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은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자리한 석불로 불상의 몸과 광배, 대좌를 모두 갖추었다. 불상의 얼굴 아래쪽이 부서지고 광배(光背)도 부서져 흩어져 있던 것을 발굴, 조사한 후 복원하였다. 불상의 머리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덮여 있고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큰 육계(肉髻)가 있다. 처음부터 불상의 머리와 몸을 따로 제작해 조립한 것인데, 얼굴 아래쪽이 심하게 손상되었던 것을 복원했다. 왼쪽 어깨에만 걸친 옷은 옷의 주름이 간결하고 몸의 윤곽이 드러나게 밀착되었다. 손의 모양은 오른손을 펼쳐서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은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다. 다른 돌로 만들어진 광배는 파손되어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 복원한 것이다.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위와 아래를 연꽃무늬로 장식한 3단으로 되어 있다. 당당하고 안정감 있는 자세나 섬세한 조각 수법 등은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추정된다.
문화재 설명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며,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의 옷주름선은 간결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허리는 가늘고 앉은 자세는 안정감이 있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상대에는 화려한 연꽃무늬를 조각하였으며, 8각 중대석은 각 면에 간략하게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하대는 단순한 8각대석으로 되어 있다.
8각의 연화대좌에 새겨진 연꽃무늬와 안상을 비롯하여 당당하고 안정된 자세 등으로 보아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