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경주 대릉원 일원 (慶州 大陵園 一圓)-Daereungwon Ancient Tomb Complex, Gyeongju-사적 제51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1:17
경주 대릉원 일원 (慶州 大陵園 一圓) -사적 제512호 종목 사적 제512호 명칭 경주 대릉원 일원 (慶州 大陵園 一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 600,423㎡ 지정일 2011.07.28 소재지 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등 1,944필지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북 경주시에 있는 신라 시대의 고분군. 본래 사적 38호 경주노동리고분군(慶州路東里古墳群), 사적 39호 경주노서리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 사적 40호 경주황남리고분군(慶州皇南里古墳群), 사적 41호 경주황오리고분군(慶州皇吾里古墳群), 사적 42호 경주인왕리고분군(慶州仁旺里古墳群)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2011년 7월 28일 문화재청이 역사성과 특성을 고려하여 경주 평야 한복판에 서로 인접해 있는 신..
-
경주 낭산 일원 (慶州 狼山 一圓)-사적 제16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3. 22:55
경주 낭산 일원 (慶州 狼山 一圓) -사적 제163호 종목 사적 제163호 명칭 경주 낭산 일원 (慶州 狼山 一圓) 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유적분포지/ 유적분포지 수량 831,729㎡ 지정일 1968.12.13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214-2 시대 시대미상 소유 국유,사유 관리 경주시 설명 누에고치모양처럼 남북으로 길게 누워 낮은 구릉을 이루는 이 산은 신라 실성왕 12년(413)부터 신성하게 여겨져 성역으로 보존되어 온 곳이다. 기록에는 ‘왕이 낭산에 상서로운 구름이 서린 것을 보고 신하들에게 신령이 하늘에서 내려와 노는 곳이니 당연 복을 주는 지역이다. 이제부터는 낭산의 나무 한 그루도 베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7세기부터는 불교의 성스러운 산으로 왕실에 복을 주는 ..
-
경주 보문동 사지 (慶州 普門洞 寺址)-사적 제39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3. 21:21
경주 보문동 사지 (慶州 普門洞 寺址)- 사적 제390호 종목 사적 제390호 명칭 경주 보문동 사지 (慶州 普門洞 寺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88,485㎡ 지정일 1994.12.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848-6외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공유,사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신라시대 절터를 가리킨다. 이 유적은 보문부락의 앞들판에 있으며 멀리 서쪽에는 경주 낭산(사적 제163호), 북쪽에는 명활산성(사적 제47호)이 있다.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신라 경문왕 11년(871)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절터의 대부분은 넓은 논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발견되는 석재들로 미루어 당시에는 많은 건물들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제시대 때 ‘보문..
-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幢竿支柱)-보물 제12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3. 21:06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幢竿支柱) -보물 제123호 종목 보물 제123호 명칭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幢竿支柱)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 1 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856-3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절에서는 의식이 있을 때 절의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곳은 ‘보문(普門)’이라고 새겨진 기와조각이 출토되어 보문사터로 알려졌으며, 터에서 상당히 떨어진 북쪽에 이 당간지주가 서있다. 지주의 양 기둥이 62㎝ 정도의 간격을 두고 마주 보고 있으며, 양쪽 기둥 가운데 북쪽 기둥..
-
경주 보문사지 석조 (慶州 普門寺址 石槽)-보물 제6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3. 20:54
경주 보문사지 석조 (慶州 普門寺址 石槽)-보물 제64호 종목 보물 제64호 명칭 경주 보문사지 석조 (慶州 普門寺址 石槽)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량 1 개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848-16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보문사터로 알려진 곳에 남아 있는 석조이다. ‘보문(普門)’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면서 보문사터로 알려진 이 곳에는 부처님을 모셨던 금당터와 쌍탑이 있었던 흔적이 있고, 당간지주, 석등받침돌 등이 함께 남아 있다. 이 석조는 절에서 생활에 필요한 물을 받아 두기 위해 만든 돌물통으로, 지금도 절에서는 이와 비슷한 것이 급수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큰 돌 하나로 내부를 파내어 물을 담도록 하였는데, 윗부분의 ..
-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蓮華文 幢竿支柱)-보물 제91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3. 20:28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慶州 普門寺址 蓮華文 幢竿支柱) - 보물 제910호 종목 보물 제910호 명칭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蓮華文 幢竿支柱)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 1 기 지정일 1987.03.09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752-2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기도나 법회 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사찰의 입구에 세워 부처와 보살의 성덕을 표시하는 기를 당(幢)이라 하며, 이를 달아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고, 이 장대를 양옆에서 지탱하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의 동남쪽에는 보문사의 옛터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당간지주가 속한 절이 원래 보문사였는지, 아니면 별개의 사원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재 이 당간..
-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보물 제66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13. 20:00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보물 제665호 종목 보물 제665호 명칭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1 좌 지정일 1980.06.1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18-3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경주 낭산 서쪽 기슭의 바위면에 삼존불(三尊佛)이 조각되어 있는데, 표면이 거칠고 균열이 심한 상태이다. 가운데에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갖춘 본존불이 있고, 양 옆으로 협시불이 있다. 본존불의 둥글고 양감있는 얼굴은 광대뼈가 튀어 나오고 살짝 미소를 띤 매우 독특한 모습이다. 본존은 머리에 두건을 쓰고 있고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은 고려 불화에서 보이는 지장 보살의 모습과 비슷하여 흥미롭다...
-
문무왕의 화장터로 추정되는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13. 19:40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 명칭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일원 지정일 1982.08.04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621-1 시대 소유.관리 국유,중생사 설명 경북 경주시 남산에 흐트러져 있던 탑의 재료를 새로 맞추어 놓은 것으로 예로부터 능지탑 또는 연화탑이라 불려왔다고 한다. 원래는 기단 사방에 12지신상을 새긴 돌을 세우고 그 위에 연꽃무늬가 있는 석재를 쌓아올린 5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은 임종 후 10일 내에 왕궁 밖 뜰에서 검소하게 화장하라고 유언하였는데, 탑 주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되고 사천왕사, 선덕여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