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국보 제12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3. 31. 16:57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국보 제123호 종목 국보 제123호 명칭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사리장치/ 사리장치 수량 일괄 지정일 1966.07.26 소재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국립전주박물관 (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 시대 시대미상 소유.관리 국유,국립전주박물관 설명 마한의 왕궁이 있던 자리로 알려진 터에 있는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제289호)을 보수하기 위해, 1965년 해체하면서 탑을 받치고 있던 기단부와 1층 지붕돌 윗면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발견된 유물들은 백제에서 고려에 이르는 여러시기의 것이다. 기단부 윗면에 品자형으로 뚫린 3개의 구멍 중 동쪽에서는 광배..
-
청자 인물형 주전자 (靑磁 人物形 注子)-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Human Figure-국보 제16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3. 30. 19:32
청자 인물형 주전자 (靑磁 人物形 注子) -국보 제167호 종목국보 제167호 명칭청자 인물형 주전자 (靑磁 人物形 注子) 분류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1개지정일1974.07.09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시대의 만들어진 상형청자로 높이 28.0㎝, 밑지름 11.6㎝의 주전자이다.상형청자는 사물의 모습을 그대로 본떠 만든 것으로 이 주전자는 머리에 모자(관)를 쓰고 도포를 입은 사람이 복숭아를 얹은 그릇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모자 앞 부분에 구멍을 뚫어 물을 넣을 수 있게 하였고, 받쳐든 복숭아 앞 부분에 또다른 구멍을 내어 물을 따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사람의 등 뒤에 손잡이를 붙였으..
-
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국보 제23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3. 30. 18:53
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 - 국보 제239호 종목 국보 제239호 명칭 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 분류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 수량 1폭 지정일 1987.12.26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의 초상화이다. 송시열 선생은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힘있고 논리적인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고 평생 주자학연구에 몰두하여 율곡 이이의 학통을 잇는 기호학파의 주류이었다. 이 초상화는 가로 56.5㎝, 세로 97㎝로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반신상이다. 머리에는 검은색 건을 쓰고 유학자들이 평상시에 입는 옷인 창의를 걸치고 오른쪽을 바라보고 ..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Monument on Bukhansan Mountain Commemorating the Border Inspection by King Jinheung of Silla, Seoul-국보 제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3. 27. 11:37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 국보 제3호 종목 국보 제3호 명칭 (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이 세운 순수척경비(巡狩拓境碑) 가운데 하나로,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한 뒤 왕이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원래는 북한산 비봉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비(碑)를 보존하기 위하여 경복궁에 옮겨 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비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다듬어진 돌을 사용하..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Clay Seated Buddha of Buseoksa Temple, Yeongju -국보 제4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3. 16. 18:05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국보 제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종목국보 제45호 명칭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분류유물 / 불교조각/ 소조/ 불상 수량1 구지정일1962.12.20소재지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부석사설명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으로 가치가 매우 크다.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두꺼운 입술과 날카로운 코 등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
World Cultural Heritage-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국보 제20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2. 18. 09:11
World Cultural Heritage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 -국보 제206호 World Cultural Heritage 종목 국보 제206호 명칭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목판각류/ 판목류 수량 28종2725판 지정일 1982.05.22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해인사 설명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경전, 고승의 저술, 시문집 등이 새겨진 목판이다. 이 목판은 국가기관인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새긴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제32호)과는 달리, 지방관청이나 절에서 새긴 것이다. 현재 해인사 대장경판전 사이에 있는 동·서 사간판전(寺刊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