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
경주김씨눌곡종택 (慶州金氏訥谷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2. 21:37
경주김씨눌곡종택 (慶州金氏訥谷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19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19호 명칭 경주김씨눌곡종택 (慶州金氏訥谷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2동 지정일 1999.08.09 소재지 경북 영덕군 지품면 눌곡길 145-5 (눌곡리) 시대 소유 관리 설명 경주 김씨 아천공파의 종가로, 김언수(1574∼1638)가 1600년경에 지었다고 전한다. ㅁ자형의 안채와 독립된 사랑채로 이루어졌으며, 대문은 따로 설치하지 않았다. 동남향으로 약간 틀어서 배치한 안채는 앞면 4칸·옆면 4칸 규모이다. 가운데 2칸 규모의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안방이 있고, 안마당쪽으로 2칸 규모의 큰 부엌이 있다. 대청 왼쪽에는 상방이 있고, 꺾여서 위에 다락을 꾸민 작은 부엌이..
-
곡강고택(曲江古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12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2. 17:00
곡강고택 (曲江古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23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23호 명칭 곡강고택 (曲江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3동 지정일 2000.09.04 소재지 경북 영덕군 영해면 창수영해로 188-1, 외 (원구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권종대 설명 오봉 권책 선생의 후손 권응주가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라고 전하며 1700년대에 고쳐 지었다고 한다. 집은 크게 정침·사당·곡강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침 오른쪽 뒤에 사당이 있고 앞면 왼쪽에 곡강정이 자리잡고 있다. 정침은 앞면에 4칸 대청을 두고 좌우로는 온돌방을 두었다. 왼편에 광·안방·부엌을 배치하여 왼쪽 곁채와 연결하였고, 오른편에는 출가한 자녀가 사용했다는 신방과 마루가 놓이면서 오른쪽 곁채와 연결..
-
인양리용암종택(仁良里龍巖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 6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2. 13:10
인양리용암종택(仁良里龍巖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 61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61호 명칭 인양리용암종택(仁良里龍巖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1985.10.15 소재지 경북 영덕군 창수면 인량1길 11-4 (인량리) 시대 소유 관리 김동기 설명 용암 김익중(1678∼1740) 선생의 옛 집으로 영조 4년(1728)에 지었다고 전한다. 원래는 대문간과 몸채 사이 사랑마당 좌우에 부속채가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몸채와 대문간만 남아있는 상태다. 막돌로 쌓은 기단 위에 세운 몸채는 안방 위쪽에 창고방을 두고 접하여 대청쪽으로 곳간 1칸을 돌출시킨 것이 특색이다. 곳간의 뒷부분에는 널판을 달아 다락을 다시 꾸몄다. 김익중(金益重) 1678년(숙종 4)∼..
-
영덕 삼벽당(盈德 三碧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9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2. 12:51
영덕 삼벽당(盈德 三碧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90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90호 명칭 영덕 삼벽당(盈德 三碧堂)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2017.05.15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인량1길 21-2 (창수면, 영덕삼벽당) 시대 소유 관리 설명 삼벽당은 영천이씨 하연공파 이중량(자 공간, 호 하연, 연산 10년(1504)~ 선조 15년(1582))의 종택이고, 그의 父는 농암 이현보이다. 이 건물은 인량마을의 좌측의 뒤편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배치는 사당과 우측에 ‘ㅁ’자형 본체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5칸반이고, 중문간 좌측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사랑채가 위치하고 있다. 삼벽당의 주요 특징은 본체 대청의 배면 창호에 가운..
-
영덕 우계종택 (盈德 愚溪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8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2. 08:38
영덕 우계종택 (盈德 愚溪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84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84호 명칭 영덕 우계종택 (盈德 愚溪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2013.07.11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인량6길 32 (창수면)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설명 조선시대 우계 이시형이 살던 살림집이다. 이시형은 운악 이함의 아들로 학문과 재능이 뛰어났다. 선조 40년(1607)에 세운 이 가옥을 이함이 의령현감에 부임하면서 차남인 이시형이 관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시형이 27세 되던 해인 광해군 4년(1612) 과거에 응시하고 돌아오던 길에 외가에서 별세하였다. 그 뒤 약 400년간 보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개관 재령이씨 우계종택은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위..
-
영덕 괴시동 태남댁 (盈德 槐市洞 台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1. 16:49
영덕 괴시동 태남댁 (盈德 槐市洞 台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8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68호 명칭 영덕 괴시동 태남댁 (盈德 槐市洞 台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2동 지정일 2013.04.08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53 시대 소유 관리 설명 영양 남씨 집성촌인 호지마을에 있는 가옥으로 조선 영조 52년(1776)에 남준형 선생이 세웠다고 전한다. 신해(辛亥)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앞면 4칸·옆면 6칸 반 규모의 건물이다.
-
영덕 괴시동 해촌고택 (盈德 槐市洞 海村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1. 16:33
영덕 괴시동 해촌고택 (盈德 槐市洞 海村古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0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70호 명칭 영덕 괴시동 해촌고택 (盈德 槐市洞 海村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2동 지정일 2013.04.08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52 시대 소유 관리 설명 해촌 남극만 선생이 조선 영조 31년(1755) 세운 집으로, 고종 15년(1878)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왼쪽 3칸에 중간문과 아랫방을 배치하였고, 오른쪽에는 1칸 규모의 작은 사랑방을 두었으며 그 뒤쪽으로는 큰 사랑방을 놓았다. 작은 사랑방의 앞면과 오른쪽면으로는 각 1칸 반 규모의 사랑마루를 꾸며 놓았다.
-
영덕 괴시동 물소와고택 (盈德 槐市洞 勿小窩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9. 3. 1. 14:26
영덕 괴시동 물소와고택 (盈德 槐市洞 勿小窩古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9호 종목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제169 명칭 영덕 괴시동 물소와고택 (盈德 槐市洞 勿小窩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2013.04.08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34 시대 소유 관리 설명 남택만 선생의 증손인 남유진 공이 지은 집이다. 지은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1920년경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5칸·옆면 6칸 반 규모이며 ㅁ자형 평면을 갖춘 집이다. 정침, 고방중문, 사랑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선 후기의 주택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문이 닫혀있어 들어가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