14.8㎝이다.
몸통에는 앞뒤로 모란이 한 줄기씩 장식되어 있다. 모란꽃은 잎맥까지도 세세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몸체의 한 면마다 가득히 큼직한 문양을 넣어 인상적이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특히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였는데, 꽃을 중심으로 잎을 좌·우·상·하로 대칭되게 배열하였다. 유약은 맑은 녹색이 감도는 회청색으로 매우 얇고 고르게 칠해져 있다.
유약의 느낌이나 항아리의 형태로 보아 12세기경의 작품으로 보이는 이 항아리는 꽃과 잎이 큼직하게 표현됨으로써 흑백의 대비가 강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며, 면상감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상감기법의 높은 품격을 보여주고 있다.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
11&ccbaKdcd=11&ccbaAsno=00980000&ccbaCtcd=11&ccbaCpno=
1111100980000&ccbaLcto=13&culPageNo=3&header=region&returnUrl=
%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assetname=00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靑磁 象嵌牡丹文 壺, 국보 제98호)는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크기는 높이 20.1㎝, 아가리지름 20.7㎝, 밑지름 14.8㎝이다. 몸통에는 앞뒤로 모란이 한 줄기씩 장식되어 있다. 모란꽃은 잎맥까지도 세세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몸체의 한 면마다 가득히 큼직한 문양을 넣어 인상적이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특히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였는데, 백상감된 모란꽃의 꽃술과 꽃잎 둘레를 매우 가는 흑선으로 처리 하였고 음각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꽃을 중심으로 잎을 좌·우·상·하로 대칭되게 배열하였다. 유약은 맑은 녹색이 감도는 회청색으로 매우 얇고 고르게 칠해져 있다. 청자 가운데 같은 시대에 사용된 동기(銅器)를 그대로 청자로 옮겨 만든 것이 많다. 이 청자 항아리도 그런 예 가운데 하나이며, 양쪽에 동물모양 손잡이는 동기의 의장(意匠)에서 유래한 것이다. 유약의 느낌이나 항아리의 형태로 보아 12세기경의 작품으로 보이는 이 항아리는 꽃과 잎이 큼직하게 표현됨으로써 흑백의 대비가 강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며, 면상감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상감기법의 높은 품격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 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 정보) 문양의 모란(牧丹, 학명 Paeonia suffruticosa)은 꽃이 화려하고 풍염(豊艶)하여 위엄과 품위를 갖춰서 부귀화(富貴花), 화중왕(花中王)이라고도 불린다. 송나라 주돈이는 <애련설(愛蓮說)>에 ‘모란은 꽃 중에서 부귀한 것이다(牡丹花之富貴者)’라 하였다. 모란을 소재로 한 모란도(牧丹圖)는 옛사람들이 즐겨 그린 그림 중 하나였는데, 모란만을 단독으로 그린 것도 있지만 괴석과 같이 그려서 석모란(石牡丹)을 만들거나 소나무.난.대나무(松.蘭.竹) 등과 조화시켜 화제를 만들기도 했다. 괴석(塊石)과 함께 그려진 모란은 부귀장수(富貴長壽), 새 한 쌍과 함께 그려진 모란은 부부화합(夫婦和合)과 가내부귀(家內富貴), 화병에 꽂힌 모란은 부귀평안(富貴平安)을 기원하는 것이다. 그림 외에도 복식이나 자수공예품 등에 즐겨 사용되었는데 특히 신부의 예복이나 왕비, 공주의 옷, 병풍 등에 자주 보인다. 이 때의 모란은 부귀영화(富貴榮華)와 함께 천하제일(天下第一)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또한 모란을 여러 그루가 함께 어우러진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부귀영화를 누리며 화목하게 지내는 가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꽃말은 부귀, 영화, 왕자의 품격이다. (자료 출처: 문화원형백과) * 문화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donga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2319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rdType=R&thisPage=1&bbIdx=9055&searchField=&searchText=모란(牧丹, 학명 Paeonia suffruticosa)
https://youtu.be/bvImUGgr5MU?t=1445
http://blog.daum.net/shinh-k791104/1346'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