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
진관사 십육나한도 (津寬寺 十六羅漢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2. 13:40
진관사 십육나한도 (津寬寺 十六羅漢圖)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6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6호 명칭 진관사 십육나한도 (津寬寺 十六羅漢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나한조사도 수량 6 폭 지정일 2002.03.15 소재지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진관사 설명 이 불화는 1884년에 제작된 십육나한도로서 羅漢圖 4幅과 帝釋神衆圖 1幅과 使者神衆圖 1幅 등 모두 6幅으로 구성되어 있다. 4幅의 羅漢圖에는 각각 4명의 羅漢이 산수를 배경으로 하여 侍者와 侍童을 거느리고 앉아 다양한 동작을 취하고 앉아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羅漢들은 가지가 휘어진 소나무 또는 폭포가 흘러내리는 산 아래, 대나무 숲 속 등에 시동을 거느리고 앉아 있는데 합장을 하거나 경전을 읽..
-
진관사 영산회상도 (津寬寺 靈山會上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2. 12:59
진관사 영산회상도 (津寬寺 靈山會上圖)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5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5호 명칭 진관사 영산회상도 (津寬寺 靈山會上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불도 수량 1 폭 지정일 2002.03.15 소재지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진관사 설명 현재 준비중입니다.(10년이 넘었는데........) 진관사 나한전 영산회상도(津寬寺羅漢殿靈山會上圖)는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후불탱화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에 위치한 진관사의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다. 진관사는 고려 현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진관조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지은 절로서 조선시대에는 수륙재의 근본 도량이었다. 현재 대웅전과 명부전을 비롯해 홍제..
-
진관사 소 십육나한상 (津寬寺 塑 十六羅漢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23:58
진관사 소 십육나한상 (津寬寺 塑 十六羅漢像)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4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4호 명칭 진관사 소 십육나한상 (津寬寺 塑 十六羅漢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소조/ 나한상 수량 20 구 지정일 2002.03.15 소재지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진관사 설명 현재 津寬寺 羅漢殿에는 釋迦三尊佛像 좌우로 각각 8軀씩 16軀의 羅漢像과 帝釋像 1軀, 使者像 1軀, 仁王像 2軀 등 총 20軀의 상이 봉안되어 있다. 모두 塑造像으로 현재는 화려한 채색이 되어 있는데 각 상은 47cm에서 53cm에 이르는 그리 크지 않은 아담한 규모이다. 16구의 羅漢은 向右側에 제1(빈도라바라다바자), 3(가나가바라타자), 5(나쿠라), 7(카리카), 9(지바카), 1..
-
진관사 소 삼존불상 (津寬寺 塑 三尊佛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22:04
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津寬寺 塑 三尊佛像(釋迦佛, 彌勒菩薩,提和竭羅菩薩))-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3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3호 명칭 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津寬寺 塑 三尊佛像(釋迦佛, 彌勒菩薩,提和竭羅菩薩))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3 구 지정일 2002.03.15 소재지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진관사 설명 이 불상은 塑造의 釋迦三尊佛像으로 현재 津寬寺 羅漢殿의 本尊像으로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釋迦如來坐像을 중심으로 두 菩薩像이 侍立하고 있는데, 현재 腹藏이 개봉되지 않았고 改金 또한 두터워 정확한 연대를 알기어려우나 三尊佛의 머리표현과 얼굴 형태, 法衣의 주름 등 전체적인 양식적..
-
승과를 실시하던 곳 봉은사선불당 (奉恩寺選佛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17:12
봉은사선불당 (奉恩寺選佛堂)-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4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4호 명칭 봉은사선불당 (奉恩寺選佛堂)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우 수량 1 동 지정일 1985.12.05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설명 봉은사는 통일신라 원성왕 10년(794)에 연희국사가 세워 건성사라 불렀던 절이다. 조선 연산군 4년(1498) 정현왕후가 성종(재위 1469∼1494)의 릉을 위해 절을 크게 다시 지은 후에 봉은사라 이름하였다. 봉은사 선불당은 당시 스님이 되기 위해 치러야 했던 시험인 승과를 실시하던 곳으로 다른 절에서는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지금은 대중이 참선을 하는 선방으로 사용되며, 독특한 구조를 가진 건물로서 주목받..
-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16:04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 명칭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 1 폭 지정일 2007.09.27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설명 1844년(도광24) 7월 현왕도와 함께 조성, 봉안된 것으로 세로 200.5cm, 가로 245cm의 비단바탕에 그려졌는데 신중도로는 꽤 큰 편에 속한다. 화면의 위쪽에는 구곡병(九曲屛)을 두르고, 향 우측에는 위태천과 천룡팔부 등의 신장, 향 좌측에는 범천과 제석천을 비롯한 천부중을 배치하였다. 범천과 제석천은 네모난 신광을 두르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왼쪽에는 이마에 제3의 눈이 표현된 범천이 ..
-
봉은사 삼세불도 (奉恩寺 三世佛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15:26
봉은사 삼세불도 (奉恩寺 三世佛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4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4호 명칭 봉은사 삼세불도 (奉恩寺 三世佛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 1 폭 지정일 2007.09.27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시대 소유.관리 봉은사 설명 이 불화는 현재 봉은사 대웅전에 후불탱화로 안치되어 있는데, 그 앞에 모셔져 있는 삼세불상이 17, 8세기경의 작품인 것을 볼 때 1892년 대웅전의 불화를 제작하면서 불상과 같은 형식의 삼세불화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세로 319.7cm, 가로 291.8cm의 대규모 면본 채색화로 현 대웅전의 후불벽보다는 폭이 좁지만 1892년 당시 대웅전의 후불벽 규모에 맞춰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의 형식은 상단 중앙에 석가모니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