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6. 15. 17:29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1건 지정일 2024.06.10 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시대 조선시대(1668년)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목우암 관리 목우암 국가유산 설명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가 114.5㎝인 조선후기 제작된 중형 불상으로, 얼굴과 앉은키의 비례가 1:3.1로 인체비례와 유사하며, 어깨가 넓어 당당한 신체를 가지고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여래상에 비해 하반신의 높이가 높아졌으나 상반신과 하반신이 적당한 비례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 뾰족한 나발(螺髮)과 경계가 불분명한 육계(肉髻)가 표현되고, 육계 밑에 반원형의 중간계주(中間髻珠)와 정수리에 상단이 둥근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 긴 장방형의 얼굴에 반개한 일자형의 눈, 코와 입 주위를 얕게 파내 부피감을 준 뺨과 턱, 살짝 외반(外反)한 귓불과 이갑개, 이륜, 이주가 물음표 모양인 두툼하고 뭉툭한 귀를 가지고 있다. 목에는 삼(三)자형으로 도식화 된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어 17세기 전반의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표현과 차이가 있다. 양손은 무릎 위에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오른손이 손등을 위로 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는 수인(手印)을 취하고 있다. 아미타불은 대의 안쪽에 편삼(偏衫)을 입고, 오른쪽 어깨를 덮은 대의 안쪽 옷자락이 V자형으로 겨드랑이까지 늘어지고, 나머지 대의자락이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간다. 복부에 오른쪽 어깨에서 수직으로 내려온 옷자락이 편삼과 겹쳐 있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 자락의 경우 복부 중앙에서 바닥으로 한 가닥의 대의자락이 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게 펼쳐진 비파채와 유사한 형태로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은 대의자락의 처리는 조각승 희장이 만든 기년명 불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표현이다. 왼쪽 측면 대의자락은 동일한 너비로 길게 늘어져 앞뒤로 “ㅅ”자를 그리며 펼쳐져 있다. 가슴을 덮은 승각기는 상단이 대각선으로 접혀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바닥면은 역삼각형이고, 중간에 사각형이 복장공이 있는데 인위적으로 뜯어내서 바닥 중간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불상 내에서는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이 발견되어 제작시기와 봉안 사찰 및 조각승을 비롯한 연화질 등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 | 국가유산포털 | 우리지역 국가유산 (heritage.go.kr)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은 본존불 바닥면에 있는 조성 관련 묵서를 통해 1614년(광해군 6)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각심(覺心) 등의 제작자,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여래삼존으로 조성되었다는 사실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으로, 17세기 조각사 분야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본존불의 규모가 186cm에 이르는 대형 불상으로, 왜란 이후 새로운 불교 중흥의 의미를 담아 기백 넘치는 조형성을 담고 있다. 더불어 17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불상 중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는 보기 드문 예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의를 갖추고 있다. 또한, 조각승 유파가 완전히 형성되기 이전 각심, 응원(應元), 인균(印均) 같은 조각승들의 활동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 또한 충분하다.광해군대 불상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보물 지정 예고 | 기관 소식 | 정책·정보 | 정부24 (gov.kr)
전라남도 무안군 법천길 482-85'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의궤(2016-5) (朝鮮王朝儀軌(2016-5))-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0) 2024.06.24 조선왕조의궤(2016-2) (朝鮮王朝儀軌(2016-2))-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0) 2024.06.24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盈德 莊陸寺 地藏十王圖)-보물 (0) 2024.06.15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盈德 莊陸寺 靈山會上圖)-보물 (0) 2024.06.15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尙州 上吾里 七層石塔)Seven-story Stone Pagoda in Sango-ri, Sangju (0)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