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상정리 조씨고가 宜寧 上井里 曹氏古家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 의령 상정리 조씨고가는 창녕 조씨의 종가 건물이다. 언제 지어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건물의 건축 양식 등을 볼 때 17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필요에 따라 오랜 시간에 걸쳐 건물이 지어져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전형적인 조선시대 부유한 농가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건물은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사당, 방앗간채, 마굿간채, 별채, 대문채 등 9동의 건물이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옆에서 보았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왼쪽부터 부엌, 큰방, 큰 마루, 작은방, 누마루*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부엌 앞에는 부엌방을 두었다. 남부 지방의 일자형(一字型) 주택은 본 건물에 나란히 반 칸 정도의 공간을 붙여서 부엌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나 조씨고가에서는 온전한 크기의 부엌과 부엌방을 앞뒤로 놓은 것이 특이하다. 의령 상정리 조씨고가는 한 시기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차이를 두고 수 세기에 걸쳐 지어졌기 때문에 세월의 흐름에 따라 건물 구조와 세부 양식이 변화되는 모습이 잘 남아 있다. * 누마루: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문화재 설명
창녕 조씨의 종가로 17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지었다. 전형적인 부농민가의 형태로, 안채를 중심으로 튼 ㅁ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그 외에 사랑채·행랑채·곳간 및 디딜방앗간·가묘·별채·마굿간·대문간 등 9동의 건물이 있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의 안채는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왼쪽부터 부엌·큰방·대청·건넌방·누마루를 배치하고 부엌 앞에 부엌방을 배치한 겹집 형식이다.
건물의 구조와 세부 양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잘 나타내고 있어 세기별 건축 특성의 대비자료로 가치가 높다.
문화재 설명
창녕 조씨의 종가로 17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지었다. 전형적인 부농민가의 형태로, 안채를 중심으로 튼 ㅁ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그 외에 사랑채·행랑채·곳간 및 디딜방앗간·가묘·별채·마굿간·대문간 등 9동의 건물이 있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의 안채는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왼쪽부터 부엌·큰방·대청·건넌방·누마루를 배치하고 부엌 앞에 부엌방을 배치한 겹집 형식이다.
건물의 구조와 세부 양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잘 나타내고 있어 세기별 건축 특성의 대비자료로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