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보물 제174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1. 17:03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보물 제1745호 종목 보물 제1745호 명칭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 분류 유적건조물 / / / 수량 일곽 지정일 2011.12.3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 불국사 설명 □ 입지 현황 및 역사문화환경 경주 불국사는 신라의 동악(東岳)인 토함산(土含山) 서측 기슭에 위치하며,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불국사의 지형은 북측이 높고 남측이 낮은 북고남저(北高南低)와 동측이 높고 서측이 낮은 동고서저(東高西低)으로 지형에 따라 석축을 가구식으로 조화롭게 쌓았으며, 동측 사역에는 자하문, 대웅전, 무설전을 남북 축선에 배치하면서 회랑을 둘러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대웅전의 동·서..
-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慶州 佛國寺 靈山會上圖 및 四天王壁畵)-보물 제179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1. 16:37
경주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慶州 佛國寺 靈山會上圖 및 四天王壁畵) -보물 제1797호 종목 보물 제1797호 명칭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慶州 佛國寺 靈山會上圖 및 四天王壁畵)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 불화 1폭, 벽화 2점 지정일 2013.02.28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 불국사 설명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慶州 佛國寺 靈山會上圖 및 四天王壁畵)’는 1769년에 영조의 딸인 화완옹주와 상궁 김씨 등이 시주하여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와 2점의 사천왕 벽화로 이루어진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조성연대는 영산회상도에만 1769년이라는 연대가 있고 사천왕 벽화에는 조성연대 없이 화원의 이름만 적혀 있..
-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국보 제2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1. 14:50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국보 제24호 석굴암과 불국사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종목 국보 제24호 명칭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석굴암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석굴암 설명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재들..
-
충의당 (忠義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3. 11. 13:51
충의당 (忠義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 명칭 충의당 (忠義堂)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7동) 지정일 1993.02.25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49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최채량 설명 정무공 최진립(1568∼1636)이 살았던 곳으로 가옥의 사랑채에 해당된다. 처음에는 당호를 흠흠당이라 했는데 1760년경 건물을 수리한 후 충의당으로 이름을 바꿨다. 건물은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집의 구성은 정면의 충의당을 중심으로 뒷면에 정침과 광채 그리고 흠흠당이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에는 제향공간이 있어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전형적인 배치방법을 지니고 있다. 인근에..
-
용산서원 (龍山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8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11. 13:30
용산서원 (龍山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88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88호 명칭 용산서원 (龍山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8,138㎡ 지정일 1993.02.25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659외 2필 시대 소유.관리 최채량,경주최씨가암파문중 설명 정무공 최진립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잠와 최진립(1568∼1636)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 때 적군과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죽은 뒤에 지금의 장관격인 병조판서 직함을 받았고 청백리로 기록되었다. 숙종 25년(1699)에 세운 이 서원은 숙종 37년(1711)에 ‘숭렬사’라는 현판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7년(187..
-
경주 불국사 석조 (慶州 佛國寺 石槽)-보물 제152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1. 13:07
경주 불국사 석조 (慶州 佛國寺 石槽) -보물 제1523호 종목 보물 제1523호 명칭 경주 불국사 석조 (慶州 佛國寺 石槽)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량 1 기 지정일 2007.09.1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진현동 13-5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불국사 설명 경주 불국사 석조는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수조의 형상이 원형인 백제시대의 석조와 달리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형상인 직사각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외면에 조각이 있는 점과 다른 직사각형의 석조와는 달리 모서리를 둥글게 한 것이 특이하다. 특히 내부 바닥면의 화려한 연화문 조각은 통일신라시대 불교미술의 뛰어난 조형의식과 높은 예술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