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경기도 민속문화재 제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3. 4. 25. 18:08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8호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종목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8호 명칭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동 지정일
1991.10.19 소재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 1313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고양시 설명
‘밤가시 초가’라는 특이한 이름을 가진 집으로 정발산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이름은 예전 이 마을에 많았던 밤나무를 주요 생활용품과 건물의 재료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으며 19세기 전반 이전 건축물로 추정한다.
문에 들어서면 안마당 가운데 지붕에 하늘 구멍을 뚫어 놓았고 그 아래 마당을 한단 낮추어 꾸미고 있다. 이는 비나 눈이 올 때 떨어지는 낙숫물이 다른 곳으로 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채는 안방·대청·건넌방·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당을 지나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오른쪽이 안방, 왼쪽이 건넌방이다. 안방에서 ㄱ자로 꺾여 자리잡고 있는 부엌은 대문과 마주하고 있어 들여다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로 벽을 만들었다.
서민 가옥의 소박한 느낌을 주는 건축물로 조선 후기 지방 농가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집이다.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일산읍밤가시초가 (一山邑밤가시草家) 2014.4.4현재
문이 닫혀있어서 여기도 다시 가야
2009년10월14일
'문화재 > 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의암고택 (尙州 依巖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3호 (0) 2013.06.22 문경장수황씨종택 (聞慶長水黃氏宗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3호 (0) 2013.06.22 영암조종수가옥 (靈巖曺鐘洙家屋)-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5호 (0) 2013.04.17 창녕 관룡사 석장승 (昌寧 觀龍寺 石長丞)-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0) 2013.04.03 김정회고가 (金正會古家)-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9호 (0) 201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