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Seven-story Stone Pagoda in Tappyeong-ri, Chungju-국보 제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10. 12. 21:22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국보 제6호 종목 국보 제6호 명칭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충주시 설명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국보 제21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4. 3. 20:05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국보 제211호 종목 국보 제211호 명칭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경 수량 7권7첩 지정일 1984.05.3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삼국시대이래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법화경』 7권을, 고려 우왕 3년(1377)에 하덕란이 죽은 어머니의 명복과 아버지..
-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국보 제28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4. 1. 15:36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국보 제281호 종목 국보 제281호 명칭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백자 수량 1개 지정일 1993.09.1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조선시대 만들어진 백자로 만든 병모양의 주전자로 총 높이 32.9㎝, 병 높이 29㎝, 아가리 지름 6㎝, 밑 지름 11.4㎝의 크기이다. 아가리는 약간 벌어져 세워져 있고, 짧은 목 밑으로 서서히 벌어져 아랫 부분에 중심을 둔 풍만한 형체이다. 몸체에 각이 진 손잡이를 작은 고리와 함께 부착 시켰고, 뚜껑은 윗면 중앙에 연꽃봉오리 모양의 꼭지와 작은 고리를 연결하였다. 옅은 푸..
-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국보 제22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4. 1. 11:46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국보 제222호 종목 국보 제222호 명칭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백자 수량 1개 지정일 1984.12.07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뚜껑이 있는 청화백자 항아리로 높이 29.2㎝, 아가리 지름 10.7㎝, 밑 지름 14㎝이다. 아가리가 밖으로 말리고 어깨에서 팽배해졌다가 서서히 좁혀져 내려 가며, 뚜껑은 연꽃봉오리 모양의 오똑한 꼭지가 달렸다. 문양은 엷은 청화로 꼭지와 그 주위에 작고 촘촘한 연꽃무늬 띠를 돌리고, 그 바깥쪽으로 큰 점을 일곱 군데에 찍..
-
우리나라 最古의 紀年銘의 智拳印 비로자나불상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국보 제233-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1. 7. 11:04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국보 제233-1호 종목 국보 제233-1호 명칭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1 구 지정일 2016.01.06 소재지 경남 산청군 삼장면 대하내원로 256, 내원사 (대포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내원사 설명 지리산 중턱에 있던 석남암사지에 있다가 현재 내원사로 옮겨 놓은 돌로 만든 비로자나불상이다. 비바람에의한 마멸 때문에 세부표현은 명확하지 않지만 당당하고 세련된 모습이다. 머리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는 높고 큼직한 편이나 약간 파손되었으며, 둥근 얼굴은 부피감이 풍부하여 8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상체는 건장한 모습으..
-
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Sillabi Monument in Naengsu-ri, Pohang-국보 제26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6. 1. 2. 21:25
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국보 제264호 종목국보 제264호 명칭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1기지정일1991.03.15소재지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 342-1번지 신광면사무소 시대신라소유.관리국유,포항시설명이 비는 1989년 마을주민이 밭갈이를 하던 중 발견하였으며, 재산분배를 확인하는 증명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형태는 네모난 자연석으로 밑부분이 넓고 위가 줄어드는 모습이며, 앞면과 뒷면, 그리고 윗면의 3면에 글자를 새겼다. 비문은 거의 닳지 않아 눈으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좋다. 글자는 총 231자이고 서체는 해서체로 보이나, 예서체의 기풍이 많이 남아 있어 비문의 형태와 글씨체면에서 중원..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국보 제1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12. 29. 18:19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국보 제14호 종목 국보 제14호 명칭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400-67, 은해사 거조암 (신원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은해사 설명 은해사는 통일신라 헌덕왕 1년(809) 혜철국사가 지은 절로 처음에는 해안사라 하였다고 하며 여러 차례 있었던 화재로 많은 건물을 다시 지었는데, 지금 있는 건물들의 대부분은 근래에 세운 것들이다. 거조사는 은해사 보다 먼저 지었지만, 근래에 와서 은해사에 속하는 암자가 되어 거조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돌계단을 오르는 비교적 높은 기단 위에 소박하고 간결하게 지은..
-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傳 山淸 石南巖寺址 蠟石舍利壺)-국보 제23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5. 8. 14. 16:41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傳 山淸 石南巖寺址 蠟石舍利壺) -국보 제233호 종목 국보 제233호 명칭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傳 山淸 石南巖寺址 蠟石舍利壺)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사리장치/ 사리장치 수량 1점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부산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시립박물관 (대연동,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대 소유.관리 공유,부산시립박물관 설명 경상남도 지리산 암벽 아래에 있는 암자터에서 불상이 없는 대좌의 가운데 받침돌 안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때의 거무스름한 곱돌(납석)로 만들어진 항아리로 총 높이 14.5㎝, 병 높이 12㎝, 아가리 지름 9㎝, 밑 지름 8㎝이다. 몸통에 비해 도톰한 턱이 주둥이에 둘러져 있고, 밑 부분은 평편하고 넓어 안정감을 준다. 항아리의 아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