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조선왕조의궤(2016-9) (朝鮮王朝儀軌(2016-9))-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24. 15:04
분류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수량1건 2책지정일2016.05.03소재지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 (성남동, 삼척시립박물관)시대조선시대 후기소유공유 관리삼척시립박물관 국가유산 설명*지정사유의궤(儀軌)란 ‘의식(儀式)의 궤범(軌範)’이라는 뜻으로 ‘국가전례의 따라야할 기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는 조선왕실에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그 내용을 기록과 그림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국가기록물이다. 또한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선만의 독특한 전통으로서 예법을 중시하고 기록을 철저히 보존하려는 조선시대의 우수한 기록문화 중 하나로서 국가지정문화유산의 가치가 충분하다.*내용(연혁,유래,전설)〈조선왕조의궤〉는 태조 때 최초로 편찬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까지 계속 되었..
-
조선왕조의궤(2016-5) (朝鮮王朝儀軌(2016-5))-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24. 14:49
분류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수량2건 3책지정일2016.05.03소재지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시대조선후기소유국유 관리국립중앙도서관 *지정사유의궤(儀軌)란 ‘의식(儀式)의 궤범(軌範)’이라는 뜻으로 ‘국가전례의 따라야할 기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는 조선왕실에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그 내용을 기록과 그림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국가기록물이다. 또한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선만의 독특한 전통으로서 예법을 중시하고 기록을 철저히 보존하려는 조선시대의 우수한 기록문화 중 하나로서 국가지정문화재유산의 가치가 충분하다.*내용(연혁,유래,전설)〈조선왕조의궤〉는 태조 때 최초로 편찬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까지 계속 되었다. 그러나..
-
조선왕조의궤(2016-2) (朝鮮王朝儀軌(2016-2))-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24. 14:37
분류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수량291건 384책지정일2016.05.03소재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시대조선시대후기소유국유 관리한국학중앙연구원 *지정사유의궤(儀軌)란 ‘의식(儀式)의 궤범(軌範)’이라는 뜻으로 ‘국가전례의 따라야할 기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는 조선왕실에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그 내용을 기록과 그림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국가기록물이다. 또한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선만의 독특한 전통으로서 예법을 중시하고 기록을 철저히 보존하려는 조선시대의 우수한 기록문화 중 하나로서 국가지정문화유산의 가치가 충분하다.*내용(연혁,유래,전설)조선왕조의궤〉는 태조 때 최초로 편찬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까지 계속 ..
-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15. 17:29
분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수량1건지정일2024.06.10소재지전라남도 무안군시대조선시대(1668년)소유대한불교조계종 목우암 관리목우암 국가유산 설명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가 114.5㎝인 조선후기 제작된 중형 불상으로, 얼굴과 앉은키의 비례가 1:3.1로 인체비례와 유사하며, 어깨가 넓어 당당한 신체를 가지고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여래상에 비해 하반신의 높이가 높아졌으나 상반신과 하반신이 적당한 비례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 뾰족한 나발(螺髮)과 경계가 불분명한 육계(肉髻)가 표현되고, 육계 밑에 반원형의 중간계주(中間髻珠)와 정수리에 상단이 둥근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 긴 장방형의 얼굴에 반개한 일자형의 눈, 코와 입 주위를 얕게 ..
-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盈德 莊陸寺 地藏十王圖)-보물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15. 16:48
분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수량1폭지정일2024.06.28소재지경상북도 영덕군소유장*** 관리장*** 국가유산 설명 영덕 장육사 지장시왕왕도는 중앙의 주존인 지장보살을 비구(比丘) 형상으로 삭발을 하고 있고, 손에 지물(持物)로는 석장(錫杖)과 투명한 보주(寶珠)를 지니고, 천의 대신 가사를 입고 있으며 결가부좌하고 있다. 이 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명부시왕과 판관, 녹사 등의 권속들이 작게 표현되었다. 상단에는 이부동자와 보살들이 있다강조된 본존 주위를 조그맣게 묘사된 많은 권속들이 둥글게 에워싼 구도를 취하고 있다. 장식문양, 화사한 채색과 여러 곳에 금채를 사용하는 등 장식성이 돋보인다.
-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盈德 莊陸寺 靈山會上圖)-보물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15. 16:00
분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수량1폭지정일2024.06.28소재지경상북도 영덕군소유장*** 관리장*** 국가유산 설명 장육사 대웅전 내의 삼존불 후면에 걸리는 후불탱화(後佛幀畵)이다.석가가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본존 석가불이 중상단부 위치하고 있고, 그 양옆으로 4천왕, 10보살과 10대제자, 4분신불, 구름위에서 내려다 보는 신중(神衆)들이 본존불을 중심으로 사다리꼴로 배치되고 있으며, 그리고 좌대 하단에는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이 좌우에 각기 묘사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많은 범문을 써 놓았다.조성연대가 확인되고 화기(畵記)가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18세기 경상도지역 불화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어 조선시대 불교미술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尙州 上吾里 七層石塔)Seven-story Stone Pagoda in Sango-ri, Sa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5. 15. 13:26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1기지정일1980.09.16소재지경북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699번지시대고려시대 초기소유국유 관리상주시 문화재 설명탑이 세워진 이 곳은 장각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으로 전하나 확실한 기록은 없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일반적인 모습으로, 흙을 다져 만든 단 주위에 돌로 테두리를 잡아 구역을 정한 후 그 위에 탑을 세웠다.기단은 여러 장의 판돌로 이루어졌고, 탑신은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일정 비율로 줄어들고 있다. 1층 몸돌은 3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동쪽 면에는 문짝 모양의 조각도 있다. 2층 이상은 지붕돌과 몸돌을 하나의 돌로 구성한 특징이 보인다. 얇아보이는 지붕돌은 느린 경사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