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
환구세덕사 (環丘世德祠)-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6. 1. 1. 13:52
환구세덕사 (環丘世德祠)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7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7호 명칭 환구세덕사 (環丘世德祠)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수량 일곽 지정일 1990.08.07 소재지 경북 영천시 임고면 환구길 142-1 (선원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정현목 설명 임진왜란 때 영천 의병장이었던 호수 정세아(1535∼1612) 선생과 그의 아들 백암 정의번(1560∼1592)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정조 1년(1777) 서재 뒤에 충현사를 지어 향사하고 강학의 도장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후 사당의 왼쪽에 충효각이 세워졌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철거되어 지금은 충효각과 부속건물 2동만이 남아있다. 정세아(鄭世雅 ) [간략정보] 한자 鄭世雅 분..
-
완귀정 (玩龜亭)-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6. 1. 1. 11:30
완귀정 (玩龜亭)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0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0호 명칭 완귀정 (玩龜亭)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6동) 지정일 1980.06.17 소재지 경북 영천시 서당길 25-34 (도남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광주안씨문중 설명 완귀 안증 선생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안증 선생은 인종이 세자로 있을 때 학문을 가르쳤던 중종 때 학자이다. 명종 1년(1546)에 지은 집으로 안채·사랑채를 비롯하여 여러 채의 건물로 구성되었다. 사랑채는 안증의 호를 따서 완귀정이라 이름하였는데 숙종 21년(1695) 성재 안후정이 지은 건물이다. 앞면은 1층으로 되었으며 뒷면에는 호계천을 향하여 누(樓)를 두었다. ..
-
칠곡 해은고택 (漆谷 海隱故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31. 12:29
칠곡 해은고택 (漆谷 海隱故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8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8호 명칭 칠곡 해은고택 (漆谷 海隱故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5동) 지정일 2013.04.08 소재지 경상북도 칠곡군 매원3길 104-10 (왜관읍, 해은고택) 시대 소유 관리 설명 조선 중기 문신 석담 이윤우(1569∼1634)와 그의 아들 낙촌 이도장(1603∼1644)이 정착한 매원마을에 후손들이 세운 집 중 하나이다. 안채인 정침은 이동유(1768∼1836)가 정조 12년(1788)에 짓고 사랑채는 순조 16년(1816)에 지었다. 그 뒤 이동유의 후손 이철연(1851∼1905)의 호를 따라 ‘해은고택’이라고 부른다. 대문채를 들어서면 사랑채, 곳간채, 정침을 ㄷ자..
-
국권상실에 직면해서 소복을 입고 거실에 거적을 깔고 거처하며 두문불출한 성주 극와고택 (星州 極窩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28. 18:03
성주 극와고택 (星州 極窩古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7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7호 명칭 성주 극와고택 (星州 極窩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2동/893㎡ 지정일 2013.04.08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한개2길 40 (월항면)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 관리 이일근 설명 성주 극와고택은 사랑채 묵서명(墨書銘)의 상량문을 통해 보면 조선 철종 3년(1852)에 건립된 가옥임을 알 수 있다. 가옥의 이름을 극와고택이라고 명명한 것은, 국권상실에 직면해서 소복을 입고 거실에 거적을 깔고 거처하며 두문불출한 극와(極窩) 이주희(李澍熙)의 아호에서 따온 것이다. 건립 당시 가옥의 배치형태는 안마당의 동쪽에 광채가 있어‘ㄷ’자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현재는 광채가 철거..
-
성주대산리진사댁 (星州大山里進士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28. 16:16
성주대산리진사댁 (星州大山里進士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4호 명칭 성주대산리진사댁 (星州大山里進士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3동 지정일 2000.09.04 소재지 경북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0 (대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이일근 설명 대산리 한개마을은 성산 이씨 집성촌으로, 진사댁은 이국희(1868∼1939)가 지었다. 진사댁이란 이름은 이국희가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실시한 소과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지만 벼슬은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고방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마당으로 들어서면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 뒤로 안채가 새사랑채와 나란히 자리를 잡고 있다. 사랑채는 3칸 앞쪽에..
-
대산동월곡댁 (大山洞月谷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28. 15:02
대산동월곡댁 (大山洞月谷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6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6호 명칭 대산동월곡댁 (大山洞月谷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곽 지정일 1983.06.20 소재지 경북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20 (대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이수빈 설명 한개마을 북쪽 영취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한옥으로 대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가옥 경치가 눈길을 끄는 곳이다. 1911년 이전희씨가 지은 집으로 가묘와 별당은 1930년에 늘려 지은 것이다. 집 이름은 이전희씨의 부인이 초전면 월곡동에 시집왔다하여 붙였다고 한다. 건물들은 대문채, 안채, 사랑채, 중문채, 고방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이 一자형을 갖추고 있고 아래채, 고방채, 중문채 등은 튼 ..
-
사도세자를 호위하던 무관 이석문 성주 응와종택 (星州 凝窩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28. 13:30
성주 응와종택 (星州 凝窩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4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4호 명칭 성주 응와종택 (星州 凝窩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3.06.20 소재지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1번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이수학 설명 사도세자를 호위하던 무관 이석문이 살던 곳으로, 이석문은 사도세자가 죽은 뒤 세자를 그리워하여 조선 영조 50년(1774)에 북쪽으로 사립문을 내고 평생을 이곳에서 은거하며 살았다. 순조 21년(1821)에 손자 이규진이 안채와 사랑채를 새로 지었으며, 사랑채는 고종 3년(1866)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는 안채와 사랑채를 비롯하여 장판각, 안대문채, 마굿간, 아래채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
-
대산동교리댁 (大山洞校理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5. 10. 28. 12:31
대산동교리댁 (大山洞校理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3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3호 명칭 대산동교리댁 (大山洞校理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3.06.20 소재지 경북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12 (대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관리 이태영 설명 조선 영조 때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등을 지낸 이석구 선생이 지은 집이다. 교리댁이라 한 것은 홍문관 교리를 역임했기 때문이라 한다. 서향의 대문채를 들어서면 곧바로 사랑마당이 있고, 사랑 왼쪽에 서재가 있으며 뒤쪽에 사당이 있다. 안채는 중문채를 사이에 두고 사랑채와 떨어져 있다. 안채는 앞면 7칸·옆면 1칸 집으로 중앙에 2칸의 대청이 있고 대청 양쪽에 방이 2칸씩 있으며, 동쪽에 부엌이 배치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