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황산 표충사 (天皇山表忠寺)-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8. 22:33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7호 명칭
천황산표충사 (天皇山表忠寺)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20,026,399㎡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시대
소유.관리
국유,사유,표충사 설명
표충사는 신라 무열왕 원년(654) 원효대사가 터를 잡아 세운 죽림사(竹林寺)이다. 흥덕왕 4년(829) 셋째 왕자가 몹쓸 병을 얻어 전국의 명산과 명의를 찾던 중 이곳의 약수를 먹고 병이 낫게 되자 탑을 세우고 약수 이름을 영정약수라 불렀다고 한다. 이때부터 절 이름을 재약산영정사라 부르고 절을 크게 부흥시켰다. 신라 때는 보우국사가, 고려시대 때는 해린국사가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며 특히 일연이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탈고하였다고 한다. 조선 헌종 5년(1839) 영축산 백하암에 있던 사명대사의 사당을 이곳에 옮기면서 표충사라 하였는데, 이 사당을 절에서 관리하면서 사(祠)자가 사(寺)로 바뀌었다.
사명대사는 서산대사의 제자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평양 탈환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신으로 임명되어 여러 차례 적진에 들어가 회담을 했고, 그 성과로 포로로 잡혀간 3003여명의 동포를 데리고 귀국하는 등 외교적 업적을 남겼다.
현재 이곳에는 중앙에 사명대사의 영정이 있고 동쪽에는 그의 스승인 서산대사, 서쪽에는 임진왜란 때 금산싸움에서 전사한 기허당의 영정을 함께 모시고 있다.
주위의 뛰어난 경관뿐 아니라 불교와 유교가 통합되어 있는 한국사찰의 유연성을 보여 주는 곳이다.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 '문화재 > 내가 본 시도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 칠충사 (槐山 七忠祠)-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0) 2013.07.14 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 (槐山 孤山亭 및 霽月臺)-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0) 2013.07.14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尙州 壬亂北川戰跡地)-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 (0) 2013.06.22 상주 흥암서원 (尙州 興巖書院)흥암서원 (興巖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0) 2013.06.22 문경장수황씨종택의탱자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135호-경상북도 기념물 제135호 (0) 201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