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安東 周下里 뚝香나무)-Chinese Juniper Tree of Juha-ri, Ando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10. 22. 13:19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 수량 1주 지정일 1982.11.09 소재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 634외 1필 소유 이*** 관리 안동시 문화재 설명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재료로 쓰이거나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이다. 뚝향나무는 향나무와 비슷하지만 똑바로 자라지 않고 줄기와 가지가 비스듬히 자라다가 전체가 수평으로 자라는 것이 다르다. 안동 주하리의 뚝향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2m, 둘레 2.25m의 크기이며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기위해 37개의 받침대를 세워서 관리하고 있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선산부사를 지낸 ..
-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順天 松廣寺 天子庵 雙香樹(곱향나무))-Pair of Chinese Junipers at Cheonjaam Hermitag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10. 22. 12:36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종교 수량 2주 지정일 1962.12.07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천자암길 105 (이읍리)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관리 순천시 문화재 설명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료로 쓰이거나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이다. 송광사의 곱향나무 쌍향수는 나이가 약 8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2.0m, 가슴높이 둘레 4.10m, 3.30m이다. 두 그루가 쌍으로 나란히 서 있고 줄기가 몹시 꼬인 신기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보조국사(普照國師)와 담당국사(湛堂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올 때 짚고 온 향나무 지팡이를 이곳에 나란히 꽂은 것이 뿌리가 내리..
-
무등산 주상절리대 (無等山 柱狀節理臺)-Columnar Joint in Mudeungsan Mountain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9. 23. 15:57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면적 107,800㎡ 지정일 2005.12.16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 354-1 시대 중생대 소유 광주시 괸리 광주시 문화재 설명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활동의 산물로써 용암이 냉각 ∙ 수축하면서 형성되었으며, 오랜세월 풍화에의해 기둥모양 또는 병풍모양을 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입석대와 서석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석대와 서석대의 돌기둥 하나의 크기가 지금까지 남한에서 보고된 것 중 최대의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주변의 수목 및 무등산과 어울려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 (무등산주상절리대 → 무등산 주상절리대)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습니다.(2021.07.26. 고시..
-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太白 求門沼 오르도비스紀 地層과 第四紀 河蝕地形)-Ordovician Deposits and Topography of Stream Erosion of Gumunso, Taebaek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8. 9. 15:25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고생물 면적 685,109㎡ 지정일 2000.04.28 소재지 강원 태백시 동점동 산10-1번지 등 시대 고생대 소유 태백시 외 관리 태백시 개별안내판 태백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 太白 求門沼 前期古生代 地層 및 河蝕地形 천연기념물 제417호 구문소는 강물이 산을 뚫고 지나가며 큰 돌문을 만들고 그 아래 깊은 물웅덩이가 생겼다는 뜻의 ‘구무소’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구무’는 옛말로 구멍이나 굴을 뜻하고 ‘소’는 한자로 물웅덩이를 뜻한다. 강이 산을 뚫고 흐른다고 해서 ‘뚜루내’라고도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대동여지도』에는 구멍 뚫린 하천이라는 뜻의 ‘천천(穿川)’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문소는 황지천과 철암천이 만나는 곳이다. 황지천과..
-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麟蹄 美山里 開仁藥水)-Gaeinyaksu Mineral Water in Misan-ri, Inje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3. 27. 15:57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면적 400㎡ 지정일 2011.01.13 소재지 강원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산1번지 소유 산림청 관리 인제군 문화재 설명 산 경사면에 흡수된 빗물이 암설을 통과하며 철분 등 무기물을 녹인 후 계곡 옆 틈으로 솟아 나고 있는데, 탄산 뿐아니라 철분의 함량이 높아 특유의 비린맛과 톡 쏘는 맛이 동시에 느껴지는 등 수질의 측면에서 매우 가치가 높다. 1891년 함경북도 출신의 '지덕삼' 포수가 백두대간에서 수렵을 하다 발견하였다고 전해진다. 정의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개인산 개인동 계곡에 있는 광천 약수. 접기/펼치기개설 2011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백두대간에 자리한 개인산(1,341m)의 서쪽 경사면으로 흡수된 빗물이 암..
-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江陵 正東津 海岸段丘)-Marine Terrace in Jeongdongjin, Gangneu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2. 23. 11:47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면적 107,673㎡ 지정일 2004.04.09 소재지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50-60번지 등 4필지 소유자 산림청 관리자 강릉시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江陵 正東津 海岸段丘 천연기념물 제437호 해안단구는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대지형태 또는 계단형태의 지형으로, 대체로 표면이 평탄하고 주위가 급사면이나 절벽으로 끊긴 계단의 형태로 발달한다. 정동진 해안단구는 200만~250만 년 전 바다 밑의 지면이 해수면 위로 솟아올라 형성되었다. 해안 단구의 길이는 약 4km, 너비는 약 1km이며, 높이는 해수면으로부터 75~85m이다. 단구의 표면은 거의 수평에 가까운 반면, 절벽인 단구애는 수직의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단구의 성분은 적갈색 ..
-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浦項 金光里 新生代 나무化石)-: Fossil wood from Geumgwangri, Poha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1. 21. 18:19
문화재청공고 제2022-369호 「문화재보호법」 제25조, 제3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의 규정에 따라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 화석」의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및 관리단체 지정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 2022년 11월 04일 문화재청장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1. 공 고 명 :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2. 공고사항 가. 지정종별 :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나. 지 정 명 :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1) 한자 : 浦項 金光里 新生代 나무化石 2) 영문 : Fossil wood from Geumgwangri, Pohang 다. 소 재 지 :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 유등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