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옥천 조헌 묘소 (沃川 趙憲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1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9. 20:08
옥천 조헌 묘소 (沃川 趙憲 墓所)-충청북도 기념물 제14호 옥천 조헌 묘소 (沃川 趙憲 墓所) 옥천 조헌 묘소 (沃川 趙憲 墓所)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14호 명칭 옥천 조헌 묘소 (沃川 趙憲 墓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기타 수량 일곽 지정일 1976.12.21 소재지 충북 옥천군 안남면 도농리 산63-1 시대 소유.관리 사유,배천조씨종중 설명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대학자이며 의병장인 중봉(重峰) 조헌(1544∼1592) 선생의 묘소이다. 명종 22년(1567)에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관직에 있을 때는 국가 정책에 있어 바른 말을 서슴치 않았으며, 특히 일본과의 친교정책에 목숨을 걸고 반대하였다. 학문에 조예가 깊었던 선생은 관직에서 물러난 뒤 옥천에 후율정사를 짓고 ..
-
옥천 척화비 (沃川 斥和碑)-충청북도 기념물 제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9. 17:26
옥천 척화비 (沃川 斥和碑)-충청북도 기념물 제6호 옥천 척화비 (沃川 斥和碑) 옥천 척화비 (沃川 斥和碑)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6호 명칭 옥천 척화비 (沃川 斥和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76.12.21 소재지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산4-4 시대 소유.관리 국유,옥천군 설명 척화비는 조선 후기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서양세력을 배척할 것을 온 백성에게 경고하고자 서울과 전국 교통 요충지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 이 척화비는 원래 땅에 묻히었다가 후에 산 기슭으로 자리를 옮겨 이곳에 남게 되었다.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각 면이 많이 파손된 모습이다. 앞면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
-
옥천 육영수 생가 (沃川 陸英修 生家)-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9. 16:54
옥천 육영수 생가 (沃川 陸英修 生家)-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123호 명칭 옥천 육영수 생가 (沃川 陸英修 生家)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 일원(9,133.4㎡) 지정일 2002.04.26 소재지 충북 옥천군 옥천읍 향수길 119(교동리 313)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옥천군 설명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25년 11월 29일에 태어난 장소이다. 현재 건물은 없지만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송정승 및 민정승이 거주하여 삼정승의 집이라 불리던 가옥을 육영수 여사의 부친인 육종관씨가 민정승의 자손 민대감에게서 1920년 매입하였다고 한다. 6,047㎡의 대지 위에 1970..
-
영동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 (永同 德水李氏 六世八孝旌門)-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8. 22:57
영동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 (永同 德水李氏 六世八孝旌門)-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109호 명칭 영동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 (永同 德水李氏 六世八孝旌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생활유적 수량 1 동 지정일 1999.09.15 소재지 충북 영동군 양산면 원당리 424-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덕수이씨참판공정철파종중,이승열 설명 정문(旌門)이란 충신·효자·열녀들을 표창하기 위해 마을 입구나 집 문앞에 세우던 붉은 문을 말한다. 이 정문은 조선 선조(재위 1576∼1608)대부터 영조(재위 1724∼1776)대까지 덕수이씨 가문의 6인의 효자와 2인의 효부에 대한 효행을 기리기 위해 ..
-
단양 금굴 유적 (丹陽 금굴 遺蹟)-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4. 22:57
단양 금굴 유적 (丹陽 금굴 遺蹟)-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명칭 단양 금굴 유적 (丹陽 금굴 遺蹟) 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유적분포지/ 유적분포지 수량 4,348㎡ 지정일 1994.12.30 소재지 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담리 산4-18 시대 소유.관리 장인환,단양군 설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문화 유적으로 전기구석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거의 모든 시기의 유물층이 발견되어 각 문화층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1980년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역에 실시된 문화유적 지표조사에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임이 확인되었다. 이후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시대부..
-
괴산 청안사마소 (槐山 淸安司馬所)-충청북도 기념물 제4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4. 21:43
괴산 청안사마소 (槐山 淸安司馬所)-충청북도 기념물 제49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49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49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49호 명칭 괴산 청안사마소 (槐山 淸安司馬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1 동 지정일 1984.12.31 소재지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279 시대 소유.관리 향교재단 설명 청안현의 생원과 진사에 합격한 자들이 설치한 자체협의기구이다. 사마소란 조선 중기 지방 생원·진사들의 협의 기구로 대개 사마시에 합격한 자가 50인 이상 되는 곳에 설치하였다. 처음에는 이들의 친목도모와 정치 토론 및 교육 활동 등으로 그 고장 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점차 수령의 통치에 간섭하고 백성들을 함부로 잡아다 벌을 주는 등 폐단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청안 사마소는 ..
-
괴산 칠충사 (槐山 七忠祠)-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4. 21:15
괴산 칠충사 (槐山 七忠祠)-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명칭 괴산 칠충사 (槐山 七忠祠)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일곽 지정일 1976.12.21 소재지 충북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산94 시대 소유.관리 사유,순창조씨종중 설명 순창 조씨 가문 중에서 충신이었던 7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7충신(조신·조종·조복·조반·조덕공·조덕용·조은)을 제향하기 위해 1975년 문중에서 세웠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아래쪽에는 1973년 세운 칠충각이 있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 충..
-
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 (槐山 孤山亭 및 霽月臺)-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7. 14. 20:52
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 (槐山 孤山亭 및 霽月臺)-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명칭 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 (槐山 孤山亭 및 霽月臺)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1 동 지정일 1978.10.27 소재지 충북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산16-2 시대 소유.관리 사유,유해익 설명 조선 중기 문신인 유근(1549∼1627) 선생이 괴산읍 제월리에 세운 정자인 고산정과 산의 풍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암반(岩盤)인 제월대이다. 선생이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인 선조 29년(1596)에 세운 것으로 처음에는 만송정이라고 했다가, 광해군 때 국정의 어지러움을 피해 이곳에 은거하면서 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