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지리산 쌍계사 일원 (智異山 雙磎寺 一源)-경상남도 기념물 제2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8. 23:21
지리산 쌍계사 일원 (智異山 雙磎寺 一源) -경상남도 기념물 제21호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21호 명칭 지리산 쌍계사 일원 (智異山 雙磎寺 一源)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일원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쌍계사 설명 신라 성덕왕 21년(722)에 지어진 쌍계사는 의상대사의 제자인 대비(大悲)와 삼법(三法)이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도을 닦은 곳이다. 처음에는 절 이름이 옥천사였으나, 신라 후기 정강왕 때 고쳐 지으면서 쌍계사로 바뀌었다. 지금의 절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벽암선사가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은 것이다. 현재 이곳에는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 쌍계사부도(보물 제380..
-
통영 착량묘 (統營 鑿梁廟)착량묘-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6. 13:22
통영 착량묘 (統營 鑿梁廟) -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 착량묘 (鑿梁廟) 착량묘 (鑿梁廟)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 명칭 통영 착량묘 (統營 鑿梁廟)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6동(외삼문 9.10㎡,동재 35. 62㎡, 서재 25.14㎡) 지정일 1974.02.16 소재지 경남 통영시 당동 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재단법인 통영충렬사 설명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착량(鑿梁)이란 ‘파서 다리를 만들다.’라는 뜻으로 당포해전에서 참패한 왜군들이 쫓겨 달아나다 미륵도와 통영반도 사이 좁게 이어진 협곡에 이르러 돌을 파서 다리를 만들며 도망한데서 붙인 이름이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에서 혁혁한..
-
진주 의암 (晋州 義巖)-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2. 20:59
진주 의암 (晋州 義巖)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 의암 (義巖)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 명칭 의암 (義巖)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순절지 수량 400㎡ 지정일 2001.09.27 소재지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진주시 설명 의암은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바위이다. 조선조 선조 26년(1593) 6월 29일,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민관군이 순절하자, 논개는 나라의 원수를 갚기 위해 왜장을 유인하여 이 바위에서 순국하였다. 이에 논개의 순국정신을 현창하기 위해 영남사람들이 의암이라고 명명하였다. 인조 7년(1629) 진주의 선비 정대륭(鄭大隆:1599∼1661)은 바위의 서쪽 벽면에 의암이라는 글자를 전각..
-
밀양 관아지 (密陽 官衙址)-경상남도 기념물 제27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2. 17:49
밀양 관아지 (密陽 官衙址) -경상남도 기념물 제270호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270호 명칭 밀양 관아지 (密陽 官衙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 7,110㎡ 지정일 2009.07.16 소재지 경남 밀양시 내일동 376 외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밀양시장 설명 지방의 수령(守令)이 공무(公務)를 처리하던 곳을 관아(官衙)라 하는데, 『밀주구지(密州舊 誌)』에 밀양의 관아에 대하여 “아사내외 동서헌별실백여간임진왜란탕진무여 만력신해부사 원유남중창(衙舍內外 東西軒別室百餘間壬辰倭亂蕩盡無餘 萬曆辛亥府使元裕男重創)이 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 밀양읍성이 축조될 당시에 관아도 백여칸으로 지어진 것으 로 보인다. 본래 있던 건물은 선조25년(1592년) 4월 임진왜란으로 모조리 불타..
-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2. 16:42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 명칭 거창연수사은행나무 (居昌演水寺銀杏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1 주 지정일 1993.01.08 소재지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40-1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연수사 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