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급간이방 권6 (救急簡易方 卷六)-보물 제1236-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4. 13. 16:30
구급간이방 권6 (救急簡易方 卷六)
보물 제1236-1호
종목
보물 제1236-1호
명칭
구급간이방 권6 (救急簡易方 卷六)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
1책
지정일
1996.01.19
소재지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한독의약박물관 (대풍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주)한독약품
관리자
한독의약박물관
일반설명
구급의방을 집대성하여 민간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든 한글로 쓴 한의학 서적으로, 조선 성종 20년(1489)에 윤호, 임원준 등이 임금의 명을 받들어 편찬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것은 활자로 다시 간행한 총 8권 가운데 권6의 1책이다.
질병을 중풍,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문을 모아 엮었으며 누구나 알기 쉽게 한글로 번역하여 쉽게 편찬하였다. 이 책은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을해자본으로 그대로 뒤집어 새긴 중간본만 전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중간본도 전질이 아니라 권1, 2, 3, 6, 7의 5권 5책만 전하고 있다. 이들은 같은 판본이 아니나, 임진왜란 이전의 간행본임에는 틀림없다.
이 책은 희귀한 한글의학서적으로서 의약서적과 관련된 인쇄문화연구는 물론 국어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구급간이방
시대 조선 저작자 윤호, 임원준, 허종 창작/발표시기 1489년 성격 한글의학서, 구급방서, 언해서, 목판본, 관판본, 을해자본번각본 유형 문헌 권수/책수 8권 8책 분야 과학/의약학 요약 1489년(성종 20) 윤호(尹壕)·임원준(任元濬)·허종(許琮) 등이 간행한 의학서.
내용
8권 8책. 을해자본. 『성종실록』 20년 5월 말일의 기사에 따라 9권으로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권1 첫머리의 서문과 목록 등에 근거하면 8권이 정확하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을해자본의 복각인 중간본만 전한다. 그러므로 원간본은 을해자로 되었으며, 그것을 지방에서 복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전의 『고사촬요(攷事撮要)』에 나타난 책판 목록에 의하면, 원주·전주·남원·합천·곤양(昆陽)·해주 등에 책판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중간본도 완질이 아니고 권1·권2·권3·권6·권7의 5권 5책만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같은 판본이 아니나,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임에는 틀림없다. 이 중 권1·권2는 1982년 『동양학총서』 9집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영인본으로 간행하였다.
8권 8책 가운데 권6의 1책은 1996년과 2006년에 보물 제1236-1호와 보물 제1236-2호로 지정되었으며, 한독의약박물관과 허준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구급간이방은 의학서로서 우리나라 의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언해로서 중세국어 연구에 특이한 자료가 된다. 예컨대, 언해에서 ‘ㅿ’이 혼란된 ‘
예(권1)∼
이예(권1), 두
(권2)∼두어(권2)’, 어두의 경음화를 보이는 ‘
허(권1)·
흐니(권1)’ 등과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국어사 연구에서 이용되는 자료들이다.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보물 제1088-2호 (0) 2017.04.13 의방유취 권201 (醫方類聚 卷二百一)-보물 제1234호 (0) 2017.04.13 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晋州靑谷寺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보물 제1232호 (0) 2017.03.04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보물 제1688호 (0) 2017.03.04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晉州靑谷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및 十王像一括)-보물 제1689호 (0) 2017.03.04