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용주사대웅보전 (龍珠寺大雄寶殿)-Daeungbojeon Hall of Yongjusa Temple, Hwaseong-보물 제194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 10. 14:12
용주사대웅보전 (龍珠寺大雄寶殿) 보물 제1942호 종목 보물 제1942호 명칭 용주사대웅보전 (龍珠寺大雄寶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동 지정일 2017.08.14 소재지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용주사 설명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호하고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세운 절이다. 사도세자의 묘를 화산으로 옮긴 다음해인 정조 14년(1790) 세웠다. 원래 이곳은 통일신라 때 세워 고려시대 때 소실된 갈양사의 옛터라고 전한다. 대웅보전은 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는 건물로 내부·외부를 대단히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또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
-
인천안목 목판-보물 제191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10. 17. 09:13
인천안목 목판 - 보물 제1911호 종목 보물 제1911호 명칭 인천안목 목판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목판각류/ 판목류 수량 42매 지정일 2016.09.01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송광사 관리자 송광사 일반설명 송광사에 소장된 ‘『인천안목 목판』’은 전체 42매로 일부 손상된 부분이 확인되나 결판이 없이 완전하게 전하고 있다. 『인천안목』은 1357년 고려 수경선사본이 간행되었고, 이후 1395년 양주 회암사본, 1529년 순천 송광사본, 1530년 진산 서대사본과 1771년 청량산 문수전 중수본이 판각되었던 적이 있으나, 모본이 되는 목판이 전해지는 것은 이 목판이 유일하다. 이 책은 크게 상․중․하의 3권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권하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