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
사육신묘 (死六臣墓)-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9. 10:05
사육신묘 (死六臣墓)-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 명칭 사육신묘 (死六臣墓)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7 기 지정일 1972.05.25 소재지 서울 동작구 노량진1동 185-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사유,동작구 설명 조선 세조 2년(1456) 조선의 6대 임금인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목숨을 바친 박팽년·성삼문·이개·하위지·유성원·유응부 6명의 신하 즉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다. 이들은 단종 3년(1455)에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뒤의 세조)이 왕위를 빼앗고 단종을 몰아내자 이에 분개하여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참혹한 최후를 맞았다. 사육신의 충성심과 장렬한 의기를 추모하기 위해 숙종 7년(1681)에 이곳에 서원을 세우고..
-
지장사철불좌상 (地藏寺鐵佛坐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9. 00:15
지장사철불좌상 (地藏寺鐵佛坐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5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5호 명칭 지장사철불좌상 (地藏寺鐵佛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량 1 좌 지정일 1991.05.28 소재지 서울 동작구 동작동 산44-7 국립묘지내 시대 소유.관리 지장사 설명 서울 동작구 사당동 지장사에 있는 철로 만든 약사불로 전체 높이 98㎝, 폭 70㎝의 불상이다. 얼굴은 둥글면서도 수척한 모습이고, 상체는 비교적 당당하지만 양 어깨를 강조하여 움추린 모습이다. 왼쪽 어깨만 감싸고 있는 옷은 주름표현이 선명하고, 왼손에는 약그릇을 잡은 것처럼 표현하여 약사불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고려 초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철불좌상이며 당시에는 보기 드문 약사불로 신앙사 연구 등에 중요한 ..
-
성공회서울성당 (聖公會 서울聖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5. 20:41
성공회서울성당 (聖公會 서울聖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 명칭 성공회서울성당 (聖公會 서울聖堂)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수량 1 동 지정일 1978.12.18 소재지 서울 중구 정동 3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대한성공회 설명 로마네스크 양식의 3층 교회건물이다. 조선 고종 27년(1890)에 우리나라에 온 성공회 1대 주교인 코프의 전도활동으로 성공회의 기초가 잡히게 되자, 3대 주교인 마크 트롤로프가 건립하였다. 영국인 딕슨의 설계로 감독관 브로크가 19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26년 5월에 완공하였다. 十자형의 평면구조를 갖고 있는 이 교회는 기초부와 뒷면의 일부는 화강석을 사용하고 나머지 벽체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지었다. 건물 전체에 ..
-
옛제일은행본점 (옛 第一銀行本店)-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5. 19:22
옛제일은행본점 (옛 第一銀行本店)-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1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1호 명칭 옛제일은행본점 (옛 第一銀行本店) 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근대산업생산/ 금융업 수량 1 동 지정일 1989.05.25 소재지 서울 중구 충무로1가 53 시대 소유.관리 제일은행 설명 . 서민금융의 전당을 목표로 했던 제일은행 본점 사옥이다. 1913년 국내 건물로는 처음으로 국제 현상 설계에 의해 1933∼1935년에 지어졌다. 한국전쟁 때에도 피해가 없어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로서 은행 건물로는 한국 최초의 철골·철근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산 화강석을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영업장 천장의 꽃 모양 석고부조는 근대 건축 양식의 걸작이라는 평을 받고있다..
-
1922년 전북 정읍에 보천사 십이전을 1938년 이곳으로 옮겨온 조계사대웅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 23:43
조계사대웅전 (曺溪寺大雄殿)-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7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7호 명칭 조계사대웅전 (曺溪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2000.09.10 소재지 서울 종로구 수송동 44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조계종 조계사 설명 1922년 전북 정읍에 지어진 보천사 십이전을 1938년 이곳으로 옮겨 태고사의 대웅전으로 사용하다가 조계사 대웅전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대웅전은 앞면 7칸·옆면 4칸으로 지붕의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을 이용하였다. 특히 모든 벽에 있는 문은 꽃 모양으로 장식된 문살로 되어 예술적 화려함과 정교함을 갖고 있다..
-
1938년 도갑사에서 옮겨온 조계사 목불좌상 (曺溪寺 木佛坐像(釋迦佛))-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 23:21
조계사 목불좌상(석가불) (曺溪寺 木佛坐像(釋迦佛))-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6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6호 명칭 조계사 목불좌상(석가불) (曺溪寺 木佛坐像(釋迦佛)) 분류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 1 좌 지정일 2000.07.15 소재지 서울 종로구 견지동 45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조계종,조계사 설명 서울시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에 있는 이 불상은 나무로 만든 석가불좌상으로, 1938년 도갑사에서 옮겨와 대웅전 본존불로 모시고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이 솟아 있고, 당당한 체구에 갸름한 얼굴은 조선 전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은 부드러워 보이며, 특히 왼쪽 팔굽 위에 표현된 Ω형 주름과 가슴 부분에서 접혀진 속옷은 독특한 ..
-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별장인 석파정에 딸린 사랑채 석파정별당 (石坡亭 別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 13:52
석파정별당 (石坡亭 別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 명칭 석파정별당 (石坡亭 別堂)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 동 지정일 1974.01.15 소재지 서울 종로구 홍지동 125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김주원 설명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별장인 석파정에 딸린 사랑채로, 1958년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건물은 ㄱ자형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지붕 끝 벽면은 붉은벽돌로 쌓았는데 가운데에 둥글게 창을 내었다. 대원군 별장은 규모는 작지만 건물의 짜임새가 훌륭하고 조선 후기 상류사회의 대표적인 예가 되는 사랑채로 별당건축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신념을 담아낸 글씨가 있는 우암송시열집터 (尤菴 宋時烈 집터)-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 00:16
우암송시열집터 (尤菴 宋時烈 집터)-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7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7호 명칭 우암송시열집터 (尤菴 宋時烈 집터)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석각류 수량 1 기 지정일 1984.07.05 소재지 서울 종로구 명륜1가 5-9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 설명 자연 암벽 위에 ‘증주벽립(曾朱壁立)’이라는 글씨를 새긴 것으로, 우암 송시열의 친필이다. 이곳은 우암이 살던 옛 터로, ‘우암구기(尤菴舊基)’라고 새겨진 비석이 함께 남아 있다. 우암은 평생을 주자학 연구에 힘쓴 조선시대의 유학자로, 율곡 이이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효종이 세자로 있을 때 그의 스승이 되었으며, 이후 효종이 청을 정벌하려는 계획을 세우자 적극 참여하기도 하였다. 바위에 새겨진 이 글에는 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