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보스톡 여행기 2->신한촌->해양공원->아르바트거리->율부린너 동상->블라디보스톡 역나의 여행기 2020. 1. 31. 18:46
블라디보스톡 여행기 2
신한촌->해양공원->아르바트거리->율부린너 동상->블라디보스톡 역
20여분 만에 신한촌에
선조들의 뼈아픈 역사의 현장이다.
이곳에 사시던 우리 고려인들은 아무 영문도 모르고 멀리 이주되었다.
그들은 왜......?
마음이 아프다.
고구려시대 우리의 땅이었던 이 곳
고려시대 조선시대 구 한말
이곳에서 왜?
자꾸 화난다.
1937년 극동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로 신한촌이 폐쇄될 때까지 신한촌에서의 한인 활동은 지속으로 전개되었다.
신한촌
블라디보스토크에는 1870년대부터 한인이 점차 집중하기 시작해 1886년에 400명, 1891년에는 840여 명에 이르렀다. 한인 인구가 늘어가자, 시 당국에서는 1893년 한인들만 집단으로 거주하도록 하는 구역을 설정하였다.
‘카레이 스카야슬라보드카(한인촌)’ 혹은 ‘개척리’라 부르던 이 지역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신한촌 성립 이전 한인집단 거주지로 비교적 시내 중심지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1911년 러시아당국은 페스트 창궐을 기화로 위생실행위원회 결의를 거쳐 개척리를 강제로 철거시켜 이 일대를 기병대 숙소로 삼았다. 그리고 한편, 5월 28일까지 시 서북편 외곽에 새로 설정된 구역으로 이주하도록 강제 조처하였다. 이곳은 구개척리로부터 북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산비탈로 높고 건조하며 아무르만을 굽어보는 경치 좋은 곳이었다.
동서 약 6정(丁), 남북 약 7정 규모의 비교적 넓은 면적이었다. 이 지대의 토질은 자갈은 섞였으나 대체로 잡초가 무성하고, 중국인들은 밭에 무·파 등 채소를 심었다. 한인들은 그 곳에서 다시 피땀을 흘려 신개척리를 건설, 새로운 한국을 부흥시킨다는 의미로 ‘신한촌’이라 명명하였다.
도로는 4∼5칸 정도의 너비로 아무르만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차례대로 스보로프스카야·아무르스카야·하바로프스카야·메리코브스카야·체리 파노프스카야 등 5개의 간선거리를 만들고, 동서로도 넓고 좁은 골목길을 만들었다.
가옥은 호당 건평이 대개 12∼13평에 불과한 소형의 목조였으며, 너비 세 칸 반, 길이 네 칸 정도의 러시아풍으로 양철지붕에 유리창을 내었다. 옥내 한쪽은 헛간을 두어 부엌으로 쓰고 솥과 옹기를 두었다. 난방은 전부 온돌구조였다.
가옥 신축에 동원된 목공·석공은 한인이 70%, 중국인이 30%였다. 1911년 5월 31일 현재 겨우 50호 정도 신축가옥이 들어섰고, 8월 현재 313호가 있었다. 그 해 초여름까지 이곳으로 이주한 한인은 1,500명 정도였고, 그 뒤 1915년에는 신한촌의 한인수는 약 1만 명에 달하였다.
서북간도 및 연해주 한인사회를 배경으로 건설된 신한촌은 항일민족지사들의 집결지였고, 나아가 국외독립운동의 중추기지로 발전해서, 한민족의 의기가 충천하게 되었다. 이곳으로 망명, 활동했던 인물로는 이범윤(李範允)·홍범도(洪範圖)·유인석(柳麟錫)·이진룡(李鎭龍) 등의 의병장을 필두로 하여 그동안 국내외에서 애국계몽운동을 주도하던 인물들이 망라되었다.
헤이그 특사인 이상설(李相卨)·이위종(李瑋鍾)을 비롯, 북간도 용정촌(龍井村)과 서간도 삼원포(三源浦)에서 민족주의교육을 실시하던 이동녕(李東寧)·정순만(鄭淳萬), 미주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와 국민회를 조직·활동하던 정재관(鄭在寬)·이강(李剛)·김성무(金成茂) 등이 이곳에 일차 집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신민회(新民會)를 조직, 활동하던 안창호(安昌浩)를 비롯해 이종호(李鍾浩)· 이갑(李甲)·조성환(曺成煥)·유동열(柳東說) 등도 이곳으로 집결하였다.
그 밖에도 민족주의사학자 박은식(朴殷植)·신채호(申采浩)도 합세했으며, 기독교계의 이동휘(李東輝)와 대종교의 백순(白純) 등을 비롯한 애국계몽운동자들도 연이어 집결하였다.
이곳에 모인 항일민족운동가들은 그 곳 한인사회의 지도급 인물들인 최재형(崔在亨)·최봉준(崔鳳俊)·문창범(文昌範)·김학만(金學萬) 등과 합력해 1910년대 국내외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일제는 신한촌 외곽 약 1km 지점에 영사관을 두고 신한촌을 중심으로 한 이와 같은 항일민족운동의 동태를 감시하였다.
신한촌 내 설립단체
신한촌에서의 1910년대 초기 한인활동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권업회(勸業會)의 항일민족운동이다.
권업회는 신한촌 건설과 같은 시기인 1911년 5월에 조직되어 1914년 9월까지 3년여에 걸쳐 활동한 한인결사였다. 권업회는 조국독립을 위한 계몽활동과 민족주의 교육, 농상공업 등 실업 권장을 통해 한인사회의 정치적 지위향상을 도모하면서 독립전쟁론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이념으로 삼았다.
또한, 독립전쟁론을 구체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1914년신한촌에 대한광복군정부(大韓光復軍 政府)도 조직하였다. 대한광복군정부는 이상설과 이동휘를 정·부통령으로 각각 선출하고, 국외의 독립운동을 주도하면서 대한광복군을 양성해, 강력한 항쟁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전시체제 확립에 따른 권업회 해체와 동시에 폐지되고 말았다.
또한, 신한촌 중심지에는 한민학교(韓民學校)가 건립되어 민족주의 교육에 크게 공헌하였다. 원래는 개척리에 있던 계동학교(啓東學校)를 확대, 개편해 개교했으나, 1911년신한촌 건립과 동시에 이 곳으로 이전하였다.
1912년 3월에는 24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양옥의 대형교사를 신축, 연해주 민족주의 교육의 본산이 되었다. 그리고 신한촌 외곽에는 조선사범대학·원동종합대학 등이 있어 한인 자제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한편, 신한촌 안에는 신한촌민회(新韓村民會)라는 자치기구가 결성되어 한인사회의 자치를 신장시켜 나갔다. 이 기구는 원래 블라디보스토크 거주 한인들을 모두 규합하고자 1911년 결성된 해삼위거류 민회(海蔘威居留民會)가 1912년 6월 발전적으로 해체되면서 탄생하였다.
임원으로 회장 김병학(金秉學), 부회장 이동환(李東煥) 이하 20명의 평의원을 선출하였다. 특히 한민학교의 운영과 유지 문제, 신한촌 내에서의 한인의 권리 보호, 시당국과의 행정타협문제 등의 사안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였다.
신한촌을 중심으로 이처럼 활발하게 전개되던 항일민족운동도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러시아의 전시체제 확립으로 탄압을 받아 이후에는 민족운동의 중심지가 북간도로 옮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1937년 극동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로 신한촌이 폐쇄될 때까지 신한촌에서의 한인 활동은 지속으로 전개되었다.
아르바트거리
블라디보스톡의 아르바트 거리는 모스크바에 있는 아르바트 거리를 본떠 만든 거리입니다. 이 아르바트 거리는 한국 기업 KT에서 조성해준 거리로 KT 거리라는 별칭을 갖고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Admirala Fokina Street입니다. 보행자 중심의 거리인 만큼 길 곳곳에 앉을 수 있는 벤치와 분수대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모스크바의 아르바트 거리처럼 건물 사이사이에 낙서와 카페, 모임공간이 있어 아티스트들의 흔적을 찾아 돌아다니며 영감을 얻는 '예술의 거리'로도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Marigold 'Naughty Marietta'
Marigold - African 'Yellow Supreme'
Tagetes tenuifolia
Parthenocissus quinquefolia - Virginia Creeper
율브리너 생가 및 동상
Yul Brynner
Yul Brynner (born Yuliy Borisovich Briner, Russian: Юлий Борисович Бринер; July 11, 1920 – October 10, 1985) was a Russian-born American film and stage actor.
Brynner first became widely known for his portrayal of King Mongkut of Siam in the Rodgers and Hammerstein musical The King and I, for which he won two Tony Awards and an Academy Award for the film version. He played the role 4,625 times on stage. He also starred as Ramesses II in the Cecil B. DeMille epic The Ten Commandments (1956), and played General Bounine in the film Anastasia (also 1956), the gunman Chris Adams in The Magnificent Seven (1960) and its first sequel Return of the Seven, and the android "The Gunslinger" in Westworld (1973) and its sequel Futureworld (1976).
Brynner was known for his shaved head, which he maintained as a personal trademark long after adopting it in 1951 for his role in The King and I. Earlier, he was a model and television director, and later a photographer and the author of two books.
https://en.wikipedia.org/wiki/Yul_Brynner율부린너 생가 앞 거리
율부린너가 이 곳 출신인 것은 처음 알았다.
참 많이도 보았던 율부린너 그 얼굴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당시에는 극동 공화국의 영토였다.)에서 광산 기사인 아버지와 인텔리겐치아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친할머니는 몽골인이었으며, 조상 중에 로마인의 혈통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그의 아버지인 보리스 브리네르는 대한제국으로부터 목재의 채벌권을 얻어 부를 얻었으나, 러시아 혁명으로 몰락하여 광산기사로서 생계를 근근히 유지하였다고 한다. 지난날 한때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지만 그 후 율리가 3살 때 부모가 이혼하였고, 이후 만주와 조선, 일본을 오가며 살다가, 프랑스에 정착하였고, 1940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당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이었으므로, 미국 육군에 입대해 심리전 부대에서 대 프랑스 선전 방송을 하였고, 전쟁이 끝나자 배우로 데뷔한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역은 뮤지컬 《왕과 나》에서 맡은 타이의 몽꿋 왕 역으로 이 역으로 생애 4,525번의 연극 공연을 했다. 또한 이 뮤지컬을 영화화한 《왕과 나》에서도 같은 역할을 하여 1956년 아카데미 최고배우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독특한 목소리와 삭발한 머리로 유명한데, 《왕과 나》에서 맡은 역할 때문에 그 머리를 한 이후로 오랫동안 자신의 특징으로 그것을 유지했다. 1985년에 암으로 사망하였으며 가족으로는 아들이 있었다. 그가 폐암으로 사망하기 직전 공익광고에서 이런 유언을 남겼다. "나는 이제 떠나지만 여러분께 이 말만은 해야겠습니다. 담배를 피우지 마십시오. 당신이 무슨 일을 하든, 담배만은 피우지 마세요."
- 《왕과 나》(The King and I, 1956년) - 타이의 몽꿋 왕 역
- 《십계》(The Ten Commandments, 1956년) - 람세스 역
- 《아나스타샤》(Anastasia, 1956년)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The Brothers Karamazov, 1958년)
- 《여로》(The Journey, 1959년)
- 《솔로몬과 시바 여왕》(Solomon and Sheba, 1959년)
- 《황야의 7인》(The Magnificent Seven, 1960년)
- 《대장 부리바》(Taras Bul'ba, 1962년)
- 《아디오스, 사바타》(Adiós, Sabata, 1971년)
- 《이색지대》(Westworld, 1973년)
그는 폐암으로 사망하였으며
담배를 피우지 마십시오. 당신이 무슨 일을 하든, 담배만은 피우지 마세요."
라고 유언을 했다.
기념품 가게 별로 나에게는......
블라디보스톡 기차역Vladivostok railway station is a railway station in Vladivostok, Russia. It is the eastern terminus of the Trans-Siberian Railway. Also Aeroexpress from this station to Vladivostok International Airport (Knevichi Railway Station) are operated.
The author of the project, architect P.E. Bazilevsky, took part in laying the station building, laying the first stone of the structure on May 19 (31), 1891 in the presence of Tsarevich Nikolai Aleksandrovich, the future emperor Nicholas II. on November 2, 1893, a solemn consecration of the station took place, and a rail link along the route Vladivostok - Ussuriysk was opened.
Initially, it was a stone building with an iron roof, in the middle of the one-story, on the edges - a two-story. The floors in the building were covered with clay Japanese plates - they are well preserved to this day. In 1910-1912,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Moscow Yaroslavsky railway station, the station in Vladivostok was designed and expanded by the civil engineering engineer V. A. Planson in the image and similarity of Yaroslavsky, creating architecturally finished stations at both ends of the Trans-Siberian railway. The original building became one of the parts of the railway station. on the western facade was the mosaic coat of arms of the Primorskaya Oblast, on the east - the coat of arms of Moscow. Since 1924,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began to change gradually: a two-headed eagle was shot, mosaic panels with coats of arms disappeared under a layer of plaster, relief images of glazed ceramics on Russian folklore and fairy tales. The color of the facade has changed from yellow to green. In 1936, the interiors of the station were painted by the artist G. Grigorovich, and twenty years later V. Gerasimenko painted the ticket hall, creating a panel “Our Great Motherland” there. In the seventies and eigh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outer walls were painted green. The restoration of the building, carried out in 1994-1996 by the Russian-Italian company Tegola Canadese, brought the building closer to the pre-revolutionary appearance.
0 km 0 mi Moscow Yaroslavsky Terminal show 284 km 176 mi Yaroslavl show 957 km 595 mi Kirov show 1436 km 892 mi Perm show 1816 km 1128 mi Yekaterinburg show 2144 km 1332 mi Tyumen show 2712 km 1685 mi Omsk show 3335 km 2072 mi Novosibirsk show 4098 km 2546 mi Krasnoyarsk show 4516 km 2806 mi Tayshet show 5185 km 3222 mi Irkutsk show 5642 km 3506 mi Ulan-Ude show 6199 km 3852 mi Chita show 6312 km 3922 mi show 7273 km 4519 mi show 7875 km 4893 mi show 8351 km 5189 mi Birobidzhan show 8523 km 5296 mi Khabarovsk show 9289 km 5772 mi Vladivostok 다음으로 간 곳이 블라디보스톡역이다.
20여분만에
주차하기 힘들다.
사람이 많다.
모스크바행 시베리아열차 출발역이다.
모스크바까지는 무려 9289KM
와 길다.
역 넘어는 항구다.
아주 큰 배가 정박했다.
Costa Serena
Costa Serena is a Concordia-class cruise ship for the Italian cruise line, Costa Crociere. The name Serena was intended to symbolize harmony and serenity.
Costa Serena was constructed by Fincantieri in Sestri Ponente. She had an older sister ship, Costa Concordia, launched in 2005. The ship, along with her three active sisters, was the largest and longest in the Costa Crociere fleet until being surpassed by the Costa Diadema in 2014. The sister ships, Costa Pacifica and Costa Favolosa were launched in 2009 and 2011 with Costa Fascinosa launched in 2012. Costa Serena's godmother is Marion Cotillard.
Name: Costa Serena Owner: Carnival Corporation & plc Operator: Costa Crociere Port of registry: Italy, Genoa Route: Asia Ordered: 1 October 2004 Cost: €450 million (£372 million, US$570 million) Yard number: 6130 Laid down: 1 February 2005 Launched: 4 August 2006 Completed: 9 March 2007 In service: 2007 Identification: - Call sign: ICAZ
- IMO number: 9343132
- MMSI number: 247187600
Status: In service -
May 19, 2007 marked the day of Costa Serena's inaugural event. The event was held in Marseille, France and featured fireworks and a laser show. At the same time as the actual inauguration, Costa held an inaugural event in the virtual world of Second Life.
-
Costa Serena currently departs from Shanghai year-round.
In 2015, she repositioned to Shanghai to sail year-round cruises from China visiting ports in Japan and South Korea. These sailings are catered for Chinese guests and are only bookable through Chinese travel agencies.
In 2009 Costa Serena and her crew was featured in the six-episod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documentary series "Cruise Ship Diaries".
https://en.wikipedia.org/wiki/Costa_Serena
쿠르즈 여행도 한 번 꿈 수 있겠지.
대합실에서 이 것 저 것
일본과 한국의 영향이 꽤나 많다.
부산에서 블라디보스톡을 거쳐 모스크바 가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저녁을 먹으러 갔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국식?
게 싫컷 먹었다.
소주값이 비싸서 .....
다시 역으로
기아차다.
우리가 탈 기차다.
9288km 시작 점
첫 기차
비좁긴 하지만
처음이니까
내일 아침까지 이곳에서 지내야 답답할 것 같다.
처음이니까....
19:25
Vladivostok
Vladivostok (Russian: Владивосто́к,
IPA:[vlədʲɪvɐˈstok] (listen), literally 'ruler of the east') is a city and the administrative centre of the Far Eastern Federal District and Primorsky Krai, Russia, located around the Golden Horn Bay, not far from Russia's borders with China and North Korea. The population of the city as of 2018[update] was 604,901, up from 592,034 recorded in the 2010 Russian census. Harbin in China is about 515 kilometres (320 mi) away, while Sapporo in Japan is about 775 kilometres (482 mi) east across the Sea of Japan.
The city is the home port of the Russian Pacific Fleet and is the largest Russian port on the Pacific coast.
The aboriginals of the territory on which modern Vladivostok is located are the Udege minority, and a sub-minority called the Taz which emerged through members of the indigenous Udege mixing with the nearby Chinese and Hezhe. The region had been part of many states, such as the Mohe, Balhae Kingdom, Liao Dynasty, Jīn Dynasty, Yuan Dynasty, Ming Dynasty, Qing Dynasty and various other Chinese dynasties, before Russia acquired the entire Maritime Province and the island of Sakhalin by the Treaty of Beijing (1860). Qing China, which had just lost the Opium War with Britain, was unable to defend the region. The Manchu emperors of China, the Qing Dynasty, banned Han Chinese from most of Manchuria including the Vladivostok area (see Willow Palisade)—it was only visited by illegal gatherers of ginseng and sea cucumbers.
On 20 June 1860 (2 July for Gregorian style), the military supply ship Manchur, under the command of Captain-Lieutenant Alexey K. Shefner, called at the Golden Horn Bay to found an outpost called Vladivostok. Warrant officer Nikolay Komarov with 28 soldiers and two non-commissioned officers under his command were brought from Nikolayevsk-on-Amur by ship to construct the first buildings of the future city.
The Manza War in 1868 was the first attempt by Russia to expel Chinese from territory it controlled. Hostilities broke out around Vladivostok when the Russians tried to shut off gold mining operations and expel Chinese workers there. The Chinese resisted a Russian attempt to take Ashold Island and in response, two Russian military stations and three Russian towns were attacked by the Chinese whom the Russians failed to oust.
An elaborate system of fortifications was erected between the early 1870s and the late 1890s. A telegraph line from Vladivostok to Shanghai and Nagasaki was opened in 1871. That same year a commercial port was relocated to Vladivostok from Nikolayevsk-on-Amur. Town status was granted on 22 April 1880. A coat of arms, representing the Siberian tiger, was adopted in March 1883.
The first high school was opened in 1899. The city's economy was given a boost in 1916, with the completion of the Trans-Siberian Railway, which connected Vladivostok to Moscow and Europe.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the Bolsheviks took control of Vladivostok and all the Trans-Siberian Railway.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from May 1918, they were overthrown by the White-allied Czechoslovak Legion, who declared the city to be an Allied protectorate. Vladivostok became the staging point for the Allies' Siberian intervention, a multi-national force including Japa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hina sent forces to protect the local Chinese community after demands on their merchants. The intervention ended in the wake of the collapse of the White Army and regime in 1919; all Allied forces except the Japanese withdrew by the end of 1920.
In April 1920, the city came under the formal governance of the Far Eastern Republic, a Soviet-backed buffer state between the Soviets and Japan. Vladivostok then became the capital of the Japanese-backed Provisional Priamurye Government, created after a White Army coup in the city in May 1921. The withdrawal of Japanese forces in October 1922 spelt the end of the enclave, with Ieronim Uborevich's Red Army taking the city on 25 October 1922.
As the main naval base of the Soviet Pacific Fleet, Vladivostok was officially closed to foreigners during the Soviet years. The city hosted the summit at which Leonid Brezhnev and Gerald Ford conducted the 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in 1974. At the time, the two countries decided quantitative limits on nuclear weapons systems and banned the construction of new land-based ICBM launchers.
In 2012, Vladivostok hosted the 24th APEC summit. Leaders from the APEC member countries met at Russky Island, off the coast of Vladivostok. With the summit on Russky Island, the government and private businesses inaugurated resorts, dinner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in addition to the renovation and upgrading of Vladivostok International Airport. Two giant cable-stayed bridges were built in preparation for the summit, namely the Zolotoy Rog bridge over the Zolotoy Rog Bay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 Russky Island Bridge from the mainland to Russky Island (the longest cable-stayed bridge in the world). The new campus of 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 was completed on Russky Island in 2012. Locals call Vladivostock also Vladik.
https://en.wikipedia.org/wiki/Vladivostok
'나의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