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방유취 권201 (醫方類聚 卷二百一)-보물 제123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4. 13. 17:16
의방유취 권201 (醫方類聚 卷二百一)
보물 제1234호
종목
보물 제1234호
명칭
의방유취 권201 (醫方類聚 卷二百一)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활자본/ 금속활자본
수량
1책
지정일
1996.01.19
소재지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한독의약박물관 (대풍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주)한독약품
관리자
한독의약박물관
일반설명
세종 27년(1445)에 왕의 명에 의해 편찬된 한방의학의 백과사전으로, 이는 성종 8년(1477)에 활자로 다시 찍어낸 총 266권 264책 가운데 201권 1책이다.
이 책은 집현전 부교리 김예몽, 저작랑 유성원 등이 의방(醫方)을 수집하고 뒤에 다시 신석조, 김수온 등에게 명하여 의관 전순의 등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하고, 안평대군, 도승지 이사철 등이 감수하였다. 총 365권으로 편성되었으나 수차례의 교정과 정리를 거쳐 266권 264책으로 편성되어 성종 8년(1477)에 한계희·임원준 등이 30부를 인출하였다. 그 후 다시 간행되지 않았다. 처음 간행한 30부는 대부분 임진왜란 때 없어졌는데, 총 264책 중 252책이 임진왜란 때 왜의 장수 가등청정에게 약탈되어 현재 일본 궁내청 도서료에 처음 찍은 본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이 책은 「보단요결이」, 「주씨집험방」, 「왕씨집험방」, 「수친양로서」, 「사림광기」, 「산거사요」등 여섯 의방을 옮겨 실었다.
이 책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유일한 초판본이라는 점에서 의학서적과 관련된 인쇄문화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요약 세종의 명으로 1437~39년에 북경에 사신과 역관이 파견되어 <내경>에서부터 당·송·원과 명초까지의 의서들을 폭넓게 수집하여 1442~45년에 집현전의 김예몽, 유성원, 민보화, 김문, 신석조, 이예, 김수온 등과 의사인 전순의, 김유지 등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완성되었다. 그 후 세조의 명으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1465~77) 양성지의 주관 아래 유신과 의관이 함께 교정해 도합 26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의방유취>는 국내본이 아닌 일본판인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가 다른 문화재와 함께 약탈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다른 보관본은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에 일본인 의사 기타무라가 <의방유취> 복간본 266권 2질을 선물용으로 보내오기 전까지는 국내에서 구입할 수 없었다.세종의 명으로 1437~39년에 북경에 사신과 역관(譯官)이 파견되어 〈내경 內徑〉에서부터 당·송·원과 명초까지의 의서들을 폭넓게 수집(蒐集)하여 1442~45년에 집현전의 김예몽(金禮蒙)·유성원(柳誠源)·민보화(閔普和)·김문(金汶)·신석조(辛碩祖)·이예(李芮)·김수온(金守溫) 등과 의사인 전순의(全循義)·김유지(金有知) 등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완성되었다. 그후 세조의 명으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1465~77) 양성지(梁誠之)의 주관 아래 유신(儒臣)과 의관(醫官)이 함께 교정해 도합 26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의방유취〉는 국내본이 아닌 일본판인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加藤]가 다른 문화재와 함께 약탈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다른 보관본은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에 일본인 의사 기타무라[喜多村直寬]가 〈의방유취〉 복간본(覆刊本) 266권 2질을 선물용으로 보내오기 전까지는 국내에서 구입할 수 없었다.
국내의 원간본(原刊本)은 강화본 〈세종실록 世宗實錄〉과 유사한 자체인 을해활자(乙亥活字)로 한백지(韓白紙)에 씌어 있었는데, 이 원본은 지금 일본의 궁내성(宮內省) 도서관에 12권이 사라지고 254권만이 보관되어 있으며, 복간본 2질 중 1질이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현재는 1965년에 동양의과대학에서 일본의 목활자본을 영인한 〈의방유취〉와 북한의 의학과학원 동의학연구소에서 번역한 것을 국내의 출판사에서 영인한 〈의방유취〉가 있다.
이 책의 체제는 진찰법·처방법 등 의학의 일반이론을 다룬 총론의 3권과 모든 질병을 95문으로 나눈 나머지 263권의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황제내경소문 皇帝內徑素門〉으로부터 〈소학의경 小學醫經〉에 이르기까지 153종류의 책들을 시대순으로 인용하여 분야별로 관련 학설과 이론을 모아 싣고 출전을 밝혔으며, 처방은 뒤에 따로 취합(聚合)하여 놓았는데 여기서 의방유취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의학 연구자들에게는 학술적 가치와 아울러 실용적 측면에서도 필수적인 의서로 인정받고 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7a2683a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도방론맥결집성 권1, 3 (纂圖方論脈訣集成 卷一, 三)-보물 제1111호 (0) 2017.04.14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보물 제1088-2호 (0) 2017.04.13 구급간이방 권6 (救急簡易方 卷六)-보물 제1236-1호 (0) 2017.04.13 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晋州靑谷寺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보물 제1232호 (0) 2017.03.04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보물 제1688호 (0) 2017.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