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ju
-
경주 남산신성 (慶州 南山新城)-Namsansinseong Fortress, Gyeongju문화재/내가 본 사적 2024. 1. 6. 15:40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7,268,982㎡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인왕동 산56번지 외 10필 시대 신라 진평왕 13년(591) 소유자 경주시 등 관리자 경주시 개별안내판 경주 남산신성 慶州 南山新城 사적 남산신성은 남산 북쪽의 계곡과 비교적 야트막한 산봉우리를 이어 쌓은 신라의 산성으로 월성(月城)과 경주평야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다. 성의 둘레는 4,850m 정도로, 동쪽의 명활성(明活城), 서쪽의 서형산성(西兄山城), 북쪽의 북형산성(北兄山城)과 함께 남쪽에서 서라벌을 지키던 중요한 산성이었다. 진평왕 13년(591)에 성을 쌓았다고 하고, 문무왕 19년(679)에 크게 고쳐 쌓았다고 하는데, 성벽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부분은 문무왕 때 고쳐 쌓은 ..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Stone Seated Buddha in Samneunggye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1. 5. 06:39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80.06.11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2-6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안내판 개별안내판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보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은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자리한 석불로 불상의 몸과 광배, 대좌를 모두 갖추었다. 불상의 얼굴 아래쪽이 부서지고 광배(光背)도 부서져 흩어져 있던 것을 발굴, 조사한 후 복원하였다. 불상의 머리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덮여 있고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큰 육계(肉髻)가 있다. 처음부터 불상의 머리와 몸을 따로 제작해 조립한 것인데, 얼굴 아래쪽이 심하게 손상되었던 것을 복원했다. 왼쪽 어깨에만 걸친 옷은 옷의 주름이 간결하고..
-
경주 옥산서원 (慶州 玉山書院)-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문화재/내가 본 사적 2024. 1. 4. 12:41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면적 95,681㎡ 지정일 1967.03.08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옥산리) 시대 조선 선조 5년(1572) 소유자 옥산서원 등 관리 옥산서원 종합안내판 경주 옥산서원 慶州 玉山書院 사적 옥산서원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언적의 학설이 이황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의 중요한 성리학설이 되었으며 조선 성리학의 한 특징을 이루었다. 선조 5년(1572)에 경주부윤 이제민이 지방 유림의 뜻에 따라 처음 세웠고, 이듬해에 옥산서원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유지되..
-
경주 원원사지 (慶州 遠願寺址)-Wonwonsa Temple Site, Gyeongju문화재/내가 본 사적 2023. 12. 29. 19:43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면적 318,630㎡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2번지 시대 신라시대 소유자 경주시 등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봉서산 기슭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이다. 원원사는 밀교의 후계자들인 안혜·낭융 들과 김유신·김의원·김술종 들이 뜻을 모아 국가의 평화를 기원하기 위하여 세웠다고 한다. 절터에는 금당이 있던 자리와 2기의 3층석탑과 석등 그리고 부도가 남아 있다. 탑은 동쪽과 서쪽에 있는데 규모와 형태가 거의 같으며 일제시대에 복원된 것이다. 탑에는 12지신상과 사천왕상을 새겨놓았는데, 그 수준이 매우 높아 통일신라시대 조각의 우수성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두 석탑 사이에는 석등이 있고 4기의 부도가 동쪽과 서쪽 계곡에 나누어..
-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遠願寺址 東·西 三層石塔)-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Wonwonsa Temple Site,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29. 19:18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2기 지정일 2005.04.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산12-3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8세기 중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동·서 쌍탑의 경주 원원사지 동ㆍ서 삼층석탑은 사적 경주 원원사지 안에 있다. 원원사(遠願寺)는 삼국유사에 의하면 밀교(密敎)를 계승한 안혜(安惠)ㆍ낭융(朗融) 등이 김유신ㆍ김의원ㆍ김술종 등과 뜻을 모아 호국의 사찰로 창건하였다고 한다. 동ㆍ서 삼층석탑(높이 약 7m)은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31년 가을(조선건축사론 중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시대 일반형 삼층석탑론(건축잡지 1933.11월호. 藤島亥治郞)에 경주고적보존회에서 복원하였다. 두 탑은 같은 구조와 양식으로 조성된 2중 기단의 삼층석탑이며, 하..
-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慶州 鍪藏寺址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at Mujangsa Temple Site,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29. 18:19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암곡동 산1-7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무장사터는 경주시에서 상당히 먼 거리에 있는 깊은 산골에 있으며,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후 병기와 투구를 매장한 곳이라는 뜻으로 ‘무장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즉 병기가 필요없는 평화스러운 시대를 열겠다는 문무왕의 결연한 의지가 이 절을 창건하는데 큰 힘이 되었고, 또한 절 안에 3층석탑을 세우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석탑의 양식이다. 아래층 기단은 각 면마다 모서리기둥과 가운데기둥 2개를 새겼고, 윗층 기단은 동그란 안상(眼象)을 각 면에 2개씩 조각하..
-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 (慶州 鍪藏寺址 阿彌陀佛 造像 事蹟碑)-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Amitabha Buddha at Mujangsa Temple Site,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29. 17:30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귀부이수 수량 2개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암곡동 산1-9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 경주시 개별안내판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 慶州 鍪藏寺址 阿彌陀佛 造像 事蹟碑 보물 이 사적비는 신라 제39대 소성왕(재위 799~800)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왕비 계화부인(桂花夫人)이 아미타불상을 조성할 때 세운 비석이다. 건립 연대는 801년으로 추정되며 불상을 조성한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1914년에 절터 주변에서 비석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절이 무장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삼국유사』에 무장사는 태종무열왕이 삼국을 통일한 후 이곳에 병기와 투구를 감추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비석은 파손이 심하여..
-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 (慶州 千軍洞 東·西 三層石塔)-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in Cheongun-dong,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29. 15:26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2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천군동 550-2번지 ,550-3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넓은 평지에 동·서로 서 있는 쌍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한 것이다.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양식이며 규모와 수법이 같다. 기단은 각 층마다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는데, 가운데에는 2개씩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각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층마다 5단이며, 처마선은 반듯하게 깎았는데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들려 있다. 3층 몸돌에서는 1939년 발굴조사를 할 때 한 면이 24㎝, 깊이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