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
김흠조 부부 묘 출토유물 (金欽祖 夫婦 墓 出土遺物)-국가민속문화재 제242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9. 7. 2. 13:44
김흠조 부부 묘 출토유물 (金欽祖 夫婦 墓 出土遺物) 국가민속문화재 제242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42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42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42호 명칭 김흠조 부부 묘 출토유물 (金欽祖 夫婦 墓 出土遺物)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 일괄(3종 134점) 지정일 2002.07.18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영주시 설명 조선 중기 때의 문인인 김흠조(1461∼1528)의 무덤에서 출토된 일괄 유물이다. 김흠조의 자는 경숙(敬叔), 호는 악금당(樂琴堂)이며 의성 김씨 17대손이다.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충주·상주·제주목사 등 지방 수령직과 중종 때 장예원 판결사를 역임한 인물로 숙부인 정씨와의 사이에 4남 1녀를 두었다. 이 유물들은 1997년 ..
-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盈德 務安朴氏 武毅公派 宗宅)-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9. 3. 3. 13:00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盈德 務安朴氏 武毅公派 宗宅) 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명칭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 (盈德 務安朴氏 武毅公派 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건물 4동, 토지 1,941㎡ 지정일 2016.04.27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도곡길 17-4 (축산면,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무안박씨 무의공파 문중 설명 ㅇ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은 영덕군 도곡마을(가마골)에서 뒤편의 야산을 배경으로 전면에 들이 펼쳐진 지점에 남향으로 입지하며,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박의장의 아들 박선이 형인 박유를 위하여 1644년에 초창하였음 ㅇ 17세기..
-
영덕 난고 종택(盈德蘭皐宗宅)-국가민속문화재 제271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9. 3. 2. 14:01
영덕 난고 종택(盈德蘭皐宗宅) 국가민속문화재 제271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71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71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71호 명칭 영덕 난고 종택(盈德蘭皐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일곽(건물 7동, 토지 5,735㎡) 지정일 2012.04.13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원구1길 13-11 (영해면, 영해난종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故 남응시,남석규 설명 조선시대 경상북도 상류주택의 생활상을 잘 보존하고 있는데, 특히 종택의 건축용도에 따른 가옥배치법은 경북 내륙북부지역과 다른 북동부지역 상류주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유형적 요소인 건축뿐만 아니라 무형적 요소인 제례, 민속품, 동제 등 민속신앙 및 행위들이 잘 보존 전승되고 있으며 문서 등 기록물도 잘 ..
-
영덕 충효당 종택 (盈德 忠孝堂 宗宅)- 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9. 3. 2. 08:51
영덕 충효당 종택 (盈德 忠孝堂 宗宅) 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명칭 영덕 충효당 종택 (盈德 忠孝堂 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2필지/지정구역 2,215㎡, 보호구역 3,335㎡ 지정일 1984.01.10 소재지 경북 영덕군 창수면 인량6길 48 (인량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홍선,이지화 설명 조선 성종 때에 처음 세운 집으로 이애 선생이 짓고, 이황 선생의 성리학을 계승·발전시킨 이현일 선생이 태어난 곳이라고 한다. 지금 있는 건물은 뒷쪽으로 옮긴 것이라고 하며 충효당(사랑채)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건물이다. 안채, 사랑채, 마구간, 사당, 정자 등이 넓은 대지 위에 남향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