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Celadon Water Dropper in the Shape of Mother and Baby Monkeys-국보 제27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4:53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
국보 제270호
종목 국보 제270호 명칭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 1점 지정일 1992.04.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전*** 간*** 설명 고려시대 만들어진 원숭이 모양의 청자 연적으로,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그 사이사이를 파내어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어미 원숭이의 눈, 코와 새끼 원숭이의 눈은 검은 색 안료로 점을 찍어 나타냈다. 어미 원숭이의 엉거주춤한 자세, 보채는 새끼의 모습을 통해 원숭이 모자의 사랑을 재미있게 묘사하였다. 유약은 잘 녹아 투명하고 잔잔한 기포가 전면에 있어 은은하고, 표면의 색깔은 아름다운 비취색이다.
1146년에 제작된 청자과형화병, 청자합과 유약 색이 동일하여 12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청자 연적 중 원숭이 모양의 연적은 드물며 더욱이 모자(母子) 모양으로서는 유일한 예이다.언제 볼 수 있으려나
하던 차
KBS가
2019.08.25.09:40부터
KBS 1TV '역사저널 그날'에서 일제강점기, 국외로 약탈당할 위기에 놓인 문화재들을 지켜내며 문화 보국 운동에 힘썼던 간송 전형필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열심히 지켜보았다.
간송미술관을 가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오지 않았다.
1936년 11월, 경성의 한 경매장. 젊은 조선인 남성과 세계적인 일본인 골동품상 야마나카가 조선백자를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인다. 백자의 가격은 당시 경매 최고가를 경신한 상태. ‘1만4천5백8십원!’ 마침내, 조선인의 입에서 당대로선 상상도 할 수 없는 가격이 불리는데... 기와집 14채와 맞먹는 돈을 주고 조선백자를 지킨 인물, 그는 바로 조선의 ‘문화 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이다. 조선의 손꼽히는 부잣집에서 태어난 간송 전형필. 나라를 팔아 땅을 산 친일파 이완용과는 달리 전형필은 사비를 들여 문화재 수집에 나선다. 스승이었던 춘곡 고희동과 위창 오세창의 영향을 받은 그는 문화재를 지키는 일이 일제로부터 우리 민족정신을 보전하는 일이라 판단하고, 국외 반출 위기의 문화재 수장과 이미 반출된 문화재들을 되찾아 오는 일에 총력을 기울인다. 그 대표적인 일화가 바로 일본에서 활동 중이던 영국인 변호사 존 개스비의 고려청자 컬렉션을 되찾아 온 일! 당시 최고의 고려청자 컬렉션으로 유명했떤 개스비의 고려청자 20점을 사오기 위해 간송이 투자한 비용은 당시 경성의 기와집 400채 값. 개스비 컬렉션 일화를 비롯한 그의 흥미진진한 문화재 수장 비하인드 스토리가 '역사저널 그날'에서 공개되었다.간송이 개인의 재산을 들여 우리나라에 남아있을 수 있었던 문화재 4천여 점. 그 중 간송 미술관이 자랑하는 ‘간송 컬렉션’ 12선을 소개했다.
그 방송에서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도 소개되었다.
간송미술관 소장
'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국보제294호 (0) 2019.08.28 Memory-of-the-World -훈민정음 (訓民正音)-국보제70호 (0) 2019.08.27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국보제74호 (0) 2019.08.27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국보제68호 (0) 2019.08.27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국보제135호 (0)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