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중요민속문화재 제85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2. 10. 28. 10:26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중요민속문화재 제85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 85 호 명칭
하회원지정사 (河回遠志精舍)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2 동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북촌길 17-7 (하회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류영하,이규성 설명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의 동족마을로 빼어난 자연경관과 민속·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이 건물은 서애 유성룡 선생(1542∼1607)이 아버님이 돌아가시자 고향으로 돌아와 지은 것으로, 자신이 병이 났을 때 요양하던 곳이기도 하다. 조선 선조 6년(1573)에 지었다고 하며 북촌의 북쪽에 강을 향해 정사와 누정이 자리잡고 있다.
정사는 앞면 3칸·옆면 1칸 반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왼쪽 끝칸에 대청을 두고 나머지 2칸은 온돌방을 두었다. 앞쪽으로는 반칸짜리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누정인 ‘연좌루’는 앞면·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누마루 사방에는 난간을 둘렀으며 강가의 소나무 숲과 강 건너편 부용대, 옥연정사(중요민속자료 제88호) 일대가 보인다.
유성룡 선생이 벼슬을 그만 두고 은거할 때 자주 쓰던 별장으로 유서 깊은 곳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서애 선생이 선조 9년 (1576년)에 잠시 조정에서 물러나 있을 때 만송정이 한 눈에 들어오는 마을 북쪽에 짓고 학문을 했던 곳으로 은퇴한 후에는 정양하던 곳이기도 하다. 원래 원지(遠志)는 한약재로 심기(心氣)를 다스려 정신의 혼탁과 번민을 풀어주는 소초(小草)를 말하는데, 하회마을의 안산이기도 한 원지산(遠志山)에서 자생하는 풀이다.
따라서 원지라는 당호와 북향하고 있는 두 건물을 생각하면 북녘에 있는 임금님을 사모하는 선비의 깊은 뜻이 담겨있는 것은 아닌가 여겨진다.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 음력 5월 6일)
류성룡은 조선 중기의 관료,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의성 출신이며, 간성군수 유작(柳綽)의 손자이며,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의 차남이다.이황의 문하에서 조목(趙穆)·김성일과 동문 수학하였으며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과거를 통해 관료로 등용되어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를 계기로 강경파인 이산해, 정인홍 등과 결별하고 남인을 형성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 군관인 이순신과 원균을 천거하여 선조로 하여금 이들을 각각 전라도와 경상도의 방어책임자로 임명하도록 하였으며 이 중 이순신으로 하여금 임진왜란 당시 열세였던 조선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공을 세웠고, 죽을 때까지 청렴하고 정직한 삶을 살아 ‘조선의 5대 명재상(名宰相)’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순신과는 어려서부터 같은 동네에서 함께 자라 절친한 사이로서 후견인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때 겪은 후회와 교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의 국보 제132호이다. 경상북도 출신.
http://ko.wikipedia.org/wiki/%EC%9C%A0%EC%84%B1%EB%A3%A1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연보o 1542년 10월 1 일(음) : 경북 의성에서 출생
o 1545년 (인종 1년) 4세 : 이때부터 글을 읽기 시작.o 1547년 (명종 2년) 6세 : 대학(大學)을 배우다.
o 1549년 (명종 4년) 8세 : 맹자(孟子)를 읽다.
o 1554년 (명종 9년) 13세 : 동학(東學)에서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을 강독(講讀)하였음.
o 1555년 (명종 10년) 14세 : 향시(鄕試)에 합격.
o 1558년 (명종 13년) 17세 : 부인 전주 이씨(李氏)를 맞이 하였음.
o 1560년 (명종 15년) 19세 : 10월 관악산 암자에 들어가 맹자(孟子)를 공부함.
o 1561년 (명종 16년) 20세 : 고향 하회에 돌아와 춘추(春秋)를 읽다.
o 1562년 (명종 17년) 21세 : 9월 도산(陶山)에가서 퇴계선생을 찾아 뵙고 수개월간 머무르면서 '근사록' (近思錄) 등을 수업(修業)하였음.
o 1563년 (명종 18년) 22세 : 가을에 진사생원(進仕生員) 동당초시(東堂初試)에 합격.
o 1564년 (명종 19년) 23세 : 7월 생원회시(生員會試)에 1등, 진사에 3등으로 합격.
o 1565년 (명종 20년) 24세 : 태학(太學)에 들어감.
o 1566년 (명종 21년) 25세 : 10월 문과(文科)에 급제.
o 1567년 (명종 22년) 26세 : 4월에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에 임명.
o 1569년 (선조 2년) 28세 :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공조좌랑(工曹佐郞)에 임명.
o 1571년 (선조 4년) 30세 : 3월에 병조좌랑(兵曹佐郞)이 됨.
o 1573년 (선조 6년) 32세 : 2월에 이조좌랑에 임명됨.7월 13일에 관찰공(선생의 아버지) 상을 당하셨습니다.
o 1576년 (선조 9년) 35세 : 1월에 원지정사가 완성됨.4월에 사간원헌납에 임명.다시 사헌부장령에 임명.
o 1577년 (선조 10년) 36세 : 2월 여강서원의 퇴계선생 봉안문을 짓다.
o 1580년 (선조 13년) 39세 : 특명으로, 상주목사로 임명되다.
o 1581년 (선조 14년) 40세 : 1월에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
o 1583년 (선조 16년) 42세 : 1월에 홍문관 부제학이 되다.
o 1585년 (선조 18년) 44세 : 3월에 왕명으로 정충록(精忠錄) 발문(跋文)을 지어올림.
o 1587년 (선조 20년) 46세 : 퇴계선생의 문집을 편차(編次) 하였음.
o 1588년 (선조 21년) 47세 : 10월에 형조판서에 임명.
o 1589년 (선조 22년) 48세 : 봄에 사헌부 대사헌에 임명.
o 1590년 (선조 23년) 49세 : 5월 29일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右議政)에 임명.
o 1591년 (선조 24년) 50세 : 7월에 홍문관 대제학을 겸하게 함.
o 1592년 (선조 25년) 51세 : 4월 왜군이 부산에 침입하여, 이에대비,조치함.도체찰사(都體察使)로 임명
o 1593년 (선조 26년) 52세 : 1월에 평양성을 탈환.10월 왕이 서울에 돌아오고 훈련도감(訓練都監)을 설치.
o 1594년 (선조 27년) 53세 : 충주를 중심으로 한강 상류의 방어를 튼튼히 하고 조령에 관문과 둔전(屯田)을 마련할
것을 건의.o 1595년 (선조 28년) 54세 : 경기, 황해, 평안, 함경 4도 도제찰사에 임명.
o 1596년 (선조 29년) 55세 : 군사를 훈련시키는 규칙을 정하여 각 도에 내려보냄.9월에 4번이나 사직원을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음.
o 1597년 (선조 30년) 56세 : 2월에 5차례 사직원을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음.
o 1598년 (선조 31년) 57세 : 11월 19일 파직.12월 5일 삭탈관직 되었음.
o 1599년 (선조 32년) 58세 : 2월 16일 하회로 돌아옴.
o 1600년 (선조 33년) 59세 : 퇴계선생 연보(年譜)를 초(抄) 함.
o 1601년 (선조 34년) 60세 : 3월 5일 백씨 겸암선생이 돌아가심.8월 21일 어머니 정경부인 김씨가 돌아가심.
o 1602년 (선조 35년) 61세 : 2월에 신종록(愼終錄)을 짓다.4월에는 영모록(永慕錄)을 짓다.
o 1604년 (선조 37년) 63세 : 3월에 다시 부원군에 봉해짐.
o 1605년 (선조 38년) 64세 : 1월에 지행설(知行說)을 짓다. (지행합일설)4월에 큰아들이 죽다.제왕기년록을 짓다.9월에 서미동으로 이사함.
o 1606년 (선조 39년) 65세 : 3월에 서미동에 초당을 지음.조명(釣名)설을 지었습니다.
o 1607년 (선조 40년) 66세 : 3월 3일 왕이 내의(內醫)를 보내어 병을 간호하였음.9월에 왕에게 유소(遺疎)를 씀.조카에게 명하여 유계(遺戒)를 쓰게함
o 1614년 (광해 6년) : 병산서원에 위판(位版)을 봉안하고 석채례(釋菜禮)를 행함.o 1620년 (광해 12년) : 여강서원의 퇴계선생 사당에 배향(配享) 하였음.
o 1627년 (인조 5년) : 남계서원에 봉안함.
o 1629년 (인조 7년) : 문충공(文忠公)이라 시호(諡號)를 내림.
o 1631년 (인조 9년) : 도남서원에 위판을 봉안함.
o 1643년 (인조 21년) : 삼강서원에 위판을 봉안함.
o 1689년 (숙종 15년) : 빙계서원에 위판을 봉안함.
'문화재 > 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일성당 고택 (安東 日省堂 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178호 (0) 2012.10.29 안동 하회마을 화경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和敬堂 古宅)-화경당-중요민속문화재 제84호 (0) 2012.10.28 하회빈연정사 (河回賓淵精舍)-중요민속문화재 제 86 호 (0) 2012.10.28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安東 河回마을 鵲泉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 87 호 (0) 2012.10.27 안동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念行堂 古宅)-국가민속문화재 제90호 (0) 201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