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宜寧 世干里 銀杏나무)-Ginkgo Tree of Segan-ri, Uiryeo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9. 26. 18:45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1주 1982.11.09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외 3필 의령군 외 의령군 개별안내판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宜寧 世干里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302호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600년 정도 되는 나무이다. 높이는 약 24.5m, 가슴 높이의 둘레는 약 10.3m에 이른다. 예부터 주민들은 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참나무(산신나무)를 신성히 여겨 산신제를 올렸으며 마을 어귀에 있는 현고수(느티나무)와 세간리 은행나무 주위를 돌며 마을의 풍요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동신제를 지냈다. 세간리 은행나무는 열매를 맺는 암나무로 모양이 아름답고 우람하여 가을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하..
-
지리산 천년송 (智異山 千年松)-Cheonnyeonsong Pine Tree in Jirisan Mountain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9. 20. 12:32
분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수량1주/907㎡지정일2000.10.13소재지전북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산111번지소유자정*** 관리자남원시 문화재 설명지리산 천년송은 나이가 약 500여살로 추정되는 소나무로 높이는 20m, 가슴높이의 둘레는 4.3m이며, 사방으로 뻗은 가지의 폭은 18m에 달한다. 지리산의 구름도 누워간다고 이름 붙여진 와운마을의 주민 15인이 이 나무를 보호 관리하고 있어 상태가 좋고 수형 또한 매우 아름답다.이 나무는 와운마을 뒷산에서 임진왜란 전부터 자생해 왔다고 알려져 있으며 20m의 간격을 두고 한아시(할아버지)송과 할매(할머니)송이 이웃하고 있는데, 이중 더 크고 오래된 할매송을 마을주민들은「천년송」이라 불러오며 당산제를 지내왔다 한다. 매년 초사흗날에..
-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英陽 甘川里 側柏나무 숲)Forest of Oriental Arborvitae in Gamcheon-ri, Yeongya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8. 1. 13:27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분포학 면적 9,917㎡ 지정일 1962.12.07 소재지 경북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산171번지 소유자 감천1리마을회 관리자 영양군 문화재 설명 측백나무는 중국 및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단양, 달성, 영양, 안동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절벽 암석에 뿌리를 내리고 숲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환경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주택과 마을 주변에 많이 심는 나무이다. 영양의 측백나무 자생지는 영양읍내에서 가까운 반변천(半邊川)의 건너편 절벽에 위치하고 있으며, 숲 내의 측백나무 높이는 3∼5m로 그리 높지 않으며 지름은 보통 10㎝ 정도이다. 주변에는 희귀종인 모감주나무와 털댕강나무가 같이 자라고 있다. 영양의 측백나무 자생지는 우리나라의..
-
밀양 만어산 암괴류 (密陽 萬魚山 岩塊流)-Block Stream in Maneosan Mountain, Mirya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7. 19. 14:28
Block Stream in Maneosan Mountain, Miryang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수량 115,149㎡ 지정일 2011.01.13 소재지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로 776 (용전리) 소유자 만*** 관리자 밀양시 개별안내판 만어산 암괴류 萬魚山 巖塊流 천연기념물 제528호 만어산 암괴류는 정상 부근 산비탈에서 바윗덩어리들이 무리지어 강물처럼 흘러가다 멈춰선 암석 지대이다. 돌강*이라고도 부르는 이것은 만어사(萬魚寺) 미륵전** 아래에 너비 100m, 길이 500m 크기로 자리 잡고 있다. 암괴류는 땅 밑 깊은 곳에 있던 화강암이 땅 위로 올라오면서 팽창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틈이 생기고, 이 틈으로 풍화와 침식 과정이 진행되면서 만들어진 바윗덩어리들이..
-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濟州 산굼부리 噴火口)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1. 25. 14:20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면적 464,469㎡ 지정일 1979.06.21 소재지 제주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166-1번지 5필 시대 미상 소유자 주식회사 산굼부리 외 관리자 (주)산굼부리,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 설명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는 한라산의 기생화산 분화구로 다른 분화구와 달리 낮은 평지에 커다란 분화구가 만들어져 있으며, 진기한 모양을 하고 있다. 분화구의 바깥둘레는 2,067m이며, 안쪽둘레는 756m, 분화구 깊이는 100∼146m의 원뿔형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바닥넓이는 약 8,000평이나 된다. 분화구는 용암을 거의 분출하지 않고 폭발에 의하여 구멍만 깊숙이 패였으며, 폭발로 인한 물질은 사방으로 흩어지고 적은 양만 주위에 쌓여 있다. 분화구의 지름과 ..
-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천연기념물 제479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2. 1. 15. 13:56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1주/1,256㎡ 지정일 2007.08.09 소재지 전남 완도군 보길면 보길로 645-20 (정자리) 소유자 최*** 관리자 완도군수 개별안내판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 莞島 亭子里 황칠나무 천연기념물 제479호 황칠나무는 서남 해안에 자생하는 상록 활엽 교목으로 수액(樹液)을 옻칠로 사용해 온 나무이다. 곧 황금빛을 띤 나무의 진을 주로 왕실에서 고급 칠 재료로 사용하여 왔다. 잎은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난다. 열매는 초록색으로 여러 개가 뭉쳐서 열리며, 10월이 지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황칠나무 수액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고려사, 정조실록 등 사료(史料)에 많이 나타난다. 특히 완도 보길면 정자리의 황칠 도료는 이 ..
-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 (瑞山 松谷書院 香나무)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1. 12. 28. 16:24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역사 수량 2주/2,975㎡ 지정일 2018.05.03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애정리 494 소유자 유*** 관리자 서산시 개별안내판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 瑞山 松谷書院 香나무 천연기념물 제553호 송곡서원 입구에 있는 두 그루의 향나무는 조선시대의 선비였던 류윤(柳潤)이 심었다고 전하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류윤은 이 서원에 모셔진 9명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일찍이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1445년 단종이 폐위되자 관직을 버리고 청주 무동현 청주시 오송읍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서원 앞 향나무 두 그루는 모두 수령이 600년 가까이 된 노거수이지만 생육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는 대부분 사찰이나 묘소 주변에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