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安東 河回마을 鵲泉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 87 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2. 10. 27. 20:36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安東 河回마을 鵲泉古宅)
-중요민속문화재 제 87 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 87 호 명칭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安東 河回마을 鵲泉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종가길 76 (하회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유시주 설명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의 동족마을로 빼어난 자연 경관과 민속·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작천 유도관 선생이 이 집에서 살았기 때문에 '작천고택'이라고도 부르며, 하회마을 북촌의 서쪽 끝 강변 가까이 자리잡고 있다.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건축수법과 양식으로 미루어 조선중기에 지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원래 2동이 있었으나 1934년 홍수로 현재 1동만 남아있다.
안채는 앞면 5칸·옆면 1칸 반 크기로 왼쪽부터 부엌 1칸 반, 안방 1칸, 대청 1칸, 건넌방 1칸으로 남부지방의 전형적인 4칸 '一'자 집이라고 볼 수 있으나 사랑방을 터놓아 구성에 변화를 주고 있다.
눈여겨 볼점은 작은 크기를 가진 집이면서 안채와 사랑방을 구별하도록 앞쪽에 담벽을 둔 점이다. 이것은 안채공간과 사랑방을 따로 두던 내외사상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설비로 큰 규모의 양반집 못지 않게 지혜로운 변화를 보이는 예로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지정 당시 명칭은 '하회유시주가옥(河回柳時柱家屋)'이었으나, 현소유자의 증조부 류도관이 문경 작천리에서 현재 마을로 이주한 가옥으로 '작천댁'이라 불려지고 있어, ‘하회 작천댁’으로 지정명칭을 변경(2007.1.29)하였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문화재 > 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일성당 고택 (安東 日省堂 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178호 (0) 2012.10.29 안동 하회마을 화경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和敬堂 古宅)-화경당-중요민속문화재 제84호 (0) 2012.10.28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중요민속문화재 제85호 (0) 2012.10.28 하회빈연정사 (河回賓淵精舍)-중요민속문화재 제 86 호 (0) 2012.10.28 안동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念行堂 古宅)-국가민속문화재 제90호 (0) 201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