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사적 제50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8:44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사적 제502호 석굴암과 불국사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종목 사적 제502호 명칭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409,315㎡ 지정일 2009.12.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등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종교(불국사),사유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불국사 설명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의 일부 건물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에서 1..
-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사적 제18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7:11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사적 제186호 종목 사적 제186호 명칭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35,702㎡ 지정일 1969.08.27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53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문왕의 둘째 아들인 신라 제50대 정강왕(재위 886∼887)의 무덤이다. 정강왕은 형인 헌강왕에 이어 886년 7월에 왕위에 올랐으나 887년 7월에 병으로 죽어 왕위에 있던 기간이 만 1년밖에 되지 않았다. 무덤의 외형은 흙으로 덮은 둥근 형태로,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밑둘레에 3단으로 돌을 쌓았다. 그 중 제일 밑단만이 밖으로 약간 나왔으며, 무덤 앞에는 돌단이 있는데, 그 위에 돌로 만든 작은 제삿상이 있다. 무덤의 구조는 헌..
-
경주 헌강왕릉 (慶州 憲康王陵)-사적 제187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6:51
경주 헌강왕릉 (慶州 憲康王陵) -사적 제187호 종목 사적 제187호 명칭 경주 헌강왕릉 (慶州 憲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69,626㎡ 지정일 1969.08.27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55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제49대 헌강왕(재위 875∼886)의 무덤이다. 헌강왕은 왕위에 있는 동안 태평성대를 이루었는데, 거리마다 노랫소리가 끊이지 않았고 일본왕이 황금을 바칠 정도였다고 한다. 높이 4.2m, 지름 15.3m의 둥근형태로 흙을 쌓은 원형 봉토무덤으로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무덤 밑둘레에 돌을 4단으로 쌓았다. 일찌기 도굴되었으며 비에 의한 피해로 긴급조사를 하였다. 관이 놓여 있는 방은 네모 형태로 천장은 둥글게 모아져 있는 활천장(..
-
경주 일성왕릉 (慶州 逸聖王陵)-사적 제17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5:29
경주 일성왕릉 (慶州 逸聖王陵)-사적 제173호 종목 사적 제173호 명칭 경주 일성왕릉 (慶州 逸聖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34,618㎡ 지정일 1969.08.27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산23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7대 일성왕(재위 134∼154)의 무덤이다. 왕은 북쪽 변방에 침입하는 말갈인을 막고, 농토를 넓혀 제방을 쌓는 등 농업을 권장했으며, 백성들에게 금·은·보석의 사용을 금지하여 사치풍조를 멀리하게 했다. 왕릉은 높이 5.3m, 지름 15m의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이다. 밑둘레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둘레돌을 둘렀으며, 내부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이다. 무덤 앞 2단 축대는 경내를 보호하기 위해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다...
-
경주 지마왕릉 (慶州 祗摩王陵)-사적 제221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4:40
경주 지마왕릉 (慶州 祗摩王陵)-사적 제221호 종목 사적 제221호 명칭 경주 지마왕릉 (慶州 祗摩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9,488㎡ 지정일 1971.04.28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동 30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지마왕(112∼134)의 무덤으로 23년간 재위하면서 가야, 왜구, 말갈의 침입을 막았다. 성은 박씨로서 파사왕의 아들이다. 무덤의 모양은 비교적 규모가 큰 둥근무덤으로 남산에 뻗은 경사면의 높은 곳에 만들었으며 별다른 특징은 없다. 무덤의 위치와 규모 및 형태로 보아 신라 초기에 만든 것으로 볼 수는 없다. 무덤 앞에 최근에 설치한 작은 석상이 놓여있다. ※(지마왕릉 → 경주 지마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
경주 배동 삼릉 (慶州 拜洞 三陵)-Three Royal Tombs in Bae-dong, Gyeongju 사적 제219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4:10
경주 배동 삼릉 (慶州 拜洞 三陵)-사적 제219호 종목사적 제219호명칭경주 배동 삼릉 (慶州 拜洞 三陵)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205,289㎡지정일1971.04.28소재지경북 경주시 배동 산73-1 시대통일신라소유국유관리경주시설명배리삼릉은 경주 남산의 서쪽 기슭에 동서로 3개의 왕릉이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밑으로부터 신라 8대 아달라왕,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 등 박씨 3왕의 무덤이라 전하고 있다. 무덤은 모두 원형으로 흙을 쌓아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신덕왕릉이라 전해오는 가운데의 무덤은 1953년과 1963년에 도굴 당하여, 내부를 조사한 결과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임을 확인하였다. 무덤에는 돌방 벽면에 병풍을 돌려 세워 놓은 것처럼 동·서 양벽의 일부..
-
경주 경애왕릉 (慶州 景哀王陵)-사적 제22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3:48
경주 경애왕릉 (慶州 景哀王陵)-사적 제222호 종목 사적 제222호 명칭 경주 경애왕릉 (慶州 景哀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사적219호에 포함 지정일 1971.04.28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동 산73-1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55대 왕인 경애왕(재위 924∼927)의 무덤으로, 경명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 4년이 되던 해에 포석정에서 잔치를 베풀고 있을 때, 후백제 견훤의 습격을 받아서 비참한 최후를 마친 왕이다. 무덤은 삼릉계곡 입구의 소나무 숲 안에 있으며, 일반무덤와 같아서 별다른 특징은 없다. 신라왕릉으로는 빈약한 편이며 발굴된 적은 없다. 『삼국사기』에는 경애왕을 남산 해목령에 장사지냈다고 되어있다. 해목령은 경애왕릉에서 ..
-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Areas-경주 남산 일원 (慶州 南山 一圓)-사적 제311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3:23
경주 남산 일원 (慶州 南山 一圓)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Areas -사적 제311호 종목 사적 제311호 명칭 경주 남산 일원 (慶州 南山 一圓) 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유적분포지/ 유적분포지 수량 18,099,000㎡ 지정일 1985.02.23 소재지 경북 경주시 시대 삼국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 남산은 금오산이라고도 하며, 신라 천년의 역사를 통해 가장 신성시 되어왔던 곳이다. 수많은 전설과 역사 유적들이 펼쳐져 있는 곳으로, 불교 관련 유적 뿐만 아니라 왕릉, 무덤, 궁궐터들이 남아있어 신라 문화의 집결체라고도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남산에서 나라일을 의논하면 반드시 성공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런 까닭에 남산에 얽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