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원균장군묘 (元均將軍墓)Tomb of General Won Gyun-경기도 기념물 제5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4. 27. 08:13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봉토묘수량1기지정일1980.06.02소재지경기도 평택시 도일동 483-1소유원*** 관리원*** 문화재 설명 조선 중기의 무신인 원균(元均, 1540∼1597) 장군의 묘이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투옥되자 그를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산에 있는 적을 공격하던 중 칠천량해전에서 대파하여 전사하였다. 이후 1604년(선조 37)에 권율·이순신과 함께 선무 1등공신으로 벼슬이 높여졌다.묘역은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와 합장한 원형 단분(單墳;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1981년 후손들이 묘역을 정비하면서 원형이 상당부분 변형되었고, 또한 묘표(墓表;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와 문석인을 제외한 모든 석물들이 1981년에 새롭게 조성되었다. 봉분의 ..
-
용인할미산성 (龍仁할미山城)-Halmisanseong Fortress of Yongin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4. 22. 10:58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73,504㎡ 지정일 2007.09.17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산41 시대 6∼7세기 소유 용인시장 관리 용인시장 문화재 설명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과 포곡읍 가실리와 마성리의 경계에 있다. 할미산의 북쪽 봉우리와 남쪽의 경사면을 감싸며 축조되었으며,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이다. 성벽의 둘레는 661m로 서울·경기지역의 삼국시대 성곽 중에서는 소규모에 속한다. 할미산성의 성돌은 대부분 인근 지역의 기반암인 우백질편마암이다. 성벽은 벽돌처럼 장방형으로 가공한 성돌로 줄을 맞추어 바른층쌓기를 했다. 내벽과 외벽, 적심부를 모두 돌로 쌓았다. 외벽에는 성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덧대어 쌓은 보축성벽도 확인된다. 성문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현문..
-
청주 부모산성 (淸州 父母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4. 14. 22:45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일곽 지정일 2002.01.11 소재지 충북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 산10-8번지 시대 삼국시대 소유 산*** 관리 청*** 문화재 설명 청주 부모산성은 비하동과 지동동의 경계를 이루며 솟아있는 부모산(해발 231.7m) 정상을 에워쌓은 포곡식包谷式 석축산성과 그 주변으로 이어지는 능선 상에 3개의 작은 보루성堡壘城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부모성은 주州의 서쪽 15리에 있다. 석축으로 둘레가 2,427척이며, 성안에 큰 연못[大池]이 있는데 지금은 폐성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후대의 지리지에는 이러한 내용을 거의 동일하게 기록하고 있다. 본성 성벽의 둘레 2,427척은 포백척(1척=46.73㎝) 준수遵守값으로 환산하면 1,134...
-
충주 남산성 (忠州 南山城)-충청북도의 기념물 제3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3. 27. 15:05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1,165㎡ 지정일 1980.01.09 소재지 충북 충주시 직동 산24-1번지 소유 문화재청 관리 문화재 설명 충주산성은 충주시 안림동 산56-1과 직동산 24-1 및 목벌동 산54에 걸쳐 있으며 남산성 또는 금봉산성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삼국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보여지는 이 성은 외축 내착형이며 산 정상을 이어 쌓아진 테뫼식 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축성 재료는 석재를 고루 쌓아 전형적인 고식을 보이며 성 둘레는 1983년 충주시 조사에 의하면 1,145m이며 중간 중간이 무너지고 5개소에 775m의 성곽이 남아 있으며 성안의 넓이는 46,524㎡이고 성벽의 높이는 7∼8m에 이르고 있다. 성안에는 우물자리가 2개소 있는데 현재 물은 나지 않으며 동서..
-
월평동산성 (月坪洞山城)-대전광역시기념물 제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3. 25. 12:04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27,838㎡ 지정일 1989.03.18 소재지 대전 서구 월평동 산12-2번지 시대 백제 소유 윤희선 외 3인 관리 문화재 설명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 있는 해발 137.8m의 야산 정상부를 따라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성둘레는 약 710m이다. 포곡식 산성은 성곽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계곡을 감싸며 쌓은 산성을 일컫는다. 성벽은 거의 붕괴되었지만 성을 쌓은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있고, 산 능선을 따라 축조된 성벽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서벽의 일부에서는 바깥벽·안벽이 남아있다. 성문터는 동·서·북벽에 각각 한 곳씩 남아있는데, 동문터의 너비는 5m이고, 서문터는 너비 3.6m로 서벽의 중간 부분에 있다. 북문터는 너비 3m로 성에서 가장 낮은..
-
남해 대국산성 (大局山城)-경상남도기념물 제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3. 24. 15:50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일원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18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산림청 외 관리 남해군 문화재 설명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대국산의 정상에 지어진 산성으로, 산꼭대기를 빙둘러 돌로 쌓았다. 성의 둘레는 1.5㎞, 성벽의 높이는 5∼6m이고 윗부분의 폭은 2.4m인데, 성벽의 바깥쪽은 깬돌을 이용하여 겹으로 쌓아 올리고, 안쪽은 자갈과 흙을 섞어서 채워 성벽을 다졌다. 성벽의 둘레에는 네모꼴의 망대(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세운 높은 대)가 있었던 흔적이 있다. 성 안의 중앙에는 건물터와 연못터가 있으며, 천씨(千氏) 성을 가진 장군과 일곱 시녀 사이에 얽힌 전설이 있는 제사터가 있다. 성의 동남쪽과 북쪽에 성문..
-
흑석동산성 (黑石洞山城)-충청북도기념물 제1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3. 24. 12:25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23,210㎡ 지정일 1990.05.28 소재지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 산 83 일원 시대 백제 소유 국유 관리 서구 문화재 설명 대전광역시 서구에 봉곡동 해발 197m의 고무래봉 정상에 있는 산성이다. 백제 때 산성으로 산봉우리를 둘러 쌓은 형태이며, 둘레는 470m에 달한다. 성벽은 자연석을 이용하였으며, 바깥쪽 벽만 돌로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을 채우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남벽은 해발 185m의 능선에 만들었고, 문터는 남문터만이 남아 있는데 그 폭은 2.8m 정도이다. 남벽은 서쪽 성벽 쪽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조금 올라온 뒤 꺾여져 북쪽 성벽으로 이어진다. 북쪽 성벽은 거의 일직선으로 올라가 정상까지 이르렀으며, 여기서 수직으로 꺾여져 이루어진 동..
-
철원성산성 (鐵原城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3. 23. 21:23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1곽(44,033㎡) 지정일 2003.01.18 소재지 강원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산121 외 시대 통일신라 이전(추정) 소유 산림청 관리 철원군 문화재 설명 성산성은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성재산(해발 471m)에 위치하고 있는데, 평강 방향에서 철원·화천·회양으로 가는 길목을 매우 유리한 지점에서 감시하며 방어할 수 있는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성산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현의 북쪽 4리에 있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1,489척, 높이가 4척이다.’라고 나타나 있다. 또한 일제시대 이후에는 가등산성(加藤山城)으로 불리웠다고 전해온다. 이 산성은 전체적으로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게 되어 있다. 성벽의 총길이는 982m이며, 높이는 일정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