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천황산 표충사 (天皇山表忠寺)-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8. 22:33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7호 명칭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20,026,399㎡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시대 소유.관리 국유,사유,표충사 설명 표충사는 신라 무열왕 원년(654) 원효대사가 터를 잡아 세운 죽림사(竹林寺)이다. 흥덕왕 4년(829) 셋째 왕자가 몹쓸 병을 얻어 전국의 명산과 명의를 찾던 중 이곳의 약수를 먹고 병이 낫게 되자 탑을 세우고 약수 이름을 영정약수라 불렀다고 한다. 이때부터 절 이름을 재약산영정사라 부르고 절을 크게 부흥시켰다...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尙州 壬亂北川戰跡地)-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6. 22. 17:10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尙州 壬亂北川戰跡地)-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 명칭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尙州 壬亂北川戰跡地)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전적지/ 임란전적지 수량 1 곽 지정일 1988.09.23 소재지 경북 상주시 만산동 699 시대 소유.관리 상주시 설명 임진왜란(1592) 때 조선 중앙군과 왜병의 선봉주력부대가 최초로 싸운 장소로 800여 명이 순국한 호국성지이다. 선조 25년(1592) 일본군 주력 부대인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이끄는17,000명이 조총으로 무장하고 침공해 왔다. 이에 싸움도 하기 전에 순변사 이일은 성을 버리고 도주하였으나, 상주 판관 권길과 호장 박걸, 종사관인 윤섬, 이경류, 박호 등의 경군과 사근도 찰방 김종무..
-
상주 흥암서원 (尙州 興巖書院)흥암서원 (興巖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6. 22. 17:07
상주 흥암서원 (尙州 興巖書院) 흥암서원 (興巖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명칭 흥암서원 (興巖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4,911㎡ 지정일 1985.10.15 소재지 경북 상주시 연원동 769외 2필 시대 소유.관리 흥충보존위원회 설명 동춘당 송준길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송준길(1606∼1672)은 조선 후기 문신이며 뛰어난 학문과 바른 행실로 추천을 받아 관직에 올랐다. 김장생의 가르침을 받은 성리학자로서 특히 예학에 밝았다. 흥암서원은 숙종 28년(1702)에 세웠으며 숙종 42년(1716)에 임금으로부터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경내 건물로는..
-
이강년생가지 (李康秊生家址)-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6. 20. 14:27
이강년생가지 (李康秊生家址)-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90호 명칭 이강년생가지 (李康秊生家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 724㎡ 지정일 1993.02.25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129-6외 1필 시대 소유.관리 이인규 설명 한말의 의병장 이강년(1858∼1908) 선생이 태어나 성장한 곳이다. 선생은 경상북도 문경 출신으로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1896년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1907년 조선의 군대가 해산되자 영춘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주로 강원도와 충청도, 경상북도 일대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저서로는 『운강문집』과 『운..
-
금릉추량리은행나무 (金陵秋良里은행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9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6. 17. 23:50
금릉추량리은행나무 (金陵秋良里은행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91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91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91호 금릉추량리은행나무 (金陵秋良里은행나무)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91호 명칭 금릉추량리은행나무 (金陵秋良里은행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322㎡(3필) 지정일 1993.08.18 소재지 경북 김천시 대덕면 추량리 298 시대 소유.관리 정을만(국유),정을만(건설교통부) 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
-
계산동은행나무 (桂山洞銀杏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5. 8. 11:41
계산동은행나무 (桂山洞銀杏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계산동은행나무 (桂山洞銀杏나무)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명칭 계산동은행나무 (桂山洞銀杏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1 주 지정일 1992.05.15 소재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 시대 소유.관리 인천광역시교육청 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부평초등학교 안에서 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