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Daeungjeon Hall of Bulguksa Temple, Gyeongju-보물 제174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1. 09:18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보물 제1744호 종목 보물 제1744호 명칭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2011.12.3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불국사 설명 □ 입지 현황 및 역사문화환경 경주 불국사는 신라의 동악(東岳)인 토함산(土含山) 서측 기슭에 위치하며,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불국사의 지형은 북측이 높고 남측이 낮은 북고남저(北高南低)와 동측이 높고 서측이 낮은 동고서저(東高西低)으로 지형에 따라 석축을 가구식으로 조화롭게 쌓았으며, 동측 사역에는 자하문, 대웅전, 무설전을 남북 축선에 배치하면서 회랑을 둘러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대웅전의 동·서측면에..
-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Flagpole Supports at Namgansa Temple Site, Gyeongju-보물 제90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0. 20:12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보물 제909호 종목 보물 제909호 명칭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 1 기 지정일 1987.03.09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858-6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절에서는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매달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의 좌우에 세워 단단히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 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 남아 있다. 이 당간지주는 남간사의 옛터에서 약 500m 떨어진 논 가운데에 세워져 있다. 논을 경작하면서 지주의 아래부분이 약 50㎝정도 드러나 있으며,..
-
석가탑,무영탑-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국보 제2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0. 13:45
석가탑,무영탑-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국보 제21호 종목 국보 제21호 명칭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불국사 설명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 『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국사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혜공왕 10년(774) 12월 그가 목숨을 다할 때까지 짓지 못하여, 그 후 나라에..
-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 佛國寺 多寶塔)-Dabotap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국보 제2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0. 13:05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 佛國寺 多寶塔)-국보 제20호 종목 국보 제20호 명칭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 佛國寺 多寶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불국사 설명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국사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가 목숨을 다할 때까지 짓지 못하여 그 후 나라에서 완성하여 나라의 복을 비는 절로 삼게 되었다. 다보탑..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慶州 佛國寺 蓮華橋 및 七寶橋)-국보 제2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0. 12:20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慶州 佛國寺 蓮華橋 및 七寶橋)-국보 제22호 종목 국보 제22호 명칭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慶州 佛國寺 蓮華橋 및 七寶橋)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교량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불국사 설명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연화교와 칠보교는 극락전으로 향하는 안양문과 연결된 다리로, 세속 사람들이 밟는 다리가 아니라, 서방 극락세계의 깨달은 사람만이 오르내리던 다리라고 전해지고 있다. 전체 18계단으로, 밑에는 10단의 연화교가 있고 위에는 8단의 칠보교가 놓여있다. 청운교 ·백운교보..
-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慶州 佛國寺 靑雲橋 및 白雲橋)-국보 제2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0. 11:26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慶州 佛國寺 靑雲橋 및 白雲橋)-국보 제23호 종목 국보 제23호 명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慶州 佛國寺 靑雲橋 및 白雲橋)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교량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을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는데, 다리 아래의 일반인의 세계와 다리 위로의 부처의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전체 34계단으로 되어 있는 아래로는 18단의 청운교가 있고 위로는 16단의 백운교가 있다. 청운교(靑雲..
-
-
경주 나정 (慶州 蘿井)-Najeong Well, Gyeongju-사적 제245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0. 10:54
경주 나정 (慶州 蘿井) -사적 제245호 종목 사적 제245호 명칭 경주 나정 (慶州 蘿井)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주거시설 수량 7,328㎡ 지정일 1975.11.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700-1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가 태어난 전설을 간직한 우물이다. 신라가 세워지기 전의 경주지역 일대는 진한의 땅으로 6명의 촌장들이 나누어 다스리고 있었다. 그 중 고허촌장인 소벌도리공이 양산 기슭 우물가에서 흰 말 한 마리가 무릎을 꿇고 울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그곳으로 가보니 빛이 나는 큰 알이 하나 있었다. 알 속에서 남자아이가 태어나자 하늘에서 보내준 아이라고 생각하여 잘 길렀다. 박처럼 생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성을 박(朴)이라 하고,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