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
제천 박용원 고택 (堤川 朴用元 古宅)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1. 11. 4. 22:45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면적 3필지/2,249㎡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충북 제천시 금성면 구룡리 305번지 시대 조선 고종 원년(1864) 소유자 박*** 관리자 박*** 큰 농가집 형식의 민가로 'ㄱ'자형 안채, 사랑채, 아래채, 중문채, 헛간 등이 일곽을 이루고 있는 집이다. 안채에서 발견한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 고종 1년(1864)에 안채를 지었고 사랑채나 아래채는 훗날 지은 것으로 짐작한다. 안채는 평범한 'ㄱ'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고방과 건넌방을, 왼쪽에 안방과 부엌을 설치하였다. 안방의 사면에는 외짝문을 달아 드나들게 만들었는데 특색있는 구성이다. 가묘(家廟)가 없어 대청 1칸 뒷벽에 위패를 모시고 사당공간으로 사용하였으며, ..
-
영덕 괴시마을(盈德 槐市마을)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1. 7. 1. 17:52
영덕 괴시마을 문화재다. 분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마을면적지정구역 278,951㎡, 보호구역 12,666㎡지정일2021.06.21소재지경상북도 영덕군시대조선시대소유자 관리자영***「영덕 괴시마을」은 고려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1328∼1396)이 태어난 마을로, 함창김씨(목은선생의외가)가 처음 터를 잡은 이후 조선 인조대(1630년 무렵) 영양남씨가 정착하면서 남씨 집성촌이 되었으며, 경북 북부 해안지방에서 현재까지 단일 문중의 역사와 문화가 전승‧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반촌마을임.마을의 원래 명칭은 근처에 늪이 많고 연못이 있어 호지촌(濠池村)으로 불렸으나, 목은 이색이 자기가 태어난 마을이 중국 원나라 학자 구양박사(歐陽博士)의 마을인 ‘괴시(槐市)’와 비슷하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
청도 운림고택 (淸道 雲林古宅)-국가민속문화재 제245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1. 4. 23. 15:28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필지/3,708㎡ 지정(등록)일 2005.01.31 소재지 경북 청도군 금천면 임당2길 14 (임당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의성김씨문중 관리자 김*** 마을 중심부에 위치한 이 가옥은 안채, 중 사랑채, 큰 고방채, 작은 고방채, 큰 사랑채, 사당, 대문채 등 7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남향으로 자리한 대문채를 들어서면 좌측 편에 남향한 큰 사랑채가, 우측으로 별곽(別廓)을 이루어 사당이 위치하고 대문채와 마주 보고 있는 중 사랑채가 안채와 2동의 고방채와 더불어 튼 'ㅁ'자의 몸채를 이루고 서북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옥배치 및 공간구성의 특징으로는, 몸채의 방향이 지형조건 상 남향을 할 수 있음에도 건축 환경적으로 불리한 서북향을 하고 ..
-
청도 운강고택과 만화정 (淸道 雲岡故宅과 萬和亭)-Ungang Historic House and Manhwajeong Pavilion, Cheongdo- 국가민속문화재 제106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1. 4. 21. 17:0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면적 2필지/5,048㎡ 지정(등록)일 1979.12.31 소재지 경북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74, 외 1필지 (신지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박*** 관리자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 1479~1560)이 낙향(落鄕)하여 서당(書堂)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던 터에 후손인 성경당(誠敬堂) 박정주(朴廷周,1789~1850)가 분가하면서 살림집을 건축한 것이 이 고택의 시작이다. 박정주의 아들인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黙,1814~1875)이 고택을 크게 중건하였는데 이후 그의 호를 따서 고택을 운강고택이라 부른다. 건물 배치는 안채와 사랑채로 구분되고 큰 사랑채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2개의 큰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짜임새 있는 건축 구조와 세분..
-
영덕 안동권씨 옥천재사 (盈德 安東權氏 玉川齋舍)-국가민속문화재 제260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1. 1. 13. 13:45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8필지/ 지정구역 2,459㎡, 보호구역 5,826㎡ 지정(등록)일 2009.04.28 소재지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6-1번지 소유자 권*** 관리자 권*** “영덕 화수루 일곽”의 화수루는 17세기경에 초건되어 이후 중건된 중층의 누각 건물로서 누 대청이 강당을 겸하는 유형의 이 지역의 대표적 누 재실 건축이며, 전사청인 몸채와 함께 공간구성과 구조 양식 등의 건축적 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인접 건물인 초가까치구멍집과 청간정도 비교적 구조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서민가옥과 정자 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당초에는 경북영덕 유형문화재 화수루(제82호)로 지정(1975.12.30)되었으나 신청(2007. 4.12)..
-
부안 동문안 당산 (扶安 東門안 堂山)-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0. 4. 5. 19:05
부안 동문안 당산 (扶安 東門안 堂山) 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 명칭 부안 동문안 당산 (扶安 東門안 堂山)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마을신앙 수량 3기 지정일 1970.05.20 소재지 전북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 387-4번지 , 837-5, 2-3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부안군 설명 부안 동문안 당산은 돌기둥(당산)과 돌장승 한 쌍(할아버지 당산, 할머니 당산)으로 이루어진 당산이다. 마을 밖으로부터 부정한 것의 침입을 막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로 세운 돌기둥을 중심으로 동쪽 50여m 지점에 당산나무가 있고, 그 사잇길 양쪽에 한 쌍의 돌장승이 마주보고 서있다. 돌기둥은 화강암을 깎아만든 것으로..
-
봉화 만산고택 (奉化 晩山古宅)-Mansan Historic House, Bonghwa-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9. 7. 5. 21:40
봉화 만산고택 (奉化 晩山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79호 명칭 봉화 만산고택 (奉化 晩山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일곽(건물 4동, 토지 3,982㎡) 지정일 2013.12.12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서동길 21-19 (춘양면, 만산고택)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강백기 설명 조선 후기 만산 강용(1846~1934)이 1878년에 건립한 가옥으로 측면출입형 ㅁ자 형태의 본채와 서실, 별채, 대문채 등 사대부가 상류주택의 구성을 고루 갖추고 경북 북동부의 지역적 건축 특성을 잘 보여준다.만산(晩山)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친필로 하사, 서실 처마 밑에 있는 한묵청연(翰墨淸緣) 편액은 영친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