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
문경장수황씨종택 (聞慶長水黃氏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6. 22. 15:44
문경장수황씨종택 (聞慶長水黃氏宗宅)-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36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3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3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3호 명칭 문경장수황씨종택 (聞慶長水黃氏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3 동 지정일 1991.03.25 소재지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460-6 시대 소유.관리 장수황씨문중 설명 문경지방에 있는 양반가옥 중 하나로 장수 황씨의 종가이다. 장수 황씨 15대조인 황시간이 35세 때 이 집에서 거주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세운 시기를 18세기경으로 추정한다. 사랑채와 안채,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는 이 집은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고, 안채의 구성에 몇가지 특성이 남아 있어 이 지방 민가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경상북도..
-
창녕 관룡사 석장승 (昌寧 觀龍寺 石長丞)-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4. 3. 13:49
창녕 관룡사 석장승 (昌寧 觀龍寺 石長丞)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창녕 관룡사 석장승 (昌寧 觀龍寺 石長丞) 종목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명칭 창녕 관룡사 석장승 (昌寧 觀龍寺 石長丞) 분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민간신앙조각/ 석조 수량 2 기 지정일 1983.08.12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시대 소유 관룡사 관리 관룡사 설명 관룡사로 가는 오솔길 양쪽에 서 있는 한 쌍의 돌장승이다. 사찰 입구에 두는 장승은 절의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과 더불어 잡귀의 출입을 막고, 풍수지리적으로 허한 곳의 기운을 불어넣는 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곳의 장승은 사찰의 경계표시·수문장의 역할과 함께 마을 사람들에 의해 그들의 수호신이 되고 있다. 왼쪽에 있는 남장승은 높이 220㎝ 둘레 70㎝의 ..
-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4. 2. 10:42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9호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 종목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9호 명칭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93.08.31 소재지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151 시대 조선시대 소유 김경식 외1 관리 김경식 설명 일제시대의 대학자이자 서예가인 보정 김정회(1903∼1970)가 살던 옛 집이다. 철종 13년(1862)경에 지어 그의 고조할아버지 때부터 살아온 집이라 한다. 현재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사랑채, 사당, 곳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면 6칸·옆면 3칸의 안채는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며, 후대에 양쪽에 각각 1칸씩 덧붙였다. 안마당보다 높이 자리잡고 있는 안채의 ..
-
충의당 (忠義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3. 11. 13:51
충의당 (忠義堂)-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9호 명칭 충의당 (忠義堂)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7동) 지정일 1993.02.25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49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최채량 설명 정무공 최진립(1568∼1636)이 살았던 곳으로 가옥의 사랑채에 해당된다. 처음에는 당호를 흠흠당이라 했는데 1760년경 건물을 수리한 후 충의당으로 이름을 바꿨다. 건물은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집의 구성은 정면의 충의당을 중심으로 뒷면에 정침과 광채 그리고 흠흠당이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에는 제향공간이 있어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전형적인 배치방법을 지니고 있다. 인근에..
-
정선백전리물레방아 (旌善栢田里물레방아)-강원도 민속문화재 제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3. 6. 15:12
정선백전리물레방아 (旌善栢田里물레방아)-강원도 민속문화재 제6호 종목 강원도 민속문화재 제6호 명칭 정선백전리물레방아 (旌善栢田里물레방아) 분류 유물 / 과학기술/ 생업기술용구/ 농경 수량 일곽 지정일 1996.09.30 소재지 강원 정선군 화암면 백전리 60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및사유/정선군 설명 백전리 마을에 있는 물레방아이다. 물레방아는 물의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는 동채방아와 흘러가는 힘을 이용하는 밀채방아의 두 종류가 있는데, 이 방아는 동채방아이다. 물이 잠시 고였다 떨어지는 구유가 56개로 구성되어 있고, 물레는 지름 250㎝, 폭 67㎝의 크기이다. 50m 쯤 떨어져 있는 보(둑을 쌓아 흐르는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에서 물을 끌어 사용하고 있는데, 보의 위쪽으로 용소(龍沼:지하수..
-
보문사맷돌 (普門寺맷돌)-인천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2. 24. 18:28
보문사맷돌 (普門寺맷돌)-인천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종목 인천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명칭 보문사맷돌 (普門寺맷돌) 분류 유물 / 과학기술/ 생업기술용구/ 농경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보문사 설명 보문사 삼성각으로 오르는 계단 옆 화단에 있는 맷돌이다. 맷돌은 곡물을 가는데 쓰이는 용구로 위·아래 두 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름 69㎝, 두께 20㎝의 화감암으로 되어있으며, 부드러운 곡선으로 잘 다듬어 놓았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맷돌은 웃돌만 있으나, 이 맷돌은 웃돌과 아랫돌이 모두 남아 있다. 정확한 제작년도는 알 수 없으나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 후기에 만든 것으로 보이며, 보통의 맷돌보다 2배 정도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