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우산성 (牛山城)-충청남도 기념물 제8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26. 16:45
우산성 (牛山城)-충청남도 기념물 제81호 우산성 (牛山城) 우산성 (牛山城)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81호 명칭 우산성 (牛山城)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 길이965m 지정일 1989.12.29 소재지 충남 청양군 청양읍 읍내리 산4-1외 시대 백제 소유.관리 청양군교육청외6명,청양군 설명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우성산에 있는 산성으로, 산꼭대기를 빙둘러 자연지형을 이용한 동쪽 일부를 제외하면 모두 돌을 이용하여 쌓았다. 성의 둘레는 약 965m이고, 잘 남아 있는 곳의 성벽은 높이 7m, 폭 6m 가량 된다. 남벽과 동벽이 만나는 곳, 북벽과 동벽이 만나는 부분은 다른 곳보다 높은데 아마도 전투시 장수가 올라서 지휘하던 장대가 있던 곳으로 보인다. 동남쪽 모서리와 동북쪽 모서리는..
-
태안흥주사은행나무 (泰安興住寺銀杏나무)-충청남도 기념물 제15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24. 18:49
태안흥주사은행나무 (泰安興住寺銀杏나무)-충청남도 기념물 제156호 태안흥주사은행나무 (泰安興住寺銀杏나무) 태안흥주사은행나무 (泰安興住寺銀杏나무)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56호 명칭 태안흥주사은행나무 (泰安興住寺銀杏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1 주 지정일 2001.06.30 소재지 충남 태안군 태안읍 상옥리 1154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흥주사 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태안 흥주사..
-
태안향교 (泰安鄕校)-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24. 18:37
태안향교 (泰安鄕校)-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 태안향교 (泰安鄕校) 태안향교 (泰安鄕校)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 명칭 태안향교 (泰安鄕校)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3,074㎡ 지정일 1997.12.23 소재지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725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충남향교재단,태안향교 설명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태안향교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처음 지었는데, 훗날 지금의 태안중학교 자리로 옮겨 지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불타 없어진 것을 숙종 46년(1720)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 지은 것이다. 제사지내는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 교육 공간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
-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6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22. 18:59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67호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67호 명칭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기타 수량 일곽 지정일 1978.10.27 소재지 충북 충주시 풍동 산45-1 시대 소유.관리 평택임씨종중 설명 병자호란 때의 명장 임경업(1594∼1646) 장군의 묘소이다. 광해군 10년(1618) 무과에 급제한 후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 때에는 의주부윤으로 있으면서 백마산성에서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등 나라를 지키는 일에 주력하였다. 청을 반대하던 장군은 병자호란이 끝난 뒤 반대파에 의한 모함으..
-
증평 배극렴 묘소 (曾坪 裵克廉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21. 18:55
증평 배극렴 묘소 (曾坪 裵克廉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 증평 배극렴 묘소 증평 배극렴 묘소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 명칭 증평 배극렴 묘소 (曾坪 裵克廉 墓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1곽 지정일 1994.12.30 소재지 충북 증평군 증평읍 송산리 산2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주배씨종중 설명 고려 후기 왜구토벌에 공을 세운 조선 개국공신 필암(筆菴) 배극렴(1325∼1392)의 묘소이다.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진주수령·상주목사·계림부윤·화령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우왕 2년(1376) 진주도원수가 되어 왜구를 대파하였으며, 우왕 4년(1378) 경상도원수로서 욕지도에서 왜구를 대파하였다. 고려 우왕 14년(1388) 요동출병 때 이성계 휘하에 참..
-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陰城 權近 三代 墓所 및 神道碑)-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9. 22:06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陰城 權近 三代 墓所 및 神道碑)-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 명칭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陰城 權近 三代 墓所 및 神道碑)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일원 지정일 1980.01.09 소재지 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안동권씨문충공파,권영수 설명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이며 학자였던 양촌(陽村) 권근(1352∼1409)과 선생의 아들 권제, 손자 권람의 3대묘이다. 선생은 공민왕 17년(1368) 성균시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공민왕(재위 1352∼1374)이 죽자 정몽주·정도전과 함께 배원친명(排元親明)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