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
이배원 가옥 (李培源 家屋)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14. 14:0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근대주거 / 근대가옥 면적 2,668.92㎡ 지정일 2012.11.02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천남1길 13-1 (함라면, 원불교함라지부)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이희선 관리 이희선,익산시 개별안내판 개별안내판 이배원 가옥 李培源 家屋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이 집은 주변에 있는 김병순 고택, 조해영 가옥과 함께 ‘함라마을 삼부잣집’으로 불린다. 이배원은 누룩 장사로 부를 쌓은 부친의 재산을 물려받아 더욱 불려 1917년 집터를 넓히고 안채와 사랑채를 지었다. 예전에는 창고·밥청·행랑채 등 여러 부속채들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현재는 안채와 사랑채, 담장과 대문 일부만이 남아 있는데 사랑채와 안채를 좌우로 배치하였다. 사랑채는 원불교 함라교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
이육사생가 (李陸史生家)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10. 14:21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2동 지정일 1973.08.31 소재지 경북 안동시 포도길 8 (태화동) 소유 채*** 관리 금*** 문화재 설명 퇴계 이황 선생의 후예로 독립투사이며 시인이었던 육사 이활(1905∼1944) 선생의 생가이다. 一자형의 안채·사랑채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서로 똑같은 공간을 이루고 있어 특이하다. 원래는 안동군 도산면 원천동에 있던 것을 1976년 4월 안동댐 수몰로 인해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https://youtu.be/DBkDNW-knOI https://youtu.be/DBkDNW-knOI?t=2579
-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蔚珍 平海黃氏 海月宗宅)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4. 19:58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3동 지정일 2012.10.22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해월헌길 70 (기성면, 해월헌) 소유 황의석 관리 황의석 문화재 설명 이곳은 정침 1동, 사당 1동, 정자 1동 등 모두 3동의 건물이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蔚珍 平海黃氏 海月宗宅)’이라는 명칭으로 문화재 지정되어 있다. 해월종택의 건물배치는 뒤편의 야산을 등지고 정침, 정자, 사당, 방앗간 등이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치구성은 1993년 복원된 대문간채를 들어서면 넓은 마당을 사이에 두고 정침과 정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그 뒤에는 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의 상류주택 특성을 잘 보여준다. 안채(정침)은..
-
월촌입석 (月村立石)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2. 16:22
분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 민간신앙조각 / 석조 수량 1기 지정일 1974.09.27 소재지 전북 김제시 입석동 417-1번지 소유 김제시 관리 김제시 문화재 설명 선돌은 길쭉한 자연석이나 커다란 돌을 일부만 다듬어 똑바로 세운 기념물 또는 신앙대상물을 말한다. 입석리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이 선돌은 마을의 당산으로 수호신 기능을 하여, 재앙을 막아주고 풍년을 기원하는 대상이 되고 있다. 사각기둥 모양의 자연석으로 높이 210㎝, 너비 62㎝, 두께 40㎝의 크기이다. 윗부분은 마모가 심하여 확실치 않으나 사람 얼굴 형상과 같은 것이 표현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보름에 당산제를 지낸 뒤 남녀로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는데, 여자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믿고 있다. 줄다리기가 끝난 뒤에..
-
장화리쌀뒤주 (長華里쌀뒤주)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2. 14:52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생업기술용구 / 농경 수량 1개 지정일 1976.04.02 소재지 전북 김제시 장화동 210-1번지 소유 정*** 관리 정*** 문화재 설명 쌀을 담기 위해 만든 대형 뒤주이다. 보통의 뒤주가 통나무나 널빤지를 짜서 궤짝의 형태로 만드는데 비해, 이 뒤주는 크고 외형도 독특하다. 크기는 너비 2.1m, 높이 1.8m로, 널빤지를 짜 맞추어 벽체를 구성하고 볏짚으로 지붕처럼 뚜껑을 만들어 씌웠다. 이 고장 출신인 정준섭은 당시의 큰 부자로, 이 집을 찾는 사람들이 매일 수백 명에 이르자 작은 궤짝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결국 안마당에 이러한 초대형 쌀뒤주를 만들었다고 한다. 조선 고종초에 제작된 이 뒤주는 70가마 정도의 분량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크고 독특한 건조물로서, 집을 ..
-
의령 상정리 조씨고가 (宜寧 上井里 曺氏古家)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2. 09:4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9동 지정일 1993.12.27 소재지 경남 의령군 화정면 화정로3길 13 (상정리) 시대 17세기~20세기 소유 창*** 관리 조*** 개별안내판 의령 상정리 조씨고가 宜寧 上井里 曹氏古家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 의령 상정리 조씨고가는 창녕 조씨의 종가 건물이다. 언제 지어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건물의 건축 양식 등을 볼 때 17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필요에 따라 오랜 시간에 걸쳐 건물이 지어져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전형적인 조선시대 부유한 농가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건물은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사당, 방앗간채, 마굿간채, 별채, 대문채 등 9동의 건물이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
-
괴산 홍범식 고가 (槐山 洪範植 古家)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1. 1. 11:11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곽(13동) 지정일 2002.12.20 소재지 충북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6 (동부리) 시대 1730년경 건축 추정 소유 괴산군 관리 괴산군 개별안내판 괴산 홍범식 고가 槐山 洪範植 古家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이 집은 금산군수로 재직하다 1910년 경술국치(國權被奪)에 항거하여 순국한 일완(一玩) 홍범식(洪範植)의 고택이다. 또한 근대 역사소설의 이정표가 된 『임꺽정(林巨正)』의 작가 벽초(碧初) 홍명희(洪命熹, 1888~1968)의 생가로도 널리 알려진 문화사적유산이다. 홍명희는 1919년 3·1운동 당시 이 집 사랑방에서 1919. 3. 19. 괴산 만세 시위를 준비하였다고 한다. 이 고택은 1730년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뒷산의 자..
-
만죽재고택 (晩竹齋古宅)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23. 10. 26. 18:54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1990.08.07 소재지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229-2번지 소유 박*** 관리 박*** 문화재 설명 반남 박씨 판관공파의 종가이다. 현 소유자의 11대조인 박수(1641∼1699) 선생이 이 마을에 정착하여 지은 집이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하여 ㄷ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어울려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마을의 옛 가옥들이 대부분 대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사랑이 형성되고 있는데 반해, 이 집은 왼쪽에 독립된 사랑을 두고 있는 가장 오래된 가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