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경주 오릉 (慶州 五陵)-사적 제17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9. 09:44
경주 오릉 (慶州 五陵)-사적 제172호 종목 사적 제172호 명칭 경주 오릉 (慶州 五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89,550㎡ 지정일 1969.08.27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67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시내 평지 서남쪽에 위치한 4기의 봉토무덤과 1기의 원형무덤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와 제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 등 신라 초기 4명의 박씨 임금과 혁거세의 왕후인 알영왕비 등 5명의 무덤이라 되어 있다. 『삼국유사』에는 혁거세왕이 임금자리에 있은지 62년 만에 하늘로 올라갔다가 7일 후에 몸이 흩어져 땅에 떨어지자 왕비도 따라 죽으니, 사람들이 같이 묻으려고 했으나 큰 뱀이 방해해서 몸의 다섯부분을 각각 묻었는데, ..
-
경주 문무대왕릉 (慶州 文武大王陵)-사적 제158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9. 09:36
경주 문무대왕릉 (慶州 文武大王陵)-사적 제158호 종목 사적 제158호 명칭 경주 문무대왕릉 (慶州 文武大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123,951㎡ 지정일 1967.07.24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 해중(대왕암)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문무왕은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또한 병부, 창부 등 중앙관청을 창설하였고, 지방통치를 위한 5소경제도와 9서당 10정의 군사제도의 기틀을 마련하는 등 국가 체제 완성의 기초를 제공하..
-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Tomb of King Heungdeok, Gyeongju-사적 제3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9. 08:47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사적 제30호 종목 사적 제30호 명칭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61,983㎡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의 무덤으로 무덤제도가 잘 갖추어진 왕릉이다. 흥덕왕의 본명은 김수종金秀宗(경휘景徽)이며,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다. 장보고로 하여금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서해를 방어하게 하였고, 당으로부터 가져온 차(茶) 종자를 지리산에 심어 재배하도록 하였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20.8m, 높이 6m이다. 비교적 커다란 둥근 봉토분으로 무덤 밑에는 둘레돌을 배치하여 무덤을 보호하..
-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사적 제29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9. 08:22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 -사적 제29호 종목 사적 제29호 명칭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18,007㎡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동천동 80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 북천가에 있는 신라 제41대 헌덕왕(재위 809∼826)의 무덤이다. 헌덕왕의 본명은 김언승이며,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 재위기간 동안에 농사를 권장하고 당나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김헌창의 난과 김범문의 난이 일어나는 등 국내정세가 혼란스러웠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826년에 왕이 죽자 천림사의 북쪽에 장사지냈다고 한다. 천림사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 왕릉의 남쪽에 절터가 있어 이곳을 천림사 터로 ..
-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사적 제28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3:17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사적 제28호 종목 사적 제28호 명칭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11,174㎡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조양동 산8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에서 불국사 방향으로 가는 길의 동남쪽 구릉 소나무숲 속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33대 성덕왕(재위 701∼737)의 무덤이다. 성덕왕은 신문왕의 아들로 본명은 융기이다. 당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으며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된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어 나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737년에 왕이 죽자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왕릉 북쪽에 이거사로 추정되는 절터가 있다. 이 능은 밑둘레 46m 높이5m이다. 무덤 아..
-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사적 제2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2:47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 -사적 제26호 종목 사적 제26호 명칭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75,372㎡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산17 시대 삼국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괘릉은 낮은 구릉의 남쪽 소나무 숲에 있는 것으로 신라 제38대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원성왕의 이름은 경신이며 내물왕의 12대 후손으로 독서삼품과를 새로 설치하고 벽골제를 늘려쌓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왕릉이 만들어지기 전에 원래는 작은 연못이 있었는데, 연못의 모습을 변경하지 않고 왕의 시체를 수면 위에 걸어 장례하였다는 속설에 따라 괘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약 ..
-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사적 제24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1:45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사적 제24호 종목 사적 제24호 명칭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9,4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산48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구릉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28대 진덕여왕(재위 647∼654)의 무덤이다. 진덕여왕은 선덕여왕의 뒤를 이은 신라의 2번째 여왕으로 본명은 승만이다. 진평왕의 동생인 국반갈문왕과 월명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신라의 마지막 성골 출신 왕이다. 7년간 왕으로 있는 동안 국력을 기르고 당나라와 적극적 외교를 통해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하여 삼국통일의 기초를 닦았다. 무덤은 흙으로 덮은 둥근..
-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사적 제2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1:31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 -사적 제23호 종목 사적 제23호 명칭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9,4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제35대 경덕왕(재위 742∼765)의 무덤이라 전해지는 곳으로 경주 시가지에서 서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구릉에 자리하고 있다. 경덕왕은 성덕왕의 아들이며 이름은 헌영이다. 신라 왕실의 전제왕권이 쇠퇴되기 시작하는 시기에 왕위에 올라 행정구역 개편·직제개편 등을 단행하였다. 봉분은 둥근 모양이며, 무덤 주위에 봉분을 보호하기 위한 둘레돌을 둘렀다. 둘레돌은 목조건축물의 돌기단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