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울릉현포동고분군 (鬱陵玄圃洞古墳群)-경상북도 기념물 제7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8. 28. 19:32
울릉현포동고분군 (鬱陵玄圃洞古墳群) -경상북도 기념물 제73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73호 명칭 울릉현포동고분군 (鬱陵玄圃洞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 309,940㎡ 지정일 1986.12.11 소재지 경북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2511-34, 7필 (현포리) 시대 소유.관리 울릉군 설명 울릉도 내에서 가장 많은 무덤이 밀집하여 분포한 무덤들이다. 완만한 경사면에 40여기가 분포하고 있다. 무덤의 형태는 기단을 만들고 가운데 직사각형의 돌방(석실)을 만들어, 시체를 넣고 그 위에 돌을 이용하여 봉분을 만든 이른바 석총으로 삼국시대의 것으로 생각된다. 울릉현 포동무덤들은 울릉도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석총으로 이 지역 무덤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무..
-
울릉남서동고분군 (鬱陵南西洞古墳群)-경상북도 기념물 제7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8. 28. 19:08
울릉남서동고분군 (鬱陵南西洞古墳群)-경상북도 기념물 제72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72호 명칭 울릉남서동고분군 (鬱陵南西洞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 396,498㎡ 지정일 1986.12.11 소재지 경북 울릉군 서면 남서리 140-1번지 15필 시대 소유.관리 울릉군 설명 이 일대는 울릉도에서 밀집 분포하고 있는 무덤 중 하나이다. 무덤은 산록경사면에 괴석을 이용하여 축대 또는 기단을 쌓아 평평하게 하고, 그 위에 시신을 모시는 돌덧널무덤(석곽묘)을 만들었으며, 그 위에 돌로 봉분을 만들은 적석총 형태이다. 돌덧널(석곽) 입구의 앞은 수직벽으로 되어 있어 마치 신전의 정면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형식은 삼국시대 울릉도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
되재성당지 (升峙聖堂地)-전라북도기념물 제119호-대한민국 두번째 성당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5. 31. 11:15
되재성당지 (升峙聖堂地) 바실리카식 최초의 한옥성당1호 종목 전라북도기념물 제119호 명칭 되재성당지 (升峙聖堂地)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량 일원 지정일 2004.07.30 소재지 전북 완주군 화산면 승치리 729-1번지 시대 소유.관리 (재)전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설명 되재성당은 1895년 한국 천주교회에서 서울 약현성당에 이어 두 번째로 완공된 성당으로 한강 이남에서는 처음 세워진 성당이며, 최초의 한옥성당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 때 성당건물이 전소되었고 그 자리에는 1954년에 다시 세운 공소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성당은 서양의 바실리카식 교회건축양식을 한식 목구조로 번안한 한옥성당으로서 새로운 문화의 토착화 과정을 보여주는 최초의 한옥성당으로 추정하고 있다...
-
명월대 (明月臺)-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5. 8. 21:35
명월대 (明月臺)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호 종목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호 명칭 명월대 (明月臺)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1기 지정일 1981.08.26 소재지 제주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시대 소유.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설명 조선 후기 이 지방 유학자들과 시인들이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남읍리와 함께 양반촌으로 알려진 한림읍 명월리에 있다. 명월대는 옆으로 맑고 고운 시냇물을 끼고 있으며, 수십 그루의 팽나무가 울창한 자연림을 이루고 있어 한여름 찌는 듯한 더위를 식히기에 좋은 곳이다. 또한 아담한 반달형 돌다리가 놓여 있어 운치를 한층 돋구고 있다.
-
서천장암진성 (舒川長巖鎭城)- 충청남도 기념물 제9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4. 27. 18:00
서천장암진성 (舒川長巖鎭城) 충청남도 기념물 제97호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97호 명칭 서천장암진성 (舒川長巖鎭城)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 76568.3㎡ 지정일 1995.03.06 소재지 충남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 산1-1번지 외 20필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서천군 설명 충청남도 서천군의 장암진성은 해발 90.1m의 후망산 남서쪽 끝에 있으며 산성이라기 보다는 평지에 있는 평지성에 가깝다. 성벽의 둘레는 640m이고 동·서 190m, 남·북 100m로 역사다리꼴에 가까운 형태로, 남쪽벽과 북쪽벽에 각각 1개씩의 문터가 있다. 동쪽벽에서 5∼7m 정도 떨어진 곳에 폭 4m, 깊이 1.2m 정도로 주변에 도랑을 돌린 해자가 있으며, 서쪽벽은 일제시대 때 거의 헐려 형태가 잘 남..
-
이색선생묘일원 (李穡先生墓一圓)-충청남도 기념물 제8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4. 27. 17:06
이색선생묘일원 (李穡先生墓一圓) 충청남도 기념물 제89호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89호 명칭 이색선생묘일원 (李穡先生墓一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1,150㎡(1필지) 지정일 1993.11.12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35 (영모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한산이씨종중 설명 고려 후기의 문인이며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1328∼1396) 선생의 묘이다. 선생은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의 한사람이다. 충혜왕 복위 2년(1341)에 진사가 되고, 충목왕 4년(1348)에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귀국하여 공민왕 1년(1352)에 전제개혁, 교육진흥, 불교억제 등 당면한 시정개혁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다. 이듬해..
-
이상재선생생가지 (李商在先生生家址)-충청남도 기념물 제8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4. 27. 09:36
이상재선생생가지 (李商在先生生家址) 충청남도 기념물 제84호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84호 명칭 이상재선생생가지 (李商在先生生家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 9752㎡ 지정일 1990.12.31 소재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 263외 4필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서천군 설명 조선 후기 사회 운동가인 이상재(1850∼1927) 선생의 생가가 있던 자리이다. 이상재는 종교가·정치가로 일찌기 기독교에 입교하여 신앙운동을 통해 민족정신을 일깨우고자 노력했다. 고종 18년(1881) 신사유람단의 수행원으로 일본을 시찰하고 돌아와 고종 25년(1888) 전권대신 박정양을 수행하여 주미공사 서기로 부임했다. 미국에 다녀온 뒤, 신문명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광무 2년(1898) ..
-
한산향교 (韓山鄕校)-충청남도 기념물 제13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7. 4. 26. 11:11
한산향교 (韓山鄕校) 충청남도 기념물 제131호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31호 명칭 한산향교 (韓山鄕校)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1동(대성전) 지정일 1997.12.23 소재지 충남 서천군 한산면 한산향교길 76-31 (지현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한산향교 설명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한산향교를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고려 충렬왕(재위 1274∼1298) 때 동산리 유산에 세운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조선 현종 10년(1669)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철종 1년(1850)부터 이듬해까지 크게 고쳐 지었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학문을 배우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지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