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
성주수성리중매댁 (星州水成里中梅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2. 4. 19:15
성주수성리중매댁 ((星州水成里中梅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6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6호 명칭 성주수성리중매댁 (星州水成里中梅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5 동 지정일 1989.05.29 소재지 경북 성주군 수륜면 한강길 29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관리 정발,정감 설명 20세기 초에 지은 집으로 성주지방에서는 보기 드물게 화강암으로 높게 축대를 쌓은 후 그 위에 지었다. 5동으로 이루어진 이 가옥은 안채·사랑채·대문간·고방채·중문간으로 구성되었다. 전통적인 주택의 배치법과 구조양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부엌 뒷마당을 중심으로 찬방, 안방, 부엌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가사노동을 기능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돋보인다. 20세기 초에 들어 전통 주택의 공간구성..
-
해평동북애고택 (海平洞北厓故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18. 21:12
해평동북애고택 (海平洞北厓故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1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1호 명칭 해평동북애고택 (海平洞北厓故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2동) 지정일 1983.06.20 소재지 경북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318 시대 소유.관리 쵀충호 설명 조선 정조 12년(1788)에 지은 집으로, 건너쪽에 위치한 쌍암고가(중요민속자료 제105호)를 먼저 지은 형이 동생 최종석을 위해 지어 주었다. 북애고택이라 한 것은 쌍암고가에서 바라볼 때 북쪽 언덕에 있다하여 이름한 것이다. 一자형 사랑채와 중문간채, ㄷ자형 안채가 남향으로 배치되었는데, 쌍암고가와 같은 형식이다. 원래는 대문간채와 사당도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
-
의구총 (義拘塚)-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16. 23:03
의구총 (義拘塚)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5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5호 명칭 의구총 (義拘塚)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순절지 수량 1기609㎡ 지정일 1994.09.29 소재지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산148 시대 소유.관리 구미시 설명 일선리 마을에 자리잡고 있는 개의 무덤이다. 주인을 구하려 목숨을 바친 개의 충직함을 기리고 있는데, 충성스런 개의 행적을 그린 의구도(義狗圖) 4폭이 함께 보존되어 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해평면 산양리에 사는 김성발이라는 사람이 기르는 개가 있었는데, 매우 영리하여 늘 주인 곁을 떠나지 않았다. 하루는 주인이 이웃마을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술에 취해 그만 길가에서 잠이 들었다. 마침 들에 불이나 주인이 위험하게 되자 개는 ..
-
면운재고택 및 별묘 (眠雲齋古宅 및 別廟)-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15. 18:09
면운재고택 및 별묘 (眠雲齋古宅 및 別廟)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6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6호 명칭 면운재고택 및 별묘 (眠雲齋古宅 및 別廟)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2동 지정일 1991.05.14 소재지 경북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39 시대 소유.관리 이병운 설명 조선시대 성균관 진사를 지낸 면운재 이주원(1714∼1796)이 영조 26년(1750) 오촌에 대대로 살기 위해 지은 집이다. 특히 한말에 영덕지역 의병을 대표하는 이겸호는 면운재 공의 7대손으로 독립운동 당시 이 집을 본거지로 활용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ㅁ자형의 정침만이 남아 있으나 원래는 정침의 오른쪽에 방앗간이 있었으며, 전면에 대문채가 있어서 양반집의 일반적인 배치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전쟁 ..
-
갈천동초가까치구멍집 (葛川洞草家까치구멍집)-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14. 22:43
갈천동초가까치구멍집 (葛川洞草家까치구멍집)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호 명칭 갈천동초가까치구멍집 (葛川洞草家까치구멍집)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 동 지정일 1975.12.30 소재지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6-1 시대 소유.관리 권찬암 설명 집의 가운데에 마루를 두는 영동형 양통집으로, 언제 지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양통집은 한 채를 2줄로 만든 겹집이며, 주로 태백산맥의 동쪽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는 방이 한 줄로 배열되는 태백산맥 서쪽의 외통집과 대조를 이루는 형태이다. 앞면 3칸 반·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초가이며 까치구멍을 내었다. 까치구멍은 부엌 위로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지붕에 구멍을 내는 것으로 주로 양통집에만..
-
남장사 석장승 (南長寺 石長丞)-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13. 05:12
남장사 석장승 (南長寺 石長丞)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 명칭 남장사 석장승 (南長寺 石長丞) 분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민간신앙조각/ 석조 수량 1 구 지정일 1982.02.24 소재지 경북 상주시 남장동 산63-6 시대 소유.관리 남장사 설명 장승은 마을입구나 사찰입구에 세워 잡귀와 액운의 출입을 막고 사찰내의 재산과 경계를 표시하는 민간신앙물로, 마을에서는 수호신의 기능을 겸하기도 한다. 남장사 입구에 서 있는 이 돌장승은 원래 남장동에 있었는데, 1968년 저수지 공사로 인해 현재의 자리로 옮겨놓은 것이다. 높이 186㎝의 크기로, 자연석을 그대로 살려 다듬었다. 한쪽으로 치우친 비뚤어진 얼굴에 눈꼬리가 치켜 올라간 왕방울 눈과 커다란 주먹코, 야무지게 다..
-
예안이씨상리종택 (禮安李氏上里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6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11. 8. 17:16
예안이씨상리종택 (禮安李氏上里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67호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67호 명칭 예안이씨상리종택 (禮安李氏上里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 동 지정일 1986.12.11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산읍 상리1리 486-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항식 설명 예안 이씨 7대손 이훈 선생의 종가댁으로 중종 20년(1525)경에 세웠으며 상리종택이라고 부른다. 선생은 연산군 10년(1504)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로 인해 남하하여 이 집을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ㅁ자형 평면으로 앞쪽 중앙에 중문을 두고, 왼쪽으로 사랑채 3칸을 두었으며 뒤에 안채를 들인 이 지방의 전형적인 조선시대 중·상류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안채의 평면구..
-
영암조종수가옥 (靈巖曺鐘洙家屋)-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 35 호문화재/내가 본 시도민속자료 2012. 4. 9. 16:50
영암조종수가옥 (靈巖曺鐘洙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 35 호 종목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 35 호 명칭 영암조종수가옥 (靈巖曺鐘洙家屋)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1 동 지정일 2001.06.05 소재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3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조종수 설명 창녕 조씨 문중의 종가(宗家)로 원래는 의병장인 육의당 박흡의 탯자리로 전한다. 조선 후기 전형적인 대농의 집으로서 초가 5칸의 문간채와 사당을 갖추었다고 하나 지금은 안채만 남아 있고 옛 문간채 자리에는 새로 지은 부속채와 창고 건물이 앞에 위치하고 있다. 안채는 부엌과 출입문의 일부를 개조한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안채의 뒤편으로 배롱나무와 크게 자란 소나무들로 잘 가꾸어진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