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보물  제1088-2호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4. 13. 18:42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

    보물  제1088-2호

     

     

     

     

     

     

    종목

    보물  제1088-2호

    명칭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

    1책

    지정일

    1991.12.16

    소재지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한독의약박물관 (대풍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한독의약박물관

    관리자

    한독의약박물관

    일반설명

    『언해태산집요』는 출산에 관한 증세 및 약방문을 적은 의학서적으로, 선조 41년(1608)에 임금의 건강과 병을 돌보던 어의(御醫) 허준(1546∼1615)이 왕의 명에 의해 한글로 번역하여 내의원에서 훈련도감자로 간행하였다.

    허준 선생은 선조 7년(1574) 의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내의원의 의관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모시고 의주까지 피난을 갔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공신으로 추대되었으나 중인신분에 과하다는 여론이 일자 취소되었다. 그 유명한『동의보감』은 그가 관직에서 물러난 뒤 16년간의 연구 끝에 완성한 한의학의 백과사전격인 책이며, 허준 선생은 이외에도 중국의 의학서적을 한글로 번역하는 데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이 책은 자식 구하여 낳는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임신 중의 여러 증세와 약방문, 출산 때에 지켜야 할 일과 금기일 등을 서술하고 있다. 책 끝에는 간행기가 있고 표지 뒷면에는 내사기(內賜記:임금이 신하들에게 책을 내리면서 쓴 언제 누구에게 무슨 책을 주었는가에 대한 기록)가 있으며, 책머리에 선사인(宣賜印)이 찍혀있다. 이 책은 선조 41년 당시 대사성인 김륵에게 하사한 것이며, 보존상태가 불량하여 여러 겹으로 겹쳐붙였다. 한독의약박물관에는 목판본이 있는데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체재와 내용은 모두 동일하다.

     

     

     
     
     

     

     


     

     

     

    언해태산집요(보물제1088호)

     

    시대 조선
    저작자 허준
    창작/발표시기 1608년
    성격 의서, 한방서, 목판본, 언해본
    유형 문헌
    권수/책수 1권1책
    분야 언어/언어·문자

    요약 1608년(선조 41)에 허준(許浚)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개설

    1434년(세종 16)에 노중례(盧重禮)가 편찬한 『태산요록(胎産要錄)』 2권을 개편하여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유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처방과 치료방법을 부문별로 수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산부인과계통의 한방서로는 원래 세종 때의 『산서(産書)』와 노중례의 『태산요록』 및 연산군 때의 『임신최요방(妊娠最要方)』 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한문으로 쓰여져 부녀자가 보기에는 너무 어려웠으므로, 선조 때 허준이 언해하여 이 책을 편찬하였다.

    서지적 사항

    보물 제1088호. 1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973년 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에서 『언해두창경험방(諺解痘瘡經驗方)』·『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證治方)』·『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벽역신방(僻疫神方)』 등과 함께 합본하여 영인·출판하였다.

    내용

    구성내용은 ① 구사(求嗣), ② 잉태(孕胎), ③ 태맥(胎脈), ④ 험태(驗胎), ⑤ 변남녀법(辨男女法), ⑥ 전녀위남법(轉女爲男法), ⑦ 오조(惡阻), ⑧ 금기(禁忌), ⑨ 장리(將理), ⑩ 통치(通治), ⑪ 안태(安胎), ⑫ 욕산후(欲産候), ⑬ 보산(保産), ⑭ 반산(半産), ⑮ 찰색험태생사(察色驗胎生死), ?? 하사태(下死胎), ?? 하포의(下胞衣), ?? 산전제증(産前諸證), ?? 산후제증(産後諸證), ?? 임산예비약물(臨産預備藥物), ?? 첩산도법(貼産圖法), ?? 부초생소아구급(附初生小兒救急) 등 43개 항목으로 세세히 나뉘어 있으며 각각 증세와 처방이 한문과 언해문으로 나와 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619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