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재 이야기
-
바로잡아 주세요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3. 3. 16:08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 사자루 부여 부소산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으로, 이곳은 달구경을 했다는 송월대가 있던 자리이다. 조선 순조 24년(1824)에 군수 심노승이 세운 것으로, 조선시대 임천의 관아 정문이었던 개산루를 1919년에 이곳으로 옮겨 짓고는 사자루라 이름하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으로 사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오른편 북쪽 칸에는 2층으로 오르는 계단을 만들었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건물 앞면에는 조선 후기 의친왕 이강이 쓴 ‘사자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백마강 쪽으로는 ‘백마장강’이라는 현판이 함께 걸려 있다. 건물을 옮겨 세우기 위해 땅을 고를 때 정지원이란 이름이 새겨져 있는 백제시대의 금동석가여래입상..
-
왜 동남리 오층석탑인가? 석목리 오층석탑이 옳은 듯 한데......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3. 2. 11:22
동남리석탑 (東南里石塔)-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4호-1084.05.17 국립부여박물관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석목리 논절부락의 고려시대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고 있는데, 아래층 기단은 일부만 남아있고, 탑신의 4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위층 기단의 맨윗돌은 탑신의 1층 몸돌을 괴어주는 부분 주위로 넓게 테두리를 두른 뒤 연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탑신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2층 몸돌부터 갑자기 높이가 줄어들어 1층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두텁고 무거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네 귀퉁..
-
쌍계사 부도 중에 ‘혜찬대사’의 이름을 새긴 것도 있다. 없다.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2. 28. 15:42
쌍계사부도 (雙溪寺浮屠)-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0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쌍계사로 들어가는 입구에 마련된 이 부도밭에는 모두 9기의 부도가 자리잡고 있다. 이 절에서 돌아가신 아홉 승려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는데, 6기는 종모양을 하고 있고, 나머지 3기는 지붕돌을 갖춘 4각 부도이다. 종모양의 탑몸돌을 하고 있는 부도들은 4각 또는 6각의 바닥돌 위에 놓여 있다. 바닥돌은 연꽃무늬를 둘렀으며, 탑몸돌 꼭대기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돌을 얹어 머리장식을 하였다. 지붕돌을 올린 부도들은 기단(基壇) 위로 동그란 탑몸돌을 얹고 지붕돌을 덮은 모습이다. 기단에는 연꽃무늬나 구슬을 이어놓은 듯한 무늬들을 조각하여 장식해 두었다. 탑몸돌에는 읽기 힘든 상태의 글씨가 보이는데, ..
-
돈암서원 유경사를=>돈암서원 숭례사로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2. 28. 10:32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5호-돈암서원유경사 (遯岩書院惟敬祠) 한국의 서원 ‘한국의 서원’(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건립)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기관의 유형을 대표하는 9개 서원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으로, 한국의 성리학과 연관된 문화적 전통에 대한 탁월한 증거이다.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등 9개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중부와 남부 여러 지역에 걸쳐 위치한다. 서원은 중국에서 도입되어 한국의 모든 측면에서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성리학을 널리 보급한 성리학 교육기관으로서 탁월한 증거가 되는 유산이다. 서원의 향촌 지식인들은 학습에 정진할 수 있는 교육체계와 유형적 구조를 만들어냈다. 학습과 배향, 상호교류는 서원의 핵심적인 ..
-
충북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2. 9. 08:36
5 보물 제1299호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槐山 寶安寺 三層石塔) 충북 괴산군 괴산군 2000.08.04 지정된 보물 제1299호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이다. 지정 당시 보안사 삼층석탑 보물이 있는 곳이라곤 믿을 수 없다. 정비도 못하고 보물로 지정 무너질 듯 하다. 민가 담장에, 잡석에 ,수목에 어지럽다. 15년이 흐른 2015년 4월 14일 방문 당시다. 많이 정비되었다. 사유재산이라 처리하기 힘들겠지만 투자를 해야한다. 옆에서 작업도 하고 차가 드나들며 건물도 설치했다. 언제라도 무너질 수 있다. 걱정이다. 괴산 보안사로 옮겨 관리하는 것이 어떨까?
-
국가 민속문화재 제260호 영덕 안동권 씨 옥천 재사 (盈德 安東權氏 玉川齋舍)는 라는 문화재는 억울하게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로 알려지고 있었다.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1. 13. 16:40
2012.10.22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6-1번지를 방문했다. 지정된 문화재라 하니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보았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와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호다. 7년 3개월 만에 다시 블로그 점검 중에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와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 호를 찾았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화수루와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호 갈촌동 고가 까치구멍 집이다. 두 문화재가 없다. 어! 이상하다. 해제되었나 보다. 찾아보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화수루는 [국가 민속문화재 260호로 승격 지정됨에 따라 지정 해제됨. (2009.04.28.)]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호 갈촌동 고가 까치구멍 집은 내용은 없고 해제일(2009.04.28)만 그럼 그렇지 해제가 ..
-
문화재 명칭 이래도 되는가?-양동 마을을 예로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1. 6. 10:18
2013.11.11 문화재청 홈페이지 2021.01.06 현재 문화재청 홈페이지 1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 경주양동마을 (慶州良洞마을) 지정 당시에는 '월성양동마을(月城良洞마을)'이었으나, "경주(慶州)"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꾸준히 이어져 온 명칭임에 반해 "월성(月城)"은 한 때의 행정편의에 따라 한시적으로 쓰였던 행정구역 명칭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경주양동마을(慶州良洞마을)' 명칭을 변경(2009. 2.16)하였다. 2 보물 제411호 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 良洞 無忝堂) 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 良洞 無忝堂) 3 보물 제412호 경주 양동 향단 (慶州 良洞 香壇) 경주 양동 향단 (慶州 良洞 香壇) 4 보물 제442호 경주 양동 관가정 (慶州 良洞 觀稼亭) 경주 양동 관가정 (慶州 良洞 ..
-
교동 금관은 더 대접을 받아야 한다.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1. 1. 3. 18:23
유물명 : 교동 금관 분류 : 장신구 소장처 : 국립경주박물관 출토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64 시대 : 5세기 중엽 신라 배경설명 : 경주시 교동(校洞)의 폐고분(廢古墳)에서 도굴되었다가 압수한 금관(金冠)이다. 신라의 금관 중 가장 형태가 단순하며 오래된 것이다. 금판을 길죽한 띠모양으로 오려 관테[臺輪]를 만든 다음 별도로 만든 3개의 솟음장식[立飾]을 관테의 안쪽에 덧대고 금못을 “∴”모양으로 박아 고정하였다. 관테에는 상하로 2줄의 달개[瓔珞]를, 솟음장식에는 한줄씩의 둥근 달개를 금실에 꿰어 매달았다. 솟음장식은 중심줄기와 2개의 가지로 이루어진 나뭇가지모양인데 형태상으로 보면 부산 복천동 10 · 11호분에서 나온 금동관과 유사하며 신라의 전형적인 관(冠)인 “출(出)”모양 금관의 시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