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
경주 양동마을 수운정 (慶州 良洞마을 水雲亭)-Suunjeong Pavilion in Yangdong, Gyeongju-중요민속문화재 제80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4. 1. 7. 16:10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면적 1필지/684㎡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안길 45-20 (양동리) 시대 조선 선조 13년(1580) 소유자 손*** 관리자 손*** 개별안내판 수운정 水雲亭 중요민속문화재 제80호 이 정자는 청허재 손엽(淸虛齋 孫曄, 1544~1600)이 선조 15년(1582)에 지었다. 그는 ‘물과 같이 맑고 구름과 같이 허무하다’는 뜻을 지닌 ‘수청운허(水淸雲虛)’에서 ‘수’자와 ‘운’자를 따서 정자 이름을 짓고, 나머지 글자로는 자신의 호로 삼았다. 임진왜란 때 경주부에 있던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이곳으로 옮겨 소실될 뻔한 위기를 넘겼다고 한다. 마을에서 떨어진 높은 봉우리에 홀로 서 있어 앞쪽의 넓은 안강평야와 형산강의..
-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慶州 良洞마을 二香亭 古宅)-Ihyangjeong House in Yangdong, Gyeongju-국가민속문화재 제79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4. 1. 7. 15:43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면적 1필지/3,445㎡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89번지 시대 조선 숙종 21년(1695) 소유자 이*** 관리자 이*** 이향정 고택 二香亭 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79호 이향정은 조선 숙종 21년(1695)에 지었다고 하며 온양 군수를 지낸 이향정 이범중(二香亭 李範中, 1708-1783)의 호를 따라 집의 이름을 지었다. 이름과 같이 뒤뜰에 큰 향나무 두 그루가 우뚝 서 있다. 안채 뒤쪽으로 산길을 따라 쌓은 담장이 인상적인데 사랑채 앞으로도 낮은 산이 자리하고 있어 아늑한 느낌을 준다. 담장을 따라 올라가는 오솔길에는 초여름이면 찔레꽃이 만발하여 그윽한 향기를 풍긴다. 안마당이 넓고 방앗간채가 따로 있으며 곳간이..
-
경주 양동마을 수졸당 고택 (慶州 良洞마을 守拙堂 古宅)-Sujoldang House in Yangdong, Gyeongju-국가민속문화재 제78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4. 1. 7. 15:14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면적 1필지/4,582㎡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12번지 시대 조선 광해군 12년(1620) 소유자 이*** 관리자 정*** 개별안내판 수졸당 고택 守拙堂 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78호 이 집은 회재 이언적의 넷째 손자인 수졸당 이의잠(守拙堂 李宜潛, 1576~1635)이 조선 광해군 8년1616에 지은 것으로 그의 호를 따라 집의 이름을 지었다. 이의잠의 9대손인 이능수(李能洙, 1807~1884)가 화재로 소실된 사랑채를 다시 지었는데 사랑채에 비해 대문채의 기단과 지붕을 낮게 지어 두 건물의 격식을 고려하였다. 나무를 심고 아름답게 가꾼 ‘안골동산’이라 부르는 비탈진 언덕이 집을 감싸고 있어 높은 곳에 있어도 아..
-
태백산 천제단 (太白山 天祭壇)-Cheonjedan Altar on Taebaeksan Mountain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29. 12:30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수량 3기 지정일 1991.10.23 소재지 강원 태백시 태백산로 4834-31, 혈동 산87-2 (소도동) 소유 태백시 관리 태백시 태백산 천제단 太白山 天祭壇 국가민속문화재 제228호 태백산 천제단은 하늘에 제사를 올리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제단이다. 천제단은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단을 중심으로 한 줄로 놓여 있다. 천왕단의 북쪽에 장군단이 있고, 천왕단의 남쪽에 하단이 있다. 제단을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태백산은 예로부터 신령한 산으로 섬겨져 제천의식의 장소가 되었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사료에서 부족국가 시대부터 이곳에서 천제를 지냈다고 기록하는 것으로 미루어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은 개천절에 나라의 ..
-
부여 여흥민씨 고택 (扶餘 驪興閔氏 古宅)Historic House of the Yeoheung Min Clan, Buyeo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21. 15:37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6필지/ 지정구역 3,203㎡, 보호구역 3,057㎡ 지정일 1984.12.24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왕중로 87 (중정리) 시대 조선시대 후기 19세기 소유 부*** 관리 부*** 개별안내판 부여 여흥민씨 고택 扶餘 羅興閔氏 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192호 부여 여흥민씨 고택은 여흥민씨의 옛집이다. 나지막한 뒷산을 배경으로 넓은 터에 남향으로 자리를 잡은 조선 후기 주택으로 전체적인 양식으로 볼 때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집의 앞면에는 대문채가 있고 그 안쪽으로 'ㅁ'자 형의 본채가 있다. 안마당이 건물로 둘러싸여 있는 형식은 대체로 경상도 지역에서 유행하던 건물구성 방식이며 충청도 지역에서는 매우 드물게 확인되는 구조이다..
-
금선단 치마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16. 20:53
문경평산신씨묘출토복식 시대 조선 문화재지정 중요민속문화재 제254호 성격 출토복식 유형 유물 재질 금선단, 문단, 명주, 모시, 면 제작시기 16세기 분야 생활/의생활 소장/전승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상초리 242-1) 문경 옛길 박물관 요약 2004년 문경시 산양면 연소리에 소재한 장수황씨(長水黃氏) 황지(黃贄)의 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의 묘에서 출토된 16세기 복식과 염습제구 등 74점. 개설 2004년 3월 12일, 문경시 산양면 연소 2리에 소재한 한 분묘를 이장하던 중 신장 150㎝ 정도의 미라와 함께 복식 및 관련 유물 74점이 발견되었다. 이 미라의 주인공은 평산신씨(平山申氏)이며, 장수황씨(長水黃氏)황지의 부인으로 남편의 묘소에 합장할 예정이었다. 황지는 종6품 인의(仁儀) ..
-
삼척 신리 너와집과 민속유물 (三陟 新里 너와집과 民俗遺物)-Shingled House and Folk Artifacts in Sin-ri, Samcheok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14. 22:12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11필지/1,803㎡ 지정일 1975.10.21 소재지 강원 삼척시 도계읍 문의재로 1223-9 (신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삼척시 관리 삼척시 개별안내판 삼척 신리 너와집과 민속유물 三陟 新里 너와집과 民俗遺物 국가민속문화재 제33호 너와집은 소나무나 전나무를 작은 널빤지로 잘라서 지붕을 얹은 집을 말한다. 주로 산간 지역에 살던 화전민들이 이러한 집을 짓고 살았다. 너와집은 한 채의 집 안에 마루를 비롯한 여러 방과 부엌, 심지어 외양간까지 들여놓은 폐쇄적인 구조를 보인다. 이는 강원도 지역의 극심한 추위를 견디고 맹수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신리 지역에는 1970년대 초까지 여러 너와집이 분포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살림집 2동..
-
익산 김병순 고택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14. 14:57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물 7동, 토지 5,655.8 ㎡ 지정일 2019.03.11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수동길 20 (함라면) 시대 1920년대 소유 이*** 관리 익산시 개별안내판 익산 김병순 고택 益山 金炳順 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297호 익산 김병순 고택은 일제강점기 함라마을의 3대 부자 중 한 명인 김병순이 지은 살림집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1922년, 행랑채는 1930년에 건립하였다. 넓은 대지 위에 행랑채가 마을 길을 따라 ‘ㄴ’ 자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서쪽에는 김병순의 조부인 김기형의 효자각이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행랑 마당이 나오고 담장에 설치한 2개의 중문을 통해 안채와 사랑채로 각각 진입할 수 있다. 안채와 사랑채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